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한 것들의 과학 - 물건에 집착하는 한 남자의 일상 탐험 사소한 이야기
마크 미오도닉 지음, 윤신영 옮김 / Mid(엠아이디)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에서 흔히 보는 평범한 사물의 속을 들여다보고 구조나 성질을 상상하는 재주가 있는 마크 미오도닉 저자. 집착에 가까운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건 우연히 플랫폼에서 누군가에게 면도날에 베이는 칼부림 사건을 겪고부터인데요. 경찰서에서 서류 작성 중 스테이플러 철심, 아버지의 열쇠고리 (물론 그의 등을 베어버린 면도날도 포함해서)... 갑자기 철이 세상 모든 것에 있다는 사실에 극도로 예민해지면서였어요.

 


관심을 두기 시작하니 세상 곳곳에 그게 있더라는 사실을 눈 뜨게 된 거죠. 어떻게 이 한 가지 재료가 수많은 역할을 할 수 있는 걸까 하고 그때부터 평범한 재료의 세계를 탐구하게 됩니다.

 

 

 

 

 


<사소한 것들의 과학>은 평범한 일상 사진 한 장으로 시작합니다.

강철, 종이, 콘크리트, 초콜릿, 거품, 플라스틱, 유리, 흑연, 자기, 생체재료 이렇게 10가지 재료가 옥상 테이블에 앉아 차를 마시는 컷 속에 담겨 있다니. 사진 한 장으로 얼마나 많은 재료가 이 세계를 만들고 있는지 인식하게 됩니다.

석기시대, 청동시대, 철기시대처럼 문명화의 단계를 말할 때도 사용되는 재료. 이런 용어도 새로운 '재료'에 의해 탄생한 것이라는 걸 깨닫고 나니 이 재료를 탐구한다는 주제가 만만한 게 아니구나 싶었네요.

 


"재료의 세계는 단지 우리의 기술과 문화를 전시하는 게 아니라 우리의 일부다." - 책 속에서

 


<사소한 것들의 과학>은 재료들이 어디에서 탄생했고 어떻게 기능하며, 우리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지 알려줍니다. 재료 자체에 대한 지식은 무지했는데, 재료 기술의 진화는 재료와 우리의 관계를 보여주며 인류 문화와 관계를 맺어왔고 그만큼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마크 미오도닉 교수의 글은 대중을 위한 과학 글쓰기에 특화된 글이었어요. 이런 글솜씨를 가진 분이 어디 있다 나타났나 싶을 정도로 그의 글은 매력적입니다. 쉽고 재밌게 이해하며 읽을 수 있게 하는 재주를 가진 분이네요. 추억이 서린 경험담은 유머감각을 가득 담고 있고, 영화 시나리오처럼 쓴 글은 신선한 방식이었어요. 이런 센스있는 과학자 같으니라고.

 


<사소한 것들의 과학>을 읽으며 재료과학이란 주제를 다양한 상식과 정보로 받아들일 수 있었습니다.

칼이 뚝 부러지는 이유를 통해 마법의 영역과도 같았던 강철 제조법이 과학의 영역으로 오게 된 스토리, 공학적 창조물 중 하나로 말할 수 있는 초콜릿의 비밀, 플라스틱 없이는 영화도 없었을 거라는 플라스틱 혁명 등 재료의 위대함을 알게 됩니다. 너무 흔해서 평소 생각하지도 않는 종이에 관한 이야기에서는 쉽게 찢어지기도 하면서 주름과 접힘만으로 종이접기 예술도 가능한 이런 재료가 세상에 드물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네요.

 

 

 


콘크리트의 경우 그저 건축에 사용하는 그 콘크리트만 생각하고 있었다가 자기치유 콘크리트니 콘크리트 천 같은 새로운 형태를 접하니 신기했어요.

새롭게 등장하는 콘크리트 세계를 보면 삭막한 회색빛 콘크리트라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더라고요. 특히 극한 환경에서 살아남는 생명체를 통해 콘크리트 균열을 메꿀 방법을 찾아낸 자기치유 콘크리트 이야기나 저절로 세척되는 콘크리트 이야기를 보면 무생물과 유기체의 구분 한계가 모호해지는 느낌입니다.

 

 

 


유기체만 신기한 게 아니라 무생물의 세계도 이토록 복잡하다니요. 생체재료 등을 통해 이젠 인간의 정체성을 우리 몸의 물질성으로 구분하지는 못할 거라네요. 그보다는 마음, 감정, 감각의 세계로 구분하는 세상이 온 거죠. 그동안 그 중요성을 몰랐고 덜 알려졌던 재료과학. 재료는 인류의 필요와 욕망의 복잡한 발현물이라는 마크 미오도닉 교수의 말이 인상 깊습니다. <사소한 것들의 과학>은 익숙한 세상을 다르게 바라보는 눈을 키워주는 책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