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축제인류학 ㅣ 살림지식총서 14
류정아 지음 / 살림 / 2003년 7월
평점 :
▲ 책날개에서 저자의 말.
저자의 최근 책을 찾아보니 2013년 「축제 이론」이 있어다. 역시 꾸준하게 이쪽 책을 쓰는 열정 있는 저자로 축제와 문화 관광 쪽 책을 주로 내었다. 저자의 의도처럼 축제와 삶을 두고 생각해볼거리가 충분한 책이었다.
그런데 일단 축제라는 말이 주는 어감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야겠다. 축제하면 축하와 제사의 합친 말로 즐거운 느낌이 우선 앞선다. 그런데 오래전에 축제는 잔치나 축전으로 순화하라고 했던 거 같아서 찾아보니 역시 그랬다. 그러나 아직도 대중적으로 축제라는 말이 계속 쓰이고 있으며 저자 역시도 축제라는 말을 계속 쓴다. 이는 일종의 오류라고 보기는 뭐 하지만 어서 하나로 보편화된 말이 생기면 좋겠다. 입에 벌써 축제가 붙어버렸지만 축전이란 말도 괜찮은 거 같다. 그리고 잔치란 말은 좋기는 해도 어쩐지 축제를 포함하는 말이 아닌듯한 느낌이 있다. 보다 광범위하게 느껴지는 축제와 소규모로 느껴지는 잔치. 이것은 나만의 느낌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또 아이러니한 건 Festival(페스티벌)은 영어 그대로 쓰지 않고 축전, 축제로 순화한다고 적혀있다는 사실이다.(네이버 국어사전에) 이렇게 정해진 바가 없어서야. 아마도 이대로 정착돼 가는듯하여 바꾸기 어려운 말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르겠다. 아무튼, 저자의 방식대로 그리고 통념적으로 축제라고 하니 축제로. 사실 딱 어울리는 말을 못 찾겠다는 게 솔직한 마음이다.
축제는 인간의 기본적 속성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파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기득권의 권력, 불평등적 모순, 억압과 갈등, 어두움과 희미함을 걷어내고자 하는 것이 축제이다. 그래서 축제 속에서 인간은 끊임없이 파괴하고자 하며 스스로 모든 세속적인 허울과 위선을 벗어던지거나 모든 세속적 허상을 감출 수 있는 가면을 쓰고 변장을 하고 온몸에 그림을 그린다.
(축제의 의미, 4쪽)
이 책에서 필자가 시종일관 밝히고자 했던 바는 축제에 대한 고찰은 곧 `삶`에 대한 고찰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과연 축제를 벌이고 즐길 수 있는 삶의 뿌리를 굳건히 내리고 있는가라는 생각을 깊이 해볼 수 있다. 아직도 대박과 한탕주의, 황금만능주의, 출세지향주의, 조급함 등이 우리의 일상을 절대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우리에게 축제가 안정된 자리를 잡을 수 있을까 하는 점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축제에 대한 고찰은 놀고 즐기는 그 자체에 대한 고찰이라기보다는 바로 내가 살고 있는 삶, 그것의 본질에 대한 고찰이어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국 축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88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