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사유의 기호 - 승효상이 만난 20세기 불멸의 건축들
승효상 지음 / 돌베개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동경 레인보우브릿지 남단지역은 세계 건축 전시장 같기만 하다. 파리의 퐁피두센터와 우주정거장을 연상시키는 후지TV 본사나 피라미드 네 개를 거꾸로 해놓은 듯한 국제전시장, 파리의 라 그랑 아르세를 연상시키는 가운데가 크게 비어 있는 건물 등 하나 하나의 건물들이 다들 큰 목소리로 말하고 있는 듯 하다.

쓰레기를 매립하면서 떨어져 있는 섬들을 이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이 지역은 환경을 상징하는 모습으로 그릴 수도 있고, 아니면 인간의 불굴의 힘을 상징하는 모습으로도 그릴 수 있겠는데, 최소한 이 곳의 건물들의 모습을 보면 후자의 모습처럼 느껴진다.

건축은 두 가지 의미로 읽힌다. 하나는 심미적 측면에서 보여지는 건축조형에 대한 느낌이며, 다른 하나는 인문학적 측면에서 보여지는 삶을 담는 공간으로서의 주거형태이다. 그러나 건축은 인문학적 측면에서 보는 시각이 앞서야만 할 것이다. 승효상씨 역시 그렇게 접근하는 대표적인 건축가이다. 그의 책 제목 『건축, 사유의 기호』에서도 이는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승효상씨는 건축을 굳이 다른 학문의 분류에 넣으려 한다면 인문학에 가깝다고 말한다. 문학적 상상력과 논리력, 역사에 대한 통찰력, 그리고 사물에 대한 사유의 힘이, 이웃의 삶에 대한 애정과 존경 속에 작업해야 하는 건축가에게는 필수불가결한 도구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집을 짓는 것은 삶의 시스템을 만드는 것인데, 자칫 입면을 건축의 목적으로 판단하여 건축을 시각적 상징과 기호로서 취급해버린다면 건축 속에 참다운 삶이 만들어지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견해다.

그러나 우리는 현실에서 건축의 차별성을 건축의 입면에서 쉽게 찾는다. 그 중에서도 입면의 화려함이나 특이함, 또는 웅장함에서 건축에 대한 외경심을 느낀다. 건축은 보는 대상이 아니라 살아야 하는 대상이기에 쉽게 고정되어 있는 시각을 다른 시선으로 돌려야만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승효상씨가 ‘승효상이 만난 20세기 불멸의 건축들’이라는 부제를 단 책에서 첫 번째 거론한 건축물은 가히 실망스럽고 그렇기에 충격적이다. 오스트리아 빈의 미카엘광장에 세워진 로스 하우스 건물은 극히 평범해보이는 건물이기 때문이다. 건축가 아돌프 로스는 그 당시의 자주 사용되는 화려한 장식을 배격하고 얌전하고 단아하게 거리를 구성하고 있는 6층 건물을 만들어내었다. 그는 장식이 오늘날의 문화와 유기적 관계를 맺지 않는 한 전혀 가치 없는 것이며, 건축가는 더욱 본원적인 것에 몰두해야 한다는 논리로 장식을 죄악시한 것이다. 이로 인해 그 당시 수많은 비판의 타겟이 되기도 했지만, 도시가 지닌 허구와 그 시대 지식인의 지적 허영에 대한 반기라는 평을 얻기도 했다.

물론 이 건축은 건축가 승효상을 승효상 다운 건축으로 이끈 결정적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리고 이 책에 소개된 16개의 건축을 꿰뚫고 있는 중심축이 되기도 한다. 장식을 배격한 건축, 삶의 양식을 담는 건축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무언가 의문은 남는다. 베를린의 빌헬름 황제 기념 교회를 건축한 건축가 에곤 아이어만의 “건축은 끔찍한 것이다. 신의 아름다운 자연을 훼손하기 때문이다”라는 말을 굳이 연상하지 않는다 해도 궁금증은 남는다. 그것은 건축이 그 삶의 시스템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에만 만족할 때, 그것은 현 시대의 일반적 삶의 방식의 확대재생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에 대한 풀리지 않는 의문이다.

윈스턴 처칠도 “우리가 건축을 만들지만, 그 건축이 다시 우리를 만든다”고 말한 바 있다. 건축은 삶의 시스템을 드러내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가 나아갈 삶의 시스템을 이끄는 쪽으로도 고민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그렇기에 건축은 더욱 인문학적 사고를 필요로 할 것이다. 결국 건축의 설계는 삶의 설계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우리의 지속가능한 삶을 유지시키고 발전시키는 건축이야말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