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 세상을 보는 글들 14
레이첼 카슨 지음, 표정훈 옮김 / 에코리브르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TIME』지가 뽑은 20세기를 변화시킨 100인 가운데 한 사람이자 열성적인 생태주의자 레이첼 카슨은 『침묵의 봄』의 저자로 많이 알려져 있다. 환경학 관련 고전으로 손꼽히는 책이자, 2003년 환경정의 추천도서로도 선정된 책이다. 『침묵의 봄』은 40년 전에 쓰여진 책이라고는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유독성 화학 물질과 이로 인한 생태계 파괴의 실상을 너무나도 사실성 있게 얘기하고 있다. 당시로서는 거의 전율을 느낄만한 파괴력을 가졌을 것이라고 능히 짐작이 갈 정도다.

 그러나 최근 레이첼 카슨의 『자연,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를 접하고나서 그녀를 『침묵의 봄』으로만 이해하는 것은 전체를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1962년 레이첼 카슨이 『침묵의 봄』을 출간할 당시 언론과 농약제조업자들은 카슨을 향해 “자신이 저주하는 살충제보다 더 독한 여자”라는 비난을 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자연…』을 읽다 보면, 카슨이 살충제에 대해 저주를 할 수 있었던 밑바닥에는 자연을 껴안는 풍부한 감성과 아름다운 사랑이 있었음을 여실히 느낄 수 있다.

『자연…』은 카슨이 1956년 한 잡지에 “당신의 자녀가 자연에서 놀라움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라”라는 제목으로 쓴 글을 모은 것이다. 생후 20개월 된 조카 아들 로저와 비를 맞고, 밤바다를 거닐고, 숲속을 산책하며 느낀 감성을 문학적 감수성으로 펼쳐낸 글들이다.

문학적으로도, 자연환경에 대한 감수성으로도 우리를 충분히 감동케 하지만, 이보다도 울림을 주는 것은 카슨의 자연에 대한 태도이다.

"자연을 ‘아는 것’은 자연을 ‘느끼는 것’의 절반만큼도 중요하지 않다. 자연과 관련한 사실들은, 말하자면 씨앗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씨앗은 나중에 커서 지식과 지혜의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그리고 자연에서 느끼는 이런 저런 감정과 인상은 그 씨앗이 터잡아 자라날 기름진 땅이라고 할 수 있다. 유년 시절은 그런 기름진 땅을 준비할 시간이다. 아름다움에 대한 감수성, 새로운 것, 미지의 것에 대한 흥분과 기대/공감/동정/존경/사랑……. 이런 감정들이 기름진 땅을 이루고 난 다음에야, 비로소 그런 감정을 불러일으킨 사물에 대한 지식을 올바르게 추구할 수 있다. 한번 형성된 그러한 기름진 땅은 어린아이의 곁을 평생 떠나지 않는 착한 요정이 될 것이다."

카슨은 로저에게 아무 것도 가르치지 않았다. 다만 함께 즐거워하고, 흥분하고, 웃었을 뿐이다. 자연을 가르치려 하거나 설명하는 대신 모든 감각을 동원해서 자연과 사귀라고 권하고 있다. 심지어는 이름을 알고 식별하는 것 자체가 목적이 된다면, 그처럼 가치 없는 목적도 없다고 단언한다. 그러면서 세상의 모든 어린이들이 ‘자연에 대한 감성’이라는 착한 요정을 가슴 속에 품길 바라며, 그러한 경이의 감정이 언제까지나 아이의 마음 속에서 계속해서 울리길 기원하기도 한다.

카슨의 자연에 대한 태도, 아이를 자연으로 이끄는 철학은 『침묵의 봄』 만큼이나 40년이 훨씬 지난 현재에도 큰 일깨움을 주고 있다. 아니 엄밀히 말하면 『침묵의 봄』은 상식이 되어갔지만, 카슨의 자연에 대한 태도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가르침’이다.

아직도 이 땅의 많은 어른들은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아이에게 심어주기(?) 위해 아이에게 끊임없이 설명하고 아이를 이곳 저곳으로 이끌고 다닐 것이다. 유독성 화학 물질이 범람하면 봄이 돌아와도 우리의 들판은 침묵할 수 있듯, 자연을 대한 느낌 대신 설명이 앞서는 한 아이들 가슴 속의 요정들 역시 끝내 침묵하고 말 것이다. 자연에 대해 설명하려는 강박증은 어린이에 대한 믿음의 결여와 어른들의 흐려진 순수함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에 대한 카슨의 얘기가 계속 귓전에 맴돈다.

 "어린이 앞의 세상은 신선하고, 새롭고, 아름다우며, 놀라움과 흥분으로 가득하다. 어른들의 가장 큰 불행은 아름다운 것, 놀라움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추구하는 순수한 본능이 흐려졌다는 데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