-
-
할아버지와 나는 일촌이래요 - 처음 배우는 촌수와 호칭 이야기 ㅣ 처음부터 제대로 1
한별이 지음, 김창희 그림 / 키위북스(어린이) / 2010년 9월
평점 :
얼마전 추석에 오랫동안 만나지 못했던 친척들을 만나는 경우가 많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도 예전처럼 많은 사람이 모이지는 않는다. 아마도 누구 결혼식이나 회갑 같은 행사가 있어야지만 얼굴 한번 볼 수 있는게 요즘의 현실이다. 그러니 가족간의 촌수나 호칭을 따져서 부르는건 쉬운 일이 아니라고 느낄것이다. 나도 결혼식이 끝나고 시댁어른들께 인사를 드리는데 누가 누군지 하나도 알 수 없었던 기억이 있다. 세월이 흘러 지금에서 누가 누구인지 알게 되었지만, 부끄럽게도 적절한 호칭까지는 알 수 없는게 사실이다. 아이들도 삼촌들이 결혼하면서 작은아버지라고 부르는게 맞지만, 입에 붙은 삼촌이라는 호칭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8342105594988.jpg)
그런 아이들을 위해서 촌수를 따지고 적절한 호칭을 알려주려면 엄마인 나부터 제대로 알아야 할 것이다. ^^ 아이들 사회과목 시험에서도 빠지지 않고 나오는게 촌수와 호칭이라는데, <할아버지와 나는 일촌이래요>를 보게되면 확실하게 공부가 될 것 같다. 책을 구입하면 알림장과 호칭,촌수 도표를 덤으로 주니 서둘러 구입해 보라고 권하고 싶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8342105594989.jpg)
이야기는 환갑을 맞이하는 할아버지의 생일잔치를 위해 미국에서 살고 있는 안토니군이 한국의 할아버지댁을 방문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할아버지댁에 함께사는 큰아버지와 사촌형, 사촌동생이 처음에는 어색했지만, 서로 닮은꼴을 찾아가며 가족임을 느낀다. 그리고 환갑잔치날 만나게된 먼 친척들의 촌수와 호칭을 어려워하니, 할아버지께서 족보를 꺼내 친절하게 설명해 주신다. 나이가 어려도 항렬이 높으면 예의를 갖추어 대해야 한다는 것도 배우고, 숫자가 작을 수록 가까운 가족이라는 것도 알게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8342105594990.jpg)
이야기의 중간중간에는 <교과서 디딤돌>을 두어 아이들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 두었다. 요즘은 이런 형태의 책이 많은데, 아이들에게 재미난 동화도 읽히고, 지식도 알게 해주니 일석이조의 책이 아닐까 싶다. 공부라고 생각하면 지겹고 재미없겠지만, 신나는 책 읽기를 통해 배울 수 있으니 우리아이도 이런 책을 좋아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8342105594991.jpg)
책의 마지막에도 간단하게 촌수와 호칭을 따지는 표가 있는데, 이걸로 먼저 보아준후 좀 더 복잡한 도표를 보아주는게 좋을 것 같다. 시댁에서 고조할아버지 제사를 지낼때 시아버님의 사촌형제분이 오시는데 어떻게 부르는게 맞는지 몰랐는데, 이 책을 통해 당숙이라 부른는걸 알게 되었다. 아이들은 할아버지의 사촌형제인 그 분을 재종조할아버지라고 불러야한단다. 다음번 제사때는 제대로된 호칭을 사용해 봐야겠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834210559499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