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인과 제왕 - 문화인류학 3부작 ㅣ 넥스트 3
마빈 해리스 / 한길사 / 200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식인과 제왕>은 <문화의 수수께끼>,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작은 인간>에 이어 국내에 네 번째로 소개된 '마빈 해리스' 저작이다.
<작은 인간 - 인간에 대한 102가지의 수수께끼>만 읽어 보았는데, 사실 별 감동을 받지 못했다. 소련 아동문학가 일리인 부부가 20년 동안 쓰고서도 미완성인 저작 <인간은 어떻게 거인이 되었는가>에 비해 재미도 신선함도 덜했다. 반면 <식인과 제왕>을 읽으니 마빈 해리스의 다른 저작에도 구미가 조금씩 당기기 시작한다.
마빈 해리스는 식품인류학자이다. 음식 문화를 가지고 세계사를 해석해낸다. 이전에 80년대 풍미했던 '계급투쟁' 등의 몇몇 카테고리에 한정되어 세계사를 보려 했던 것이 얼마나 시야를 협소화시켰는지를 느끼게 해준다.
고대 원시사회에서부터 인구압을 해결하기 위해 여성 인구를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줄이는 등의 성차별이 있었다는 분석은 참으로 신선한 지적이다.(아, 불쌍한 여성들이여. 성차별과 가부장제가 오히려 계급의 발생과 함께 생성되었다면 얼마나 좋을 것인가. 오히려 그 근원이 더 멀리 나아간다는 것이, 그리고 뿌리도 깊다는 것이 오히려 슬픔을 더한다)
서구사회에서 근대 민주주의가 싹틀 수 있었던 요인을 단백질 공급원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었던 점, 또 치수정책이 그다지 필요치 않아 절대왕조가 덜 발달할 수 있었던 점 등으로 분석하는 부분도 신선함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앙아메리카의 잉카제국에서의 식인문화를 단백질 공급원을 인육에서 찾으려 했다는 분석은 '끔찍'할 정도로 신선하다.(아마도 이 부분에서 제목을 따왔을 것이다)
그 외에 여러 분석을 통해 (단지 '문화적 상대성'에 대한 지적을 넘어서서) 세계사를 재구성해 내고 있다. 마빈 해리스의 식품인류학적인 관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