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칭성 인류학 - 무의식에서 발견하는 대안적 지성, 카이에 소바주 5
나카자와 신이치 지음, 김옥희 옮김 / 동아시아 / 2005년 11월
평점 :
당신의 욕망에 정확히 부합되는 이미지를 만난다는 것은 매일 있는 일은 아니다
written by 자크 라캉
제가 이해한 바로는 이 책의 저자 나카자와 신이치는 이렇게 말합니다.
일원화된 비대칭적 사고로 형성된, 오늘날의 현대문명은 억압적이고 비인간적인 자본주의 국가질서와 자연에 가해지는 폭력적이며, 무분별한 개발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대칭적 사고(유동성 지성)로 제 2의 형이상학 혁명을 이루어 내어 현대문명의 이런 문제점을 치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가 제시한 유동적 지성이 과연 현대문명의 불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만병통치’의 백신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일단 논외로 접기로 하겠습니다.
문제는 그가 자신의 사상의 논거로 제시한 예들에서 발생합니다. 학문을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합한 사실 데이터(Fact Data)의 제시에 있다고 봅니다. 사상의 논거로 제시한 예시가 사실이 아닌 가설이거나 불확실한 정보만을 담고 있다면 신뢰성을 갖기 힘들지 않겠습니까?
그가 제시한 몇 가지 실례들을 살펴보면,
첫째>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해부학적 증거
저자는 현생인류가 네안데르탈인과의 진화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이 네안데르탈인 보다 훨씬 더 긴 미숙아의 단계를 거침으로써 상징적 사고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들고 있습니다. 진화경쟁에 있어서 생물학적 우위가 반드시 진화에서도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입니다. 진화에는 어느 정도의 ‘운’이 작용하며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닌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이다”라는 법칙이 발생하는 곳입니다. 게다가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은 극히 소수이며, 완전한 모습이 갖추어진 채 발견된 적도 없습니다. 하물며 이런 극소량의 화석화된 해부학적 증거만으로 네안데르탈인의 마음의 구조를 밝힌다는 것은 다소 무모한 행위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둘째> 행복론
저자는 인간의 행복에 있어서 무의식 속에서 작동하는 대칭성의 원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은 담당하고 있다고 저술하고, 성(性)적 체험이나 종교적 체험, 예술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고양감등을 논거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실 성적 체험이나 종교적 체험 같은 경우는 너무나 개인적이며, 그것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힘든 증언에만 의지하고 있기 때문에 논거로는 적합하지 못합니다. 저자는 “성녀 테레사”의 종교적 체험을 몇 페이지에 걸쳐 자세히 언급하고 있는데, 그것은 괴담이야기에나 어울릴 듯한 것이지 전문적인 학술서나 사상서에서 다룰만한 것은 아닙니다.
예술이 주는 열락과 같은 행복감도 개인의 환경이나 감정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어서 그리 적합한 논거가 될 수 없습니다. 저자는 모네의 <수련>을 보고 행복의 파편들을 느낄지는 모르지만 저자를 제외한 60억 인구 모두가 수련을 보고 마냥 행복감만을 느끼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이 외에도 저자가 제시하는 교환/증여론의 논거들도 엄밀하지 못하며 때로는 어설프기 까지 합니다. 물론 이 책이 대학교 1,2학년을 상대로 하여 매우 쉽게 쓰인 교양서라는 점에서는 어쩔 수 없는 것이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학술서나 사상서의 이름을 달고 있다면 그 학문적 논거는 엄밀하고 단단한 사실만을 다루어야 합니다. 검증되지 않은 가설이나 소수의 개인적 증언에만 의지하여 논증을 펼친다면 그 누구도 신뢰하기 힘들 것입니다.
물론 이 책의 장점이라면, 대부분의 인문교양서들이 흔히 가지는 지루함이나 따분함 등은 찾아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흥미를 끄는 재미있는 사례들이 많고, 저자의 알기 쉬운 친절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인류학의 입문서로는 적당한 듯싶습니다.
저 또한 이 책을 통해 그동안 미루고만 있었던, 레비 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나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을 읽어봐야겠다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으니까 어쩌면 인문학이라는 거대한 대양으로 나아가는 좋은 길잡이를 구했는지도 모릅니다.
다만 책의 제본이 충실하지 못하고 해제나 각주가 불충분하여 읽어나가는 동안 불편함을 느꼈습니다.
<원초적 억압> 같은 자주 등장하는 개념들은 알기 쉽게 밑에 각주를 달아 주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