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뒤에 누구? 아기 그림책 나비잠
뱅상 마티 지음, 박대진 옮김 / 보림 / 2017년 6월
평점 :
품절



보림 나비잠 아기그림책 "자동차 뒤에 누구?"는 일명 짝짝이책 시리즈다.

도톰한 특수재질의 보드북으로 책장을 덮을때 짝! 소리가 나기 때문에 생긴 별명이다.



칙칙폭폭 기차, 씽씽 비행기, 부릉부릉 오토바이, 넘실넘실 배, 뛰뛰빵빵 버스 등 탈것이 나온다.

유아들에게는 의성어 의태어와 함께 사물인지도 익힐 수 있다.

초등 2학년 국어시간에 말놀이 단원이 있다.

자동차 뒤에 누구? 기차 뒤에 누구? 비행기 뒤에 누구? 이럼서 녀석이 말놀이를 하는거 보니 헛배운건 아니구나 싶다.




다음장에 나오는 탈것이 무엇인지 살짝만 보여준다.

사물의 일부만 보여주고 유추해보면서 숨바꼭질 놀이도 함께 할 수 있다.



 



짝짝 소리를 내며 책장을 넘기면서 소근육발달도 되고 사물인지와 까꿍놀이, 말놀이까지

이 작은 책 하나에 많은 의미가 숨겨져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풀잎 2017-07-31 0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고 아담하니 영유아 소근육발달뿐 아니라 책읽는 재미도 있지요
 
펭귄 뒤에 누구? 아기 그림책 나비잠
뱅상 마티 지음, 박선주 옮김 / 보림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영유아책을 본다.  꼬맹이들은 이제 언니됐다고 안볼 줄 알았는데
그림책은 0세에서 100세까지 보는 책이란 말이 맞는지 한참을 가지고 논다.

 


표지의 "펭귄 뒤에 누구?"부터 시작해서 바다표범 뒤에 누구?  또 뒤에 누구?
동물들을 설명하는 의성어 의태어와 "뒤에 누구"라는 말이 같은 리듬으로 반복된다.
단순해 보이지만 아이들이 참 좋아하는 리듬이다.


마치 숨바꼭질 하듯 숨어있는 동물친구들.
그렇지만  뻔히 알만큼 힌트가 나온다.
아이들은 마치 자기가 다 맞춘냥 신나한다.
누~~~구? 길게 어감을 달리해서 읽어주면 더 재미있어한다.



그리고 마지막엔 다시 처음부터!  무한 도돌이표다.
책장을 세게 넘기며 짝! 소리를 들어야 제맛인 보드북이다.
보통의 보드북보다 더 도톰하고 딱딱하다.  종이로만 되어 있지 않은데 정확한 재질은 잘 모르겠다.
무튼 그래서 책장끼리 부딪힐때마다 짝! 소리가 난다. 그래서 일명 짝짝이책.
짝! 소리가 나게 하려면 아이들은 힘조절을 하고 눈과 손의 협응력이 필요하다.
사물인지와 까꿍놀이, 소근육발달까지 이 작은 책 하나에 참 많은 것들이 담겨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모두가 82년생 김지영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310&aid=00000608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대를 위한 경제학 수첩 돌콩 사회 똑똑
이완배 지음, 박정원 그림 / 아르볼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팟캐스트 김용민 브리핑에서 ‘경제의 속살‘ 코너를 애청하 다 설명을 너무 잘해 저서를 찾아봤다
이완배 기자의 코너만 모아 듣기도 할 수 있다
강추!
http://podbbang.com/ch/9938

이 책은 중학독서평설 ‘중딩을 위한 경제학 수첩‘을 엮었다한다
교과연계도 되고 만화로 한 도입도 좋고 해설도 편하게 잘 썼다
초등고학년 이상 읽기 좋을듯하다
어른을 위한 경제학책도 원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 씹어 먹는 아이 - 제5회 창원아동문학상 수상작 보름달문고 61
송미경 지음, 안경미 그림 / 문학동네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 17 "혀를 사왔지" 중에서

우리 엄마 아빠는 내가 말하기도 전에 모든 것을 다 해 주었어.
어릴 때는 웃거나 울기만 해도 원하는 대로 할 수 있었지.
나이가 들어서는 인상을 쓰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것으로 모든 게 가능했고.
글을 일찍 읽고 쓸 줄 알았기 때문에도 혀는 굳이 필요하지 않았지.
또 아빠처럼 잔소리할 때나 쓸 거라면 차라리 내겐 혀가 없는 게 낫다고 생각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