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제전 5 - 개정판
김원일 지음 / 강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행복한 책읽기>에서 문학평론가 김현은 <태백산맥>에 대해 아래와 같이 평을 했다고 한다.

"
소설 속에서 제일 극적인 것은 고모/조카간인 정하섭과 소화의 사랑이며, 그 외의 것은 눈에 익은 정황이다. 살아 생동하는 부분은 염상진의 부인이 취조받는 장면이며, 가장 아름다운 부분은 하섭이 소화에게 비파 두 개를 주는 장면이다. 그러나 그것뿐이다. 정치 의식의 깊이에선 김원일을 따르지 못하고 있으며, 스케일의 크기에선 박경리를 따르지 못하고, 낭만적 사랑의 울림에선 김주영을 못 따른다. (외서댁-염상구의 사랑 놀이에서도 김원일의 <바람과 강>만 못하다) 더구나 김범우의 아버지 김사용이 너무 비범하게 묘사되어 있어, 현실감을 거의 주지 않는다... 그러나 읽힌다."

김원일의 정치 의식이 얼마나 깊기에 김원일 보다 못하다 했을까 싶어 김원일의 <불의 제전>을 읽었다. 1950 1월부터 10월까지 경남 김해시 진영읍과 서울을 무대로 하여 쓴 역사소설이다.

우리 역사라는 수없이 너른 들 한 곳에서 뗏장 하나 그대로 떼어내서 묘사해낸 듯한 소설이다. 우리 역사는, 그리고 우리 선조들은 그렇게 가슴 속에 소설 하나씩 안고 산 셈이다.

더도 덜도 없이 겪어왔던 역동의 세월, 풍파와 인고의 세월이 우리에게 있었던 것이다. 자연재료 맛을 그대로 살린 것이 최고의 음식이듯, 우리 삶을 그대로 투영시킨 소설이 최고의 소설이라면 단연 <불의 제전>을 꼽고 싶다.

때로는 소설적 구성으로 시원하게 그려주길 바라는 마음도 중간에 생기기도 했지만 김원일은 너무나도 냉철하게 우리 삶을, 역사를 소설 속에서 흔들림없이 재현해낸다. 좌와 우의 갈등을 이렇게 현실적으로 묘사해낸 작가가 있을까.

김현의 평에서정치 의식이 깊이라 표현한 부분은 동의하면서도 동의하지 못하겠다. 좌와 우가 어떻게 그 시대를 바라보고 있었는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묘사한 측면은 단연 압도적이다. 좌와 우가 범했던 우를 소설 속에서 아프게도 사실적으로 재현해놓았다. 그러나 이를깊이라는 이름으로 재단할 수 있을까. 정치적 통찰력을 소설 속에서 잘 버무린 것이라 여겨진다.

소설책을 덮으면 1950 10월이다. 새삼 소설 속에서 전개되었던 1월의 에피소드들이 아스라이 기억난다. 불과 10개월도 되지 않았던 기억이 머나먼 옛 이야기처럼 들린다. 그러면서 가슴이 먹먹해진다.

1950
1월로 돌아간다면 나는 어떤 선택을 했을까. 아마 내게는 이미 선택지가 없었을 지도 모른다. 1945년 이후 5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이미 시대가 선택을 강요했거나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만 했을 것이다. 뗏장을 떼어내 구성한 소설이기에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김현이 <불의 제전>을 평했다면 또 여러 가지 평을 했을 지 모른다. 무엇에서는 <태백산맥>이나 <토지> 보다 못하지만 무엇에서는 뛰어나다는 식으로. 나는 어느 책이 우위에 있다고 논하기 어렵겠다. 그저 이 모든 책들을 기억하면 먹먹해질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