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과 집
태풍이 온다고 해. 아직 오지 않았는데 태풍 소식만으로 저녁 운동을 가지 않았어. 태풍 하면 떠오르는 게 학술 반에서 지리산으로 MT 갔을 때야. 태풍이 와서 산 아래 숙소에서만 지냈잖아. 쫙쫙 내리는 비를 맞으며 너랑 달리기했는데... 또 다른 기억은 2003년 태풍 매미 때였어.
태풍 매미는 아마 이맘때쯤이었을 거야. 추석 명절 인사드리러 서당 선생님 댁에 갔는데 비바람이 거세게 몰아쳐서 선생님이 자고 가라고 하셨어. 남편이 집에 창문을 열어놓고 와서 가야 한다고 하고. 선생님이 화까지 내셨지만 우리는 선생님 집을 나왔어. 도로엔 우리 차뿐이었어. 신호등은 붉은색만 깜빡이고 폭포수 아래에 서 있는 것처럼 거리에 물이 쏟아졌어. 우리 차는 달리는 것인지 물 위에 떠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을 정도였지.
그렇게 우리는 집으로 왔어. 집. 집에 있으면 다 괜찮을 것 같아. 하늘이 찢겨서 하늘 위에 있는 것들이 다 쏟아져도 안락할 것 같은 집. 전에 지진이 났을 때 집 밖에서 집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운동장에서 기다리던 사람들이 생각나. 우리는 안으로 들어가려 해. 문을 닫고 자궁처럼 포근한 방에 불을 켜려고 해. 그런 곳이 집이지.
집이 있는데, 다시 집을 찾는 사람도 있어. 해외로 입양된 사람들이 다시 여기로 와 엄마를 찾아. 집에서 쫓아낸 사람을 찾아. 이해한다고 말해. 정말 이해하는 걸까? 너무 들어가 보고 싶어서 이해한다고 착각하는 건 아닐까? 어쨌든 엄마가 집이기도 하지.
중학교 때 가출하는 친구들이 있었어. 걔들은 집 밖에서 무얼 했을까? 어쩌면 또 다른 집으로 들어가려고 용을 썼을지 몰라. 어디서든 자야 하니까. 여행자들은 어떨까? 그들은 대부분 돌아오기 위해 떠나는 사람, 집이 있는 사람이지. 돌아갈 곳이 있는 사람의 당당함이 있어. 노숙자는 다르지. 그들은 돌아갈 곳이 없어. 집이 없지.
오늘 엄마가 오셨어. 태풍 온다고 우리 집에 주무시라고 했더니 그냥 가셨어. 문단속해야지, 태풍이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그렇게 엄마는 닫을 문이 있는 엄마의 집이 있어. 닫을 문이 없는 사람들은 오늘 어디서 밤을 지낼까.
겨울밤
_황인숙
뺨에 쩍쩍 들러붙는 삭풍의 채찍질
걸음을 재촉하네
내 고양이들은 예제서 뒹굴고
보일러는 자주 기척을 내겠지
따끈따끈 바닥이 달궈진
방이 기다리는
집으로 들어가는 길
달의 고드름 아래
뱃속까지 얼어서
죽을 때까지 살아 있는
길의 사람들
길의 고양이들
밖에 두고 문을 닫네
-황인숙, 『못다 한 사랑이 너무 많아서』(문학과지성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