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다란 순무 비룡소 세계의 옛이야기 48
아그라프카 아트 스튜디오 그림, 이반 프랑코 글 / 비룡소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커다란 순무는 그저 유명한 작가의 재미있는 그림책인줄로만 알았는데

우크라이나의 옛이야기인줄은 몰랐다.

같은 내용이라도 그림에 따라, 글에 따라 재미가 다르다는 걸 알게 해준 그림책이다.

띠지로 감춰진 순무는 도대체 얼마만하길래 커다란 순무라고 하는지 궁금하게 만든다.



비룡소의 세계의 옛이야기 시리즈로 나온 커다란 순무.

그 나라의 색깔이 잘 드러난다.

우크라이나라는 나라는 어디에 있는 건지 이번 기회에 짚어줬다.

덕분에 세계지리도 공부하게 되네.




세련된 일러스트가 돋보인다.

할아버지와 할머니, 그리고 딸(다른 작품에서는 손녀였던 것 같은데), 개, 고양이, 생쥐 친구가 등장한다.




순무가 점점 자라는 과정을 줄자를 이용해서 실감나게 했다.

얼마만큼 자랐는지를 비교하기 쉽도록 설명해준 것도 좋다.





할아버지의 힘으로는 안돼서 할머니가 돕고, 딸과 개, 고양이, 생쥐까지

손을 보태는 장면으로 일꾼이 하나씩 늘때마다 날개처럼 펼쳐지는 편집이 아이들 시선을 끌기 좋았다.






거기에 어기영차 어여차! 순무야 나와라!

반복되는 어구라서 이 부분은 아이들에게 맡겼다.




 


어디선가 들어본듯한 이야기지만

글밥과 그림에 따라 참 다른 느낌이 나는구나 싶다.

특히 일러스트와 편집에서 눈길을 확 끄는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방울 콘테스트 - 감동, 공감, 소통, 희망에 대한 이야기 꿈터 지식지혜 시리즈 40
마일두 글, 김이주 그림 / 꿈터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용이나 그림은 그닥....
근데 눈물은 마음속 얼음이 녹아서 나는것이란 말은 맘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시 김동성의 그림은 옳다
글밥이 상당하지만
다름과 친구를 이야기하는 그림책이다
읽다 보니 같은날 읽은 책들이 좀 비슷하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맙습니다, 선생님 아이세움 그림책 저학년 2
패트리샤 폴라코 지음, 서애경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승의 날을 앞두고 있어선가 더 와닿네
이런 스승님들이 많았으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임69 2016-05-03 15: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참된 스승을 찾기 위한 바라라기가 꼭 필요 할때지요
 
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참 좋은 책을 만났다.

한국인이면서 우리의 것을 제대로 볼 줄도 몰랐다는 것이 부끄러웠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음에 감사한다.

박웅현의 <책은 도끼다>에서 살짝 언급되었던 책이었는데

궁금해서 골라봤는데 홈런을 쳤다.

그래서 이번달 독서모임에 추천할 책으로 이걸 골랐다.



저자의 강연내용을 책으로 엮은 것이라 구어체이다.

그래서 마치 강연자가 앞에 있는듯한 느낌이 든다.

PPT를 보듯 도판도 상세하게 나와 있어 이해에 무척이나 도움이 된다.

부록으로 <김홍도의 삶과 예술>이란 주제로 작품설명이 나온다.

본문과 중복되기도 하지만, 이번엔 문어체라서 읽는 맛도 다르거니와

강연에서 들은 내용을 복습하는 시간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옛그림을 감상하는 법을 친절히 알려준다.

감상 거리는 작품의 대각선크기의 1배에서 1.5배,

무엇보다 내가 놓치고 있었던건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쓰다듬듯이 감상하라는 거였다.

가로쓰기가 아닌 세로쓰기를 하던 옛날이라 서양식으로 왼쪽에서부터가 아닌 오른쪽부터 감상해야한다는 걸 몰랐다.

이런건...학교에서도 안배운것 같다.

부끄러웠다.


 

원작과 함께 상세한 설명이 나와 있어

책장을 앞뒤로 넘겨가며 해설한대로 보면 정말 와~ 이런 그림이었어?

새삼 놀랍다.

모두들 "훌륭한 작품"이라고 해서 그런가보다 하는게 아니라

이런 방식으로 그림을 읽다 보니 그림 보는 맛이 다르구나,

아하! 이래서 좋은 작품이구나...느껴진다.

<씨름> 작품에 대한 의외의 평 또한 새로웠다.


무척이나 끌렸던 작품,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호암미술관 소장이라니 당장 호암미술관으로 달려가고팠다.


 


다른 작가의 호랑이 그림과 비교해보니 역시...다르긴 다르구나 싶다.

해설을 보기 전에 이 그림을 보고 설마 이것도 김홍도 작품인가 싶었는데 다행(?)이도 아니었다.

이제 그림 보는 눈이 조금은 생긴건가?


 


안타깝게도 송하맹호도의 표구는 일본식이란다.

우리식으로 표구한 그림과 완전히 느낌이 다르다.

옛그림을 전시한 곳의 70% 정도가 다 이런 일본식이라는데,

작품의 훼손이 우려되어 우리식으로 다시 표구할 수 없음이 안타깝다.

이전의 우리의 것을 제대로 지켜내지 못한건 내 책임이 아니라면,

이후의 것을 제대로 지키지 못한 책임은 내게도 있음이리라.


 

 

그냥 이순신 초상이라니까 그런가보다 하며 별다른 생각이 없었다.

근데 정말 이건 상상화이니 초상화는 아닌듯하다.

화폐속 인물화에 대한 생각도 다시 한번 해보게 되었다.

다시 어떻게 안되는 건가?



이젠 고인이 되신 작가의 훌륭한 강연을 집에서 편하게 들은 기분이다.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실로 대단하신 분이다.  그것은 미래의 자신감으로 연결된다고 말씀하신다.

진정 우리의 것에 대한 자부심이 생기는 시간이었다.

강연내용을 옮긴지라 이쪽 저쪽 하는 지시어가 뭔지 이해하는데 간극이 생기는 것은 좀 아쉽지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강연이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어 나같은 문외한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당장 국립중앙박물관으로 달려가고프게 만든다.

 

p. 33

예술 작품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마음을 기울여 찬찬히 대하는 사람에게는 누구에게나 그 속내를 내보입니다.
(...)
보고 듣는데 왜 안보이고 안 들릴까요?
마음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애초 찬찬히 보고 들을 마음이 없이 건성으로 대했기 때문입니다.
(...)
마음으로 보고 들으면 굉장히 행복할 것을,
"아, 내가 평소 하는 일도 하 많은데 무슨 예술 작품에까지 신경을 쓰겠나?" 하고
미리 본인이 마음을 닫아 버린다면, 어느 무엇도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게 되고 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