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의 공감필법 공부의 시대
유시민 지음 / 창비 / 201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무작정 유시민의 책 하나를 읽고 싶었다.  정작 그의 책은 한번도 읽어본 적이 없었다.

인기작가라 그런가 전부 대출중.

이 책을 고른건, '공감필법'이란 제목이 끌리기도 했지만, 예약순번이 빨라서 이기도 하다.

이것도 다 운명이겠지.


책에 대해선 전혀 아는바 없이 고른터였다.

2016년 [창작과 비평] 창간 50주년 기념으로 공부의 시대 연속특강에서 했던 강연과 질의응답을 간추리고 보충한 내용이란다.

강연을 바탕으로 해서 서술도, 분량도 부담없이 읽을 수 있었다.

원래 강연의 제목은 '공부와 글쓰기'였는데 책으로 출간하면서 제목을 좀 더 멋지게 바꾸었다.

읽는 동안 '책은 도끼다'가 생각이 났다.

비슷한 주제지만 서술방식이 무척 부드럽고 편했다.

'책은 도끼다'에서 처럼 많은 책들이 등장해서 다 읽고 싶은, 혹은 다 읽어야할 것만 같은 부담감은 없다.

적은 분량이지만 천천히 음미하며 읽으려 애썼다.

공부의 시대 시리즈 나머지 네 권도 다 읽어보고 싶다.


공부와 글쓰기를 이야기했는데 내겐 인간관계에 대한 부분이 더 와닿았다.

내가 맺고 있는 인간관계를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한다.

나, 잘 살고 있는가?


어떤 텍스트를 비판하려면 먼저 그 텍스트를 있는 그대로 이해해야 합니다. 어떤 사람이 터무니없어 보이는 주장을 하는 경우에도 텍스트를 쓴 사람에게 감정을 이입해서 그 사람의 눈으로 그 텍스트를 봐야 합니다. 글쓴이가 무슨 생각과 어떤 감정을 텍스트에 담았는지 살펴본 다음 빠져나와서 자기 자신의 눈으로 그 텍스트를 비평해야 하는 겁니다. 그래야 그걸 쓴 사람뿐만 아니라 제3자도 그 비평에 쉽게 감정을 이입할 수 있어요.
- P40

‘코스모스‘를 읽을 때 오류를 찾아내겠다는 태도롤 읽지 마십시오. 칼 쎄이건이라는 지식인에게 온전히 감정을 이입해서 읽으십시오. 그래야 공부가 됩니다. 그래야 그 사람처럼 타인의 감정이입을 끌어내는 글을 쑬 수 있게 됩니다. 이유는 자명합니다. 타인의 글을 읽으면서 공감을 느낄 능력이 없다면, 타인이 공감을 느낄 수 있는 글을 쓸 수 없기 때문이지요.
- P43

글을 쓸 때 개별적 경험을 일반화하는 게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꺼낸 겁니다. (...) 그분은 자기 변화는 인간관계의 변화를 통해 완성된다고 보았습니다. 자신의 생각과 말과 행동방식을 바꾸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자기가 맺고 있는 인간관계가 바뀌어야 개인의 변화도 완성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떤 사람이 맺고 있는 인간관계의 변화가 그 사람의 질과 높이의 상한(上限)이라는 겁니다. 같은 키의 벼 포기나 어깨동무하고 있는 잔디가 그런 것처럼 말이지요.
- P50

책을 읽으면서 저자가 책 속에 심어놓은 생각과 감정을 읽어내고 그것을 바탕으로 세계와 인간과 나 자신을 더 깊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공부의 한 면이고, 그렇게 해서 생각하고 느낀 것을 문자로 옮기는 글쓰기는 공부의 다른 면입니다. 세상을 대하고 나를 대하고 타인을 대하는 태도나 방식을 정할 때, 우리는 독서를 통해서 얻은 정보와 지식을, 책을 읽으면서 느낀 감정을 활용해요. 그래서 어떤 책을 어떻게 읽는지에 따라서 사람의 감정과 생각이 바뀌며, 감정과 생각이 달라지면 행동도 달라집니다.
- P58

자기의 생각과 감정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지해야 글로 그것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먼저 그 생각과 감정을 나타내는 어휘를 알아야 합니다.
(...) 구사할 수 있는 어휘의 양이 생각의 폭과 감정의 깊이를 결정합니다. 자기 자신과 인간과 사회와 역사와 생명과 자연과 우주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좌우합니다.
- P81

공부는 단순히 지식을 얻는 작업이 아닙니다. 오감으로 직접 경험하거나 신문, 방송, 책을 통해서 간접 체험하는 모든 것에서 정보, 지식, 생각, 감정을 읽어내어 교감하고 공감하고 비판하고 대립함으로써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공부입니다.
- P89

독서에서 중요한 것은 양이 아니라 ‘맛‘입니다. 한권이라도 음미하면서 읽고 행복한 상상을 하는 게 그런 것 없이 100권을 읽는 것보다 낫습니다. 다독 그 자체를 목표로 삼는 게 어리석은 것처럼, 속독하려고 애쓰는 것도 어리석은 일입니다. 좋은 책은 천천히 아껴가면서 읽어야지요. 맛난 음식을 음미하면서 천천히 씹어 먹는 것처럼요.
- P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웃님이 알려주셔서 공유해요
마침 보고싶었던 영화였거든요
혹 관심있으신분들 참고하세요
원문은 카스에 있는데 그대로 퍼왔어요

****

 10월 20일 저녁 7시 영화 공범자들 공개 후 90시간만에 유튜브 조회수 100만을 돌파했습니다. 
 
공범자들의 영화관 관객수 26만의 약 4배입니다.
가까운 영화관에서 볼 수 없었던 분들과 해외 계신 분들까지 공영방송을 망친 '공범자들'의 민낯을 확인하셨습니다. 
 
좋아요를 눌러주신 분들만 2만 4천여명.
댓글수는 4천개를 넘었습니다.
분노와 공감, 그리고 응원의 댓글들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아직 못보신 분들은 https://youtu.be/93JfBfMtDS4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 보신 분들은 주변 분들에게 알려주세요. 
 
영화 공범자들 무료 상영 이제 열흘 남았습니다.
https://film.newstapa.org 
 
영화 '공범자들'은 시민들의 후원으로 제작됐습니다.
http://newstapa.org/donat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군자금을 대는 마음으로 책을 샀다.

도서관 예약 순번을 기다리려면 내년까지 가야할 것 같았다.

영화를 보고 싶었으나 개봉관도, 맞는 시간도 찾기 어려웠다.



http://www.podbbang.com/ch/9938?e=22365347

 


김용민 브리핑에서 소개했던 꼭지를 듣고는 무척 흥미로웠다.

대략적인 내용은 알고 있었지만 이 책을 읽으면 MB의 악행을 낱낱이 소상히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했는데 그건 아니다.

MB를 어떻게 취재했는데, 그 과정이 얼마나 힘들었는지 정도는 알 수 있으나

앞뒤 정황을 잘 파악하고 있지 않은 독자들에게는 친절할 만큼 상황설명을 해주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았다.

기자라서 글을 잘 쓸것 같았는데 본인 말대로 말이 짧듯이 글도 짤막짤막, 행간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팟캐스트 방송에서 나온 부분이 대부분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그를 응원하는 마음과 달리 이 책의 별점은 많이 줄 수가 없다.


p. 87

이명박의 가훈은 '정직'이다.


심각하게, 분노하며 읽다가 빵 터진 대목.


특이하게 북 OST가 있다.

이승환의 돈의 신.

가사도 가사지만 뮤직비디오 장면마다 은유가 기가 막히다.

썩은내 진동하는 곳에서 열심히 일하는 그들을 열심 응원한다.

그래서 '돈의 신' 음원도 구매했다. ㅋ



https://youtu.be/8J9XTCXoGx4


늬들은 고작 사람이나 사랑 따윌 믿지
난 돈을 믿어 고귀하고 정직해 날 구원할 유일한 선
늬들은 왜 그리 사니 근데 왜 그 꼴로 사니
돈으로 산 내 권세와 젊음 내 삶을 올려다봐

늬들은 고작 날 욕하거나
조롱이나 하지 날 부러워 하지
행복하자면서 돈이 다가 아니란 말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
니가 하면 투기 내가 하면 투자
니가 하면 사기 내가 하면 사업
나는 나는 돈의 신 오 나의 세금들
The dirty money Rules the world
Rules the world Rules the world
나는 나는 돈의 신 오 나의 개돼지 워
나는 나는 돈의 신 오 나의 천민들
The dirty money Rules the world
Rules the world Rules the world
나는 나는 돈의 신 오 나의 개돼지 워

사랑도 정치도 머니 예술도 쇼미더머니
머니가 아니면 너는 머니 그건 마 엉터리
나는 나는 돈의 신 오 나의 세금들
The dirty money Rules the world
Rules the world Rules the world
나는 나는 돈의 신오 나의 개돼지 워
돈의 신 나의 천민들 돈의 신 나의 세금들
돈의 신 나의 노다지 돈의 신 나의 개돼지
아, 신묘한 꼼수를 부리시어 땅을 새로이하고
아, 자원을 다스리며 물을 가두시니
돈의 산성을 악의 장벽을 쌓으셨네
The dirty money Rules the world
Rules the world Rules the world
돈의 신 돈의 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작을 읽지 않았다면 그저 코미디 영화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그런 면에서 영화의 마케팅은 실패했지않나 싶다.

(사진: 네이버 영화)
http://blog.aladin.co.kr/iphooni/9625265

책을 읽을 때 보다 영화로 보는게 무얼 말하고자 하는지 메세지 전달이 더 쉬웠다.

그건 아마도 배우들의 디테일한 연기 덕분이지 않을까.

책을 읽는 동안 주연배우들과 씽크가 안맞는다고 생각했었는데

막상 영화를 보니 그런 생각들은 싹 잊게 된다.

몇몇 인상적인 장면들이 있었는데 스틸컷이 없어서 아쉽다.

(개인적으로 담벼락에 핀 꽃이 인상적이었다.

"담벼락에 꽃이 예쁘게 피었다. 엄마처럼 말이야.")

가족 회식자리에서 다투다 결국 옆자리 사람들과 싸우게 되는 이 장면은 가족, 아니 식구의 힘을 보여준 장면인 것 같다.

그 곳에서 묵묵히 술한잔 하는 배우 윤여정의 디테일한 표정연기가 좋았다.

식구.  한솥밥 먹는 사람들의 거칠지만 끈끈한 의리.

그 장치로 함께 밥먹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식욕을 자극하는 음식들. 배고플때 보면 참기 힘들겠다.

엄마는 자식들 입으로 들어가는 고기만 봐도 배가 부른가 보다.

자꾸만 고기를 먹인 이유는 삭제장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딱 어느 장면이라고는 꼬집진 못하겠으나 그냥 눈물이 났다.

슬픈 영화도 아니었는데.

원작과 다른 해피엔딩이다.

사실 원작의 더 통쾌한 해피엔딩이 더 좋긴 하지만, 그보다는 영화가 좀 더 현실적이긴 하다.

엄마도 돌아가시지 않고 계속 해피하게 살고 있으니 다행이다.

"밥은 잘 먹고 다니니?"

늘 이런 말을 하던 엄마가 생각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봉파 화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