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끼친 가장 큰 영향은 가열이다. 한때 지구인들은 ‘global warming‘을 ‘지구 온난화‘로, ‘global boiling‘을 ‘지구 열대화‘로 번역했다. 참으로 한가한 사람들이다. ‘온난화‘라는 말은 전혀 두렵지 않다. 따뜻하고 훈훈하면 좋은 것 아닌가? ‘열대화‘도 마찬가지다. 열대 과일이 얼마나 맛있는데? global warming은 지구 온난화가 아니라 ‘지구 가열화‘로, global boiling은 지구 열대화가 아니라 끓어오른다는 뜻의 ‘지구 비등화‘로 바꿔야 마땅하다.
- P109

결국 인류세와 지난 다섯 차례 대멸종의 결정적인 차이는 환경변화를 누가 일으켰느냐이다. 지난 다섯 차례 대멸종의 원인은 자연이었다. 당시 생명은 속수무책이었다. 지금 여섯 번째 대멸종, 인류세의 원인은 무엇인가? 당신들 인류다. 똑똑한 인류다. 그러니 얼마나 다행인가? 화산이 터져서도 아니고, 소행성이 부딪혀서도 아니고, 초대륙이 만들어져서도 아니다. 오로지 당신들 인류의 소행이다. 그러니 해결법도 간단하다. 당신들만 변하면 된다.
- P111

2015년 파울 크뤼천을 비롯한 12개국 과학자 26명은 인류세가 시작되는 시기를 20세기 중반, 즉 1945~1950년으로 잡자고 주장했다. 외계인이 와서 봐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지질학적인 특징이 분명하다고 생각했다. 1950년 지층부터 전 세계 지층에서 방사선이 검출된다. 핵실험을 엄청나게 했기 때문이다. 또 모든 땅에서 콘크리트와 플라스틱이 쏟아져 나온다. 이전 시대에는 없던 것들이다. 생물학적 지표도 있어야 한다. 이들은 닭 뼈가 지표라고 생각했다. 전 세계 사람들이 갑자기 닭을 먹기 시작했다. 공장식 양계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류세는 공식적인 용어로 채택되지 못했다. 2024년 3월 5일 국제지질학연합 IUG 산하 제4기 층서 소위원회는 인류세 도입안을 반대 66퍼센트로 부결했다. 그렇다고 해서 과학자들이 지구 시스템에 미치는 인류의 영향을 통째로 부정한 것은 아니다.
다만 세계 지질학계가 지질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질학적 중거가 새로운 지질시대를 구분할 정도로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에 서로 합의했을 뿐이다.
- P1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로운 생명이 등장하려면 빈자리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생태계는 꽉 차 있다. 어떻게 해야 할까? 누군가가 생태계에 빈자리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그게 바로 멸종이다. 멸종이란 다음 세대의 생명체를 위해 자리를 비켜주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케이크를 먹는 방법
김효은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침 우리집도 오늘 케이크를 먹었는데...ㅎㅎ
다둥이 가족은 더 많이 공감할듯.
작가의 의도는 알겠지만 그러나 케이크는 다섯이 아닌 일곱으로 나누어야 한다.
부모님도 늘 같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안그럼 애들이 어머님은 진짜 짜장면을 싫어하는 줄 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재 구글은 우리의 지메일을 전부 읽고 우리의 스타일을 모방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서 광고 회사에 판매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인 우리는 실제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조차 모르죠" (...) "구글이 우리의 지메일을 전부 읽고 우리가 빠르고 긍정적으로 응답한 이메일을 확인해 그 스타일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스타일이 우리를 특히 잘 설득하는지 알게 되죠. 여기에는 불법인 지점이 전혀 없어요. 이러한 활동에서 우리를 보호할 법이 없어요. 이게 우리의 사생활을 침해하나요? 우리의 자료를 판매하는 게 아닌데요. 그저 우리가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우리 자신보다 더 많이 파악해최고 입찰자에게 판매하는 거예요."
- P264

(...) 전문가들은 현재 우리의 식사가 집중력을 훼손하는 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설명했다. 첫 번째는 현재 우리가 먹는 식단이 에너지의 급상승과 강하를 주기적으로 유발한다는 것이다. 
(...)
우리의 식단이 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방식은 현재 우리 대다수가 먹는 음식에 뇌가 제대로 발달하고 기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이 없다는 것이다.
(...)
세 번째 이유는 앞의 두 가지와는 다르다. 현재 식단은 우리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부족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뇌에 거의 마약처럼 작용하는 듯 보이는 화학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 P3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는 내게 디지털 디톡스가 "해결책이 아니"라고 말했다. "일주일에 이틀씩 바깥에서 방독면을 쓰는 노력이 환경오염의 해결책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예요. 개인 차원에서는 단기간 특정 효과를 볼지 몰라요. 하지만 지속 불가능하고,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지도 못하죠." 그는 광범위한 사회에서 거대한 침략 세력이 우리의 주의력을 크게 바꿔놓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실제로는 환경의 변화만이 진정한 차이를 만들 수 있는 상황에서 개인의 절제가 주요 해결책이라 말하는 것은 "문제를 개인에게 떠넘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 P1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