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지음, 강병남 외 옮김 / 동아시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트워크'는 세상을 좁게 한다. 우리는 간혹 우연한 경험에 의거하여 "세상은 참으로 좁다"는 것을 실감하는데, 이는 결국 네트워크의 문제에 다가서게 한다. 이 네트워크를 얘기할 때 흔히 '에르되스 넘버' 사례를 든다. 유명한 수학자인 에르되스와 공동 저작을 하면 이 넘버는 1이고, 에르되스 넘버가 1인 사람과 공동 저작을 하면 이 넘버는 2가 된다. 이 넘버가 작을수록 명예로운 셈인데, 놀랍게도 대부분의 수학자들은 2에서 5 정도의 비교적 작은 에르되스 넘버를 갖고 있다.

미국 영화배우 '케빈 베이컨 넘버'도 많이 얘기되고 있다. 이 영화배우와 같은 영화에 출연하면 넘버가 1이 되고, 넘버가 1인 영화배우와 같이 출연한 영화가 있으면 넘버가 2가 되는 식인데, 대부분의 영화배우들이 2 내지 3의 넘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케빈 베이컨이 그만큼 유명한 배우라는 뜻이 아니라, 웬만한 영화배우일지라도 그런 식으로 2 내지 3개의 링크가 거치면 해리슨 포드나 줄리아 로버츠와 연결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연구는 63억명의 인류라는 거대한 집단 마저도 대부분 6단계의 링크 안에 들어온다는 연구로 이어진다. 대한민국의 어느 마을에 사는 아주머니가 미국 대통령과도 6단계 정도를 거치면 연결될 수 있다는 식으로 생각해보면 세상은 좁은 정도가 아니라 작은 울타리 안으로 느껴질 정도다.

<링크>의 초반은 이런 흥미진진한 얘기부터 풀어가고 있다. 그렇다고 <링크>를 세인의 흥미진진한, 그러나 한편으로는 얇을 수 있는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내는 책이라고 생각했다가는 큰 코 다친다. 이 책의 부제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이 얘기하듯, 이 책은 네트워크가 이 세상을 해석하는데 얼마나 유용한 도구인가를 설명하고 있다.

먼저, 이 책은 네트워크 과학의 단서를 사회관계의 링크에서 풀고 있다. 왜 이렇게 몇 번의 링크를 거치면 세상 사람들은 쉽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인가. 이 책의 저자 바라바시는 많은 사람들이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고, 이 클러스트 간에 한 번의 링크라도 이어진다면 링크는 크게 확장될 수 있다는 얘기를 꺼낸다. 그리고 우리 세계에는 이런 확장력을 가진 커넥터들이 있고, 이들이 네트워크의 허브가 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예컨대 세상은 고속버스 노선도처럼 격자모양의 그물망처럼 이어진 것이 아니라 항공 노선도처럼 소수의 노드에 항공노선이 집중되고, 일부 주요 거점 노드에 약간의 노드들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진단한다. 즉 링크의 갯수를 많이 가지고 있는 노드는 극히 적고, 링크의 갯수를 작게 가지고 있는 노드는 무수히 많게 된다. 결국 세상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달리 정규분포를 이루는 종형곡선보다는 멱함수(로그곡선)을 그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실제 80/20의 파레토법칙이나 지니계수 역시 멱함수를 따르고 있다.

그러면 이 네트워크 구조를 밝히는 것이 무엇에 도움이 될까. 저자는 이를 경영, 경제, 의학, 인터넷 등 다방면에 걸쳐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에이즈의 확산 역시 이런 멱함수를 따르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쉽게 확산추세가 누그려뜨려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에이즈의 전파에는 소수의 허브가 큰 역할을 하고 있기에 이 소수에 치료 역량을 집중시켜야 확산을 급격히 격감시킬 수 있으나, 치료는 복지의 문제로 만인에게 평등하게 적용되어야 때문에 확산추세를 떨어뜨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같은 이치로, 마케팅에서 오피니언 리더를 활용하는 것이나, 2000년 5월의 러브 버그 처럼 인터넷에서 바이러스가 유포되는  것이나 모두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를 따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위상구조를 밝히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우리 몸의 세포가 타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역시 멱함수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 역시 네트워크 원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이에 대한 구조를 파악하면 혁신적인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허브 역할을 하고 있는 p3 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면 암에 걸릴 가능성이 아주 높아지는데, p3 단백질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인별로 파악해낸다면 부작용이 전혀 없이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경제에도 적용 가능하다. 최근 연쇄도산의 경우 역시 경제의 허브에 이상이 생길 때 그 영향력이 아주 커질 수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경제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위상구조에 대한 파악이 잘 되어 있다면 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수십억년 동안 진화해 온 인간세포의 네트워크나 인간관계의 네트워크나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대단히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결국 네트워크 역시 진화의 산물이고 안정적 구조를 향해 내달려 왔다는 것이다. 네트워크는 넓은 세상을 좁게 사는 길이자, 먼 길을 가깝게 해주는 길일 수 있다. 그 길을 의학에 적용하면 치료의 길이가 짧아지고, 인간관계에 적용하면 관계가 가깝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링크>는 주변의 다양한 범주를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것을 도와주는 네트워크과학인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