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이 겪는 절망 중 이겨내지 못할 것은 없다는 말을 흔히들 한다. 그러나 그것은 어쩌면 위로를 위해 나온 말이 아닐까. 그렇게라도 믿지 않으면 여지없이 무너질 테니까.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있다. 과거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쭉. 그런 과정에서 절망을 겪으며 분노하고 몸과 마음이 으스러져도 기어이 진실에 접근한다. 과연 진실과 마주할 만큼 강한지 자문하면서 말이다. 비록 그것이 쓰디쓰고 소름끼치도록 무시무시해도 누군가는 그 문을 향해 돌진하고 다른 누군가는 주저한다.  

 작가 공지영은 신문에서 한 줄의 기사를 보며 <도가니>를 쓰기로 마음먹었다고 한다. 그러나 막상 끝까지 글을 쓰면서 상당히 힘들었다고 고백한다. 펜으로 진실을 써가며 많이도 아파서 여러 번 마음을 다잡았을 작가의 모습이 절로 떠오른다. 그러나 그 누구보다 강한 파급력을 전해준 작가에게 감사한다. 그 고단한 여정에 간접적으로 동참하게 되자 나도 작가처럼 힘이 들었다.  

 이야기의 시작은 주인공이 무진이라는 안개도시로 내려오면서 시작된다. 무진이라는 지명을 듣자마자 김승옥의 <무진기행>이 생각났는데 역시 안개의 무진이 맞았다. 해무(海霧)에 쌓인 알 수 없는 낯선 소도시의 자애학원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끔찍했다. 교장 등 학교 관계자들은 그들의 학생을 성폭행한다. 그리고 교사에게도 반말을 쓰고 청각장애아들이 모인 학교지만 수화를 할 줄 아는 교사조차도 없다. 자애학원은 안개에 쌓인 세상에서 고립된 하나의 왕국이었다. 교장이라는 세습된 폭군 같은 왕과 그에게 굽실거리는 간신배들인 쌍둥이 행정실장과 생활지도사를 포함해서 실세력들은 아이들을 상대로 입에 담기에도 부끄러운 행동을 한다. 그리고 이들의 만행을 알면서도 눈감아주는 힘없는 월급쟁이들과 학생들의 편에 있지만 역시 힘없는 선생님들이 아슬아슬하게 존재하는 공간이다. 사회의 축소판과 다름없는 이곳에서 강인호는 괴로워한다. 누구라도 그럴 것이다. 무언가를 깨 내려면 누군가는 다치고 잃을 각오를 해야만 행동으로 옮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거대한 싸움이 시작된다. 강인호와 서유진은 아이들의 참다운 자유와 삶을 위해 자애학원이라는 권력과 돈으로 점철된 집단과 승부를 겨룬다. 그러나 지역사회라 이들과 연관되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이며 사람들은 변화를 거부한다. 경찰, 교육청, 시청 등 어디 하나 이들의 손이 뻗치지 않는 곳이 없다. 이들의 더러운 공생관계라 하겠다. 법정영화 등을 보면 억울하게 당하는 사람은 언제나 진실과 무관하게 힘없는 자들이 대부분이다. 아마 현실도 그렇지 않을까. 그래서 이 책을 읽다 보면 여러 번 현실과 너무도 똑같이 그려내서 절망하고 분노하게 된다. 과연 진실이란 존재하는지의 의문과 진실이 반드시 승리하는 게 아니라는 걸 한 번 더 느껴야만 했다. 서유진의 말처럼 그야말로 "이 무슨 미친…… 광란의 도가니야?"  

여기서 진실을 말하면 들어준다고 했잖아요? 그런데 아니잖아요. 우리가 아니라 저 선생님들이 거짓말을 하는데 아무도 막아주지 않잖아요. 여기도 자애학교랑 똑같잖아요. (209쪽.) 

진실은 말이야. 그걸 지키려고 누군가 몸을 던질 때 비로소 일어나 제 힘을 내는 거야. 우리가 그걸 하찮게 여기고 힘이 없다고 생각하면 그것은 정말 힘을 잃어. (211쪽.) 

세상 같은 거 바꾸고 싶은 마음, 아버지 돌아가시면서 다 접었어요. 난 그들이 나를 바꾸지 못하게 하려고 싸우는 거예요. (257쪽.) 

 이 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말들이다. 진실을 말해도 들어주지 않는 사람들 속에서 외로운 싸움을 해야만 하는 아이들과 사람들을 지켜보는 일이란 괴로울 수밖에 없다. 그러나 신문 기사 한 줄에서 시작된 이 여정의 끝은 그다지 절망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 끝없이 동참하는 독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책에서의 이야기는 희망적이었다. 서유진의 말처럼 진 것만은 아니었다. 아이들은 자애학원을 떠나 오히려 편안한 상태로 지내며 자신을 소중히 하게 되었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사실은 아직도 끝나지 않은 반복되는 수많은 부조리 앞에서 굴복하지 않고 오늘도 싸우는 이들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도가니라는 말은 보통 광란의 도가니니 하는 식으로 비유된다. 그러나 저자는 중첩된 의미를 둔 거 같다. 미친 광란의 도가니와 또 하나의 도가니는 그릇을 말하는 것 같다. 도가니탕에 쓰이는 그런 그릇 말이다. 단단하고 끓고 나서도 오래도록 지속되는 열기를 지닌 그 무엇……. 우리도 오래도록 이 열기를 기억해야만 할 것이다. 절망과 분노를 맛본 만큼 그곳에서 찾아 헤매던 빛 한줄기를 찾을 때까지 말이다. 안개가 걷히기를 기다리지 말고 뚫고 나와야 한다는 걸 다시금 깨닫게 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