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귀도 알아듣는 시사상식
김초롱.박명석.정새미나 지음 / 시드페이퍼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아나운서 준비용 면접 스터디 때문에 시작한 팟캐스트 <막귀도 알아듣는 시사상식>.

액기스만 모아 모아~ 책으로 나왔네요. 취준생이 보면 좋은 책이기도 하고, 저처럼 일반인도 최신 이슈와 시사용어를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책입니다.

 

<막귀도 알아듣는 시사상식>은 단순히 상식만 나열한 구성이 아닙니다.

그 배경까지 소개하며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지 논점을 짚어주고 있어요. 게다가 김초롱, 박명석, 정새미나 세 명의 저자가 면접에서 답변하는 듯 자기 생각을 정리한 부분은 말발이 돋보이기도 하네요. 

 

위안부 문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등을 다룬 한반도 문제.

핀테크, 금리, 중국의 위상과 관련한 경제 문제.

이슈화된 법 개정안과 제도를 이야기하는 법 문제.

미국 대통령 선거, 이란 행보, IS 만행, 기후변화 등을 다룬 국제 문제.

이 책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나눠 상식과 논리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야부터 읽으면 되는 구성이어서 편하게 뒤적이게 되더라고요.

개인적으로 저는 소녀상을 지켜주오 편과 지옥섬의 숨겨진 진실 편이 기억에 남습니다.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합의문은 피해당사자를 배제한 합의였기에 논란이 되었는데요, 개인의 손해배상 청구권은 살아있다는 대법원 판결상 우리 정부가 적극적으로 중재해야 할 사안임에도 법적 책임은 건드리지 않고 도의적인 사과만 받아낸, 오히려 발목 잡는 합의문이라는 게 문제라는 거죠. <막귀도 알아듣는 시사상식>에서는 먼저 합의문과 관련한 사실관계를 설명하고, 어떤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있는지 조목조목 짚어내고 있습니다. 

 

<몽화>라는 소설에서 강제징용된 청년들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었는데, 마침 이 책에서도 한 번 들어가면 죽기 전에는 나올 수 없었던 지옥섬 하시마섬 이야기를 하네요. 일본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곳이죠. 한국인의 강제노역이라는 역사적 사실은 쏙 빼놓은 채 말이죠. 등재 후에도 애초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일본 정부입니다. <막귀도 알아듣는 시사상식>에서는 하시마 섬 논란의 핵심을 한국 입장과 일본 입장에서 비교해 보고 우리나라의 과제는 무엇인지 생각하게 합니다.

 

 

 

위안부, 강제노역에 대해 일본의 역사 인식을 생각하게 되는 이슈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역시 반성할 부분은 있다는 것. 바로 베트남 양민 학살과 관련해서 말이죠. 베트남 전쟁에서의 만행, 우리 국방부의 공식 인정과 사과는 없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 허물도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요. 역사적 사실에 대처하는 자세를 곰곰이 짚어보게 됩니다. 

 

경제 분야에서는 23년 만의 신규 은행인 인터넷전문은행에 관한 이야기가 흥미로웠어요. 핀테크 시대에 걸맞은 금융권의 변화. 공인인증서와 보안카드 정말 번거로웠던지라 저는 이런 행보가 반갑네요. 국제 문제에서는 IS의 테러와 시리아 난민에 관한 이야기가 아무래도 눈에 쏙 들어옵니다. IS를 논하려면 시리아 내전 문제부터 다뤄야 함을 짚어주고 있더군요. 강국의 편가르기부터 해결이 되어야 할 부분이기도 합니다.

 

 

 

책 마지막에는 국내외 화제의 인물 31명의 이력을 소개하기도 합니다.

이세돌, 버니 샌더스, 차이잉원 등 뉴스에 자주 등장하던 인물들을 한 번에 접할 수 있네요.

 

<막귀도 알아듣는 시사상식>은 세 명의 저자가 각각의 관점에서 말하기에 그만큼 다양한 시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어요. 이런 부분을 생각해 볼 수도 있구나 하면서요. 취준생이나 일반인이 알아야 할 시사상식은 물론 논술, 면접 대비 논점 잡는 방법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구성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