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에 바침 - 결코 소멸되지 않을 자명한 사물에 바치는 헌사
부르크하르트 슈피넨 지음, 리네 호벤 그림, 김인순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2월
평점 :
쌓여만 가는 책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보지 않는 책들이 더 많다. 기억도 나지 않는 책들이 더 많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구하게 된 책인지 기억하지 못하는 책들도 더 늘어났다. 빌린 책도 있다. 언젠가 보면 줘야지 했던 책이 있었는데 어디로 갔는지도 모르겠다. 신문지로 책 커버를 만들어 보던 책도 있다. 남들이 책 제목을 보면 안될 것 같아 지하철에서 보던 책이다.
드러내고 읽고 싶은 책이 있는가하면 그렇지 않은 책도 있다. 광고를 보고 사서 후회한 책도 있다. 누군가의 소개로 구입한 책인데 너무 잘 샀다고 생각한 책도 있다. 내가 읽고 남에게 준 책도 있다. 한 권을 사서 읽고 같은 책을 사서 준 책도 있다. 제목만으로 구입한 책도 있고 도서관에서 빌려서 보다가 아예 구입을 한 책도 있다.
나도 이런저런 사연을 들어 이야기할 만한 것들이 많은데 나는 왜 이런 책 이야기를 뭐하는거야. 내가 쓴 책이 아직 없어서 그런걸까.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독서의 길은 끝이 없다. 끝날 것 같으면 전혀 가보지 않은 길이 있다. 책은 그렇게 다 왔다가 생각한 목적지를 계속 해서 변경하게 한다. 아니 그게 아니라 처음부터 목적지는 없었는지 모르겠다. 그렇지 않으면 종착역을 계속 더 뒤로 미루는 그 누군가의 계략인지도 모를 일이다. 수직으로 올라가다가 다시 수평으로 가면 끝이 없다. 책은 인류 문명의 발달을 이끌었다. 읽고 쓰는 일을 재촉했다.
그렇게 오늘의 삶 속에 책은 깊이 스며들고 있지만 스마트폰으로 그 자리를 내주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여전히 우리 삶의 여유를 갖게 하는 게 또 책이다. 간접적인 체험을 하게 하고 가보지 않은 세상, 들어보지 못한 이야기들을 들려주느라 바쁘다. 바쁘지 않은 게 인간이다. 바쁜 척하고 살 뿐이다.
종이책에 대한 애착이 누구보다 큰 저자의 책 이야기다. 충분히 공감하는 저자의 독서력과 책에 대한 애정과 애착은 나의 독서 경험을 돌아보게 만든다. 사람에게는 첫 인상이 있듯 책도 그렇다. 처음 책을 만져보고 그 책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이 어떠했는가를 생각할 수 있을까.
저자는 그 기분을 아주 생생하게 느낀다. 처음부터 남과 다른 존재라는 인식을 불러일으킨다. 도대체 이 사람 누군가. 1956년 독일태생의 저자, 못하는 게 없다. 직접 글을 쓰고 소설을 썼다. 문학상도 받았다.
“읽힌 책은 그것을 읽은 독자가 살아온 삶의 일부이다. 심지어는 아주 중요한 장의 특별한 한 단락이 삶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독자가 가장 머물러 있고 싶어 했던 부분, 가장 편안함을 느낀 부분이었다면 언제나 그렇다. 모든 텍스트는 언어로 이루어진 세계이다. 이와 동시에 독자에게는 그 세계를 여행한 기록이다. 그러므로 이따금씩 그 여행을 회상하귀 위해서라도 읽힌 책은 여행 기록처럼 보관될 필요가 있다. 여행 기록들이 다 그렇듯이 기억을 생생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보관되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하다.”-163쪽
을지로에 새로 생긴 서점이 하나 있다. 어느 날 방문을 했는데 책 한쪽 벽면을 파란색 커버의 책들로만 진열을 했다. 파란 색 계열인데 다양하다. 소설, 그림책, 경영서 등. 그렇게 책 표지의 색으로만 책을 진열하니 인상이 강렬하다. 그렇게 책을 표지의 컬러로 구분을 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자신에게 다가온 책들의 다양한 인상으로 나눠 분석을 한 사람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저자가 쓴 <책에 바침>이다.
“여기저기 책을 찾아다니다 보면 쉽게 병적인 욕망에 사로잡히기 마련이다. 어쨌거나 나도 그런 욕망을 느꼈고, 그 욕망은 끊임없이 나를 가난의 늪으로 빠트리려 했다. 나는 그로 인해 병들 수 있다는 사실을 항상 부정했다. 그러나 체력이 벽에 부딪히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71쪽.
이런 책에 대한 병적인 집착에 대한 이야기들이 목마른 날의 땀과 목마름을 비켜가게 하는 생수 한 통처럼 다가온다. 책 자체, 그 몸통에 대한 이야기, 책의 다양한 형태, 책 출생의 비밀, 그리고 책이 소비되는 공간에 대한 이야기가 각각 책장에 꽂혀 있는 책 한 권처럼 독자의 눈을 기다린다.
‘분실한 책’, ‘빌린 책’, ‘아름다운 책’, ‘훼손된 책’, ‘불완전한 책’, ‘주석을 붙인 책’ 등등 저자에게 책은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책이다. 텍스트의 집, 책에 대한 저자의 진지하고도 여유로운 접근이 지루한 오후 햇살 속에서 잠들지 않게 만든다.
“나는 개인적으로 부적절한 책을 알맞은 책으로 만드는 좋은 방법이 있다고 믿는다. 특히 앞에서 말한 것처럼 외딴 섬에 갇힐 경우에는 부적절한 책을 읽어야 한다. 어쩌면 그것은 실체를 숨긴 알맞은 책이었을 수도 있고, 또는 알맞은 책인데 미처 알아보지 못했을 수도 있다. 정말 부적절한 책이라고 증명될지언정 기회가 없었다면 결코 읽지 않았을 책을 어쨌든 읽지 않았는가. 이런 경험은 자신의 취향을 여러 번 확인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보람된 일일지도 모른다.”-63쪽
<책에 바침>은 작지만 강한 책이다. 그냥 종이 쓰레기로 묵혀 두는 게 아니라 반짝반짝 빛나는 보물이 되도록 닦아주는 일은 끊임없는 독서력에 있다.
책에 대해 ‘제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는 저자의 이야기 속에서 나의 책에 대한 애정은 어디쯤에 있는가를 점검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