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본다, 철학을 - 김성환의 영화철학에세이 동녘선서 76
김성환 지음 / 동녘 / 199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을 대중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영화를 끌어들인 책이다. 그러나 한마디로 말한다면 '영화 따로 철학 따로'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대개의 글의 전반부는 영화의 줄거리를 나름대로 해석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하나의 모티브를 잡아 후반부에서 '철학'을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결론 부분으로 가면 전반부와 후반부의 봉합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단지 영화는 철학의 어느 단초를 끌어내기 위한 모티브일 뿐이기에 이 봉합은 어설프고 끝내 실패로 끝나곤 한다. 이 봉합은 영화와 철학을 하나의 용광로에 모아 녹이지 못하고 있다. 영화에서 잡아내는 모티브가 그 영화의 핵심이 아닌 경우가 많고, 철학이 그 영화의 본질을 지적하지 못할 때가 많다. 결국 영화를 보는 것도, 철학을 읽는 것도 실패한 느낌이다.

영화와 철학을 결합시키려 한 시도는 이전에도 있었다. 한 권을 추천하라면 이진경씨의 <필로시네마, 탈주의 철학에 대한 7편의 영화>를 들고 싶다. 이진경 씨 역시 사회학 강의를 하면서 사회학을 손쉽게 전달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영화와 철학을 결합시켰다.

이 책에서 영화는 낱낱이 해제되는 듯하지만 결국은 하나의 늠름한 자태로 완성되어 독자에게 주어진다. 복잡한 듯 하지만 결국 독자는 그 영화를 비로소 온전히 읽게 된다. 그러면서 시야가 확 트이기도 한다. 미처 느끼지 못한 것을 느끼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