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들꽃의 살아가는 힘을 믿는다
이상권 지음, 이원우 그림 / 웅진지식하우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어린시절을 과연 잊을 수 있을까. 어린시절 뛰놀았던 그 동산과 들판의 기억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그리고 그 시절에 묻어있던 순수와, 엄마 젖무덤 같은 따스함과, 아련한 꿈의 느낌을 지울 수 있을까.
결코 그럴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미 우리는 과거의 포로가 되어버렸다. 그 시절의 자연과 어울린 추억은 생득경험이 아니라 유전자 변화로 전이된 느낌까지 들 정도다. 유전자에 각인된 과거 경험은 잠잠해 있다가도 어느 순간 불쑥 튀어나와 우리를 정화시키고 심신을 고요히 침잠시킨다.
그것은 우리의 기쁨이자 천형(天刑)이다. 돌아갈 곳 없어도 과거의 경험은 자궁의 모태와도 같이 우리를 다독거려주기도 한다. 그러나 너무나 깊이 각인된 그 경험은 지워도 지워도 지워지지 않은 지문이 되어 결코 떼어낼 수 없는 천형이 되기도 한다. 그 과거의 끈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가 없는 것이다.
과거를 향한 기억은 일견 보수적이고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는 듯하지만, 그것은 상황에 따라 진보로 바뀌기 마련이다. 우리는 과거에 각인된 생활로 인해 파괴의 발목을 그나마 붙들 수 있는 것이다. 과학이 그리는 장밋빛 미래에 결여되어 있을 수 있는 단점을 과거의 기억에 준거하여 찾아내고 이를 정반합의 과정을 통해서 끊임없이 보완하려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정반합이 항상 이성적인 지그재그과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기에 우리를 슬프게 하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상권씨의 『들꽃의 살아가는 힘을 믿는다』는 ‘과거’를 얘기하고 있되 ‘미래’를 얘기하고 있다. ‘들꽃’을 얘기하고 있되 그를 통해 ‘생명’을 말하고 있다.
이상권씨가 머위, 창포, 삐비, 감꽃, 꽈리, 질경이 등 우리 삶 속에 그대로 젖어들어 있었던 것들을 하나씩 꺼내 거기에 깃든 옛이야기들을 조용조용 읊조리면, 엄마의 자장가처럼 느껴지면서 읽는 이의 옛 추억들도 한올 한올 풀려 나온다. 그렇게 착 가라앉고 조용해진 마음의 여진은 한동안 이어질 수밖에 없고, 그러면 콘크리트 건물 숲에 둘러싸인 풀 하나에도 정이 갈 수밖에 없게 된다.
그의 글을 읽다 보면 그 풀들은 과거에는 우리의 생활 그 자체였다는 것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지금처럼 객체로 물러나 있거나 관조의 대상이 아니었다. 아무리 생태체험을 간다 해도 그 풀들은 관찰대상 그 이상을 넘어서기 어려운 법이다. 그러나 원래는 그렇지 않았다. 그것은 생활 자체였다. 삶이 진하게 묻어나 있었다. 감꽃 목걸이에서 감꽃을 빼어먹다가 배가 아프기도 하고, 생가지 나무로 군불 때다가 매운 연기 마시기도 하고, 간식거리 없어 궁한 뱃속 삐비 뽑아 먹으며 달래기도 하는, 그렇게 그 풀들은 삶과 어울려 곁에 있었다.
그런 옛 이야기를 아이들에게도 전해주고 싶어진다. 그것은 극성을 부리는 것이 아니다. 감성교육을 해야된다는 차원의 문제도 아니다. 그것은 과거의 습성을 다음 대에 물려주려는 자연적인 동물학적 현상이 아닐까 싶어진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동물학적 현상 때문에 비이성적이 되기도 하는 과학의 수레바퀴를 어느 측면에서는 제어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런 동물학적 감수성을 쉽게 잊기도 한다. 리피터(Repeater)라는 IT기기가 있다. 약해진 전자신호를 증폭하여 더욱 멀리 전송하도록 하는 기기다. 그런 리피터처럼 우리는 과거의 그 기억들의 파장을 증폭시킬 필요가 있다. 도심의 삭막한 빌딩과 찌든 공기로 인해 나날이 위축되고 퇴화하고 흐릿해져 가는 기억들을 먼지 걷어내고 다시 색칠해가면서 증폭시켜야만 한다. 그 증폭기 없이는 우리는 자손에게 과거의 기억들을 물려주려 하는, 그리하여 인간의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그러한 동물학적 행동이 점차 퇴화되어 버릴 것이다.
우리는 과거의 추억에 너무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들꽃의 살아가는 힘을 믿는다』와 같은 증폭기가 더욱더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