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촌스러운 표지에 그려져 있는 또 촌스러운 삼미슈퍼스타즈 그림. 한겨레문학상을 탔다는 거 말고는
야구에 관한 팬의 이야기라고만 생각하며 책을 잡았다. 작년부터 읽었는데 서울에 두고오는 바람에
이번에 새로 마주했다.

1할 2푼 5리의 승률로
세상을 살아가는 모두에게
그래서, 친구들에게


야구보다는 차라리 야구장에 가서 응원을 하기를 바라는 내게는 1할 2푼 5리라는 말부터 생소하다.
연인에게 확인을 한 후에야 이해했다. 희박한 승률이었다. 그래서 말이 되는구나...
프롤로그에 1982년에 있었던 일들이 숨 가쁘게 나열되어 지루했지만 왜 그렇게 말했는지 알 만했다.
바로 그때 삼미슈퍼스타즈의 결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겨우 내가 7살 때의 일이다. 아무튼 1982년
에는 한국에서 프로야구가 탄생한 최초 원년인데다 소년에게는 전부가 된 팀의 역사가 시작된다.

소년의 전부인 삼미슈퍼스타즈의 경기와 소년의 성장이 앞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성장소설.
경쾌하고 도무지 지루할 줄 모르는 그의 글은 확실히 재미있다. 머리에서 잡생각이 들 시간도 없이
책장은 빨리도 넘어간다. 경쾌하다고 하니 요즘 경쾌한 일본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박민규의 글을
추천하겠다. 얼마나 시원하고 고소한지 직접 느낄 수 있으니 말이다. 그리고 1980년대에 학창시절을
보낸 이에게도 권하고 싶다. 분명 지금과는 다른 그 시절이 느껴지고 추억이 떠오른다.
소제목에 노랫말을 쓰기도 했는데 '나도야 간다.', '비 맞은 태양도 목마른 저 달도.' 등 노래까
지도 머리에서 생각났다. 그때 초등학교에 다닌 나도 가물거리던 기억을 들춰보는 재미가 있었다.

다만, 야구팬이었다면 더 즐겁게 읽을 수 있었을 텐데 아쉽다. 물론 변함없이 되풀이되는 그의 문체가
때로는 재미보다 가벼움을 느끼게 하지만 그 문제의 말투(문체)가 어쩌면 또 다른 개성이 아닐까도 싶
다. 그리고 입에서 나오는 대로 쉼 없이 길게 이어진 문장이 언제나 재미있지만은 않았다. 예전의 나라
면 절대 허용하고 싶지 않은 티로 보일 테지만 이상하게도 이제는 그러려니 하고 넘어간다. 그 정도야
손가락으로 살포시 꾹 눌러버리고 이야기 자체에 빠지기 때문이다. 작가의 최신작 『카스테라』,
『핑퐁』은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다.

'나는 보았다. 꽤 노력도 하고, 평범하게 살면서도 수치와 치욕을 겪으며 서민층에 묻혀 있는 수많은
얼굴들을. 무진장, 혹은 눈코 뜰 새 없이 노력하면서도 그저 그런 인간으로 취급받으며 중산층에 파
묻혀 있는 수많은 얼굴들을. 그리고 도무지 그 안부를 알 길이 없는ㅡ이 프로의 세계에서 방출되거나
철거되어ㅡ저 수십 km 아래의 현무암층이나 석회암층에 파묻혀있을 수많은 얼굴들을, 나는 보았다.'
ㅡ 129쪽. 주인공.


삼미슈퍼스타즈의 고별전을 보고 돌아온 주인공의 반응이다. 전부였던 영웅을 뒤로하는 소년은 이제
세상에서 잘 살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낸다. 낙오되지 않기 위해 이 즐거운 자본주의 세계
에서 살아남으려고 그가 선택한 방법은 모범생 즉 프로가 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줄기차게 그 길을 걷
는 소년의 이야기로 초점이 옮겨진다.


'다들 돼지발정제를 마신 것처럼 땀을 흘리고 숨소리가 거칠어져 있어. 아무래도 놈들이 원하는 건
돈과의 교미가 아닌가 싶어. 이미 마신이상은…… 그 끝을 보지 않을 수 없는 거지. 어쩌면 우리가 대학
을 간 것도 다 그걸 마셨기 때문이야. 지금은 느끼지 못해도 좀더 시간이 흐르면 알게 되겠지. 여하튼
땀이……나고 숨소리가 거칠어질테니까. 내가 왜 이러지? 난 결백해……하며 똑같은 짓을 하게 될거라
구. 분명해. 그래, 분명 누군가가 우리에게 그걸 먹였어. 우리가 마셔온 물에, 우리가 보는 방송에, 우리
가 열광하는 야구 경기에, 우리의 부모에게, 이웃에게, 나, 너, 우리, 대한민국에게……놈은 차곡차곡
그 약을 타온 거야. 너도 명심해. 그 5분이 지나고 나면, 우리도 어떤 인간이 되어 있을지 몰라…….'
ㅡ 182쪽. 친구 조성훈.


이 책에서 가장 재미있는 방식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인물이라고 생각되는 조성훈의 말이다. 가끔 그는
현실을 꼬집기도 하고, 느긋하게 그러나 집념이 있으며 또 가끔은 이상주의자 같다.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이 결성되는데 구성인들은 하나같이 개성이 뚜렷하면서도 현 사회에서 찾아볼 수 있는
그 누군가이다. 읽어갈수록 어떤 결말을 낼지 궁금하던 차에 꽤 산뜻한 결론에 빙그레 웃음이 인다.
작가의 문체, 삼미슈퍼스타즈 그리고 인생관. 이 삼박자가 잘 버무려진 작품이다. 인생을 스포츠에 빗
대어 잘 말해주었다. 승리에 집착하지 않고 즐기는 것. 참, 이 작가.. 이외수 선생이 왜 떠오르지? 풋.

'필요 이상으로 바쁘고, 필요 이상으로 일하고, 필요 이상으로 크고, 필요 이상으로 빠르고, 필요 이
상으로 모으고, 필요 이상으로 몰려 있는 세계에 인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ㅡ 279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07-01-17 08:41   좋아요 0 | URL
박민규의 이 소설은 읽는 사람에 따라 참 색다른 의미로 다가가나 봅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 참 많이 와 닿네요.

은비뫼 2007-01-17 22:44   좋아요 0 | URL
소설에서 각자의 상황이나 취향 등에 걸맞게 느끼는 거 같습니다. 그래도 그 경쾌함은 누구에게나 마찬가지 같습니다. 저도 마지막 구절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