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닭, 소, 풀이 각각 그려진 그림이 3장 있다. 이중 2개를 하나로 묶으라면 어느 것끼리 묶을 것인가. 이에 대해 미국의 어린이들은 동물이라는 ‘분류학적’인 측면에서 닭과 소를 묶는 경향을 보이고, 중국의 어린이들은 ‘관계성’을 들어 소와 풀을 묶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정말 그럴까 해서 주변의 사람들에게 시험을 해보았더니 한결같이 소와 풀을 한 범주로 묶었다.


도대체 무엇 때문에 이런 차이가 나고 있는 것일까? <생각의 지도>는 이런 동양과 서양의 사고방식 차이를 흥미진진하게 파고든다. 미국 미시간대 심리학과 석좌교수인 리처드 니스벳은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등 많은 동서양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에 기초해서 지금까지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던 사고구조의 차이를 심도있게 분석했다.


그 차이는 단지 몇몇 생활방식의 차이가 아니라 사물을 바라보는 근본적 시각차이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예를 들어, 어느 살인사건에 대한 원인을 묻는 질문에 미국 대학생들은 살인자의 개인적인 속성에 중요성을 더 많이 부여한 반면, 중국의 학생들은 상황적 변수를 더 중요시했다. 동양은 ‘상황론’에 익숙한 반면, 서양인은 ‘본성론’에 익숙해져 왔기 때문이다.


저자는 동양인들은 세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한다고 본다. 전체 맥락에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사건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데 익숙하며, 세상이 복잡하고 매우 가변적인 곳이라 믿는다. 반면 서양인들은 전체 맥락보다는 부분 부분들에 주의를 기울이고 따라서 세상은 단순한 곳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를 몇몇 실험을 통해서도 보여준다. 단어를 보여줄 때 사회적 배경이 있는 그림을 함께 제공해주면 단어에 대한 기억력이 미국인보다 중국인들이 훨씬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준다.


동양은 동사를 통해 세상을 보는 반면 서양을 명사를 통해 보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도 신선하다. 이는 서양인이 동양인에 비해 사물을 범주화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뜻이다. 동양의 어린이의 경우 서양의 어린이보다 동사를 훨씬 많이 자연스럽게 사용한다는 시험결과도 제시한다. 동사는 대화 맥락 가운데서 의미가 쉽게 변하기도 하는 반면 명사는 대체적으로 의미가 고정적이라는 측면을 비추어본다면, 앞에서 얘기한 동양인들이 세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한다는 분석 내용과 일면 상통한다.


그 외에도 동양에서는 더불어 사는 삶을 가르치는 반면 서양에서는 홀로 사는 삶을 가르친다는 분석이나, 동양에서는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조화라고 생각하는 반면 서양에서는 개인의 자율성을 중시한다는 분석, 또 동양에서는 경험을 중시하는 반면 서양에서는 논리를 중시한다는 분석 등도 저자는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방식의 차이는 도대체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저자는 이를 촌락생활에서 찾고 있다. 동양의 촌락생활은 다른 사람을 만날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조화와 화목을 중시하는 행위 규범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들이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온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인류가 ‘차이’나 ‘다름’에 대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하는데 소홀해왔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 차이에 대한 무지가 다른 문화에 대한 말살로 나타나고, 맹목적인 타 문화에 대한 추종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우리는 이러한 분석 없이 문화의 우월성을 논하거나 문화적 상대주의를 논해 왔던 것이다.


그렇다면 동양과 서양 중 누가 옳은가? 이에 대해 저자는 극단적인 문화 상대주의는 편리한 해결책일 뿐 최선이 아니라고 한다. 후꾸야마의 ‘문명의 종말’ 방식이나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로 가는 방식이 아니라 제 3의 방식을 제시한다.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서로의 문화를 수용하여 중간쯤에서 수렴하는 것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는 가장 타당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저자의 바람은 단순한 이상이 아닐 것이다. 최근 서양에서 동양 철학이나 삶의 방식이 조용히 뿌리를 내려가고 있는 것은 단지 동양에 대한 ‘신비’가 아니라 동양의 삶의 방식에서도 인류 보편적 가치를 담고 있는 것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생각의 지도>는 ‘차이’를 넘어 ‘이해’로 나아가기 위해서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책이다. 동양에서나 서양에서나 모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