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3 - 승자의 혼미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3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대립물 간의 투쟁에 의해서 발전을 거듭한다. 미국의 케인즈학파와 비케인즈학파 간의 대립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시장경제를 이룰 수 없었을는지도 모른다. 오히려 대립물이 없다는 것은 불행의 시작일 것이다.

고대 로마의 대립물은 어떤 계급이었을까? 흔히 계급투쟁을 얘기할 때 귀족과 노예를 대립물을 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립이 로마를 움직이는 중심축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최소한 나나미의 책에서 노예는 역사의 주인이 아니다. 이제 노예에 대해서 새롭게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고대 로마의 두 대립항은, 계급투쟁의 선두에 있었던 것은 귀족과 평민이라고 봐야만 할 것이다. 이들간의 투쟁이 로마를 살찌웠으며, 로마의 앞날을 결정했다. 왕정의 공화정으로의 변혁, 호민관제도, 리키니우스법, 호르텐시우스법 등 일련의 과정 한가운데 바로 귀족과 평민이 있었다. 그리고 이들 간의 투쟁 하나하나가 로마의 앞날을 결정했다.

<로마인 이야기 3권>은 포에니 전쟁이 끝나고 카이사르가 등장하기 전까지의 기간(BC 2세기초∼BC 1세기 중반)을 다루고 있다. 3권의 부제를 왜'로마의 혼미'로 붙였는지 모르겠다. 영웅(카이사르)이 나타나기 전의 시대는 그냥 혼미라 해도 좋은지…. 이 시기는 귀족과 평민이 진정한 대립을 거듭하는 시기가 아닌가 하며, 따라서 내성을 키우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덧붙여 나나미의 책에 대해 약간의 아쉬움은 남는다. 3권 말미에 로마를 끝까지 괴롭힌 폰토스의 왕의 편지가 소개되고 있다. '로마제국주의'에 대한 훌륭한 반론의 글이다. 나나미는 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소개하는 선에서 그치고 있다.

나나미는 로마의 확장주의가 사실은 속주의 보호 차원이고, 또 침입자를 지배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고 하고 있지만, 로마가 제국주의적인 정책으로 인해 부(富)를 누릴 수 있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 아닌가. 이런 부분에서는 나나미의 소설적 상상력도, 예리한 분석력도 좀 무뎌진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