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것도 없는 방에 살고 싶다 - 물건을 버리고 삶을 선택한 10인의 미니멀 라이프 도전기
미니멀 라이프 연구회 지음, 김윤경 옮김 / 샘터사 / 2016년 3월
평점 :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물건을 필요한 것만 최소한으로 남기고서 홀가분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는 미니멀리스트 열 명의 이야기를 담은 책 <아무것도 없는 방에 살고 싶다>.
마음의 안식을 찾을 수 있는 단샤리 열풍이 일본에서 큰 인기몰이라는데 그동안 정리, 버리기에 관한 책을 읽어봤지만, 이 책에 소개된 미니멀리스트들은 버리기의 신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였어요.
아무것도 없는 방이라고 해서 무조건 텅 빈 공간이 아니라 좋아하는 물건만으로 채워진 것을 의미합니다.
좋아하는 물건에 둘러싸여 지내는 편안함을 만끽해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사진으로 보기만 해도 여유가 느껴질 정도네요.

<아무것도 없는 방에 살고 싶다> 책에서는 일본에서 미니멀리스트 붐을 일으킨 유명 블로거들이 나옵니다.
왜 미니멀리스트의 삶을 살게 되었는지, 버리기 선수가 되는 과정, 정리 기술, 삶의 원칙을 이야기하네요.
이론을 실제 적용한 집을 사진으로 확인하니 진정한 버리기란 이런 거구나 감탄하게 됩니다.
특히 아이들 있는 집에서는 어떻게 할까 싶었는데, 아이 키우면서도 유지하는 모습을 보면 놀랄 수밖에요.
"제게 심플한 생활이란 물건을 전부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물건, 그리고 인생에서 소중한 인연으로 만난 물건들을 집 안 곳곳에 조금씩 놓아두는 데서 오는 만족감 같은, 그런 느낌이에요." - 만화가 유루리 마이.
"그녀는 심플한 방을 위해 살아가는 게 아니라 자신의 주변을 행복한 공간으로 만들고 싶을 따름이다." - 회사원 오하기.

결혼을 계기로, 애인과 헤어진 후, 동일본 지진을 계기로, 인테리어에 관심이 생기면서 등등 다양한 계기로 버리기 선수가 되는 과정이 나오는데요. 다들 한결같은 목소리로 말하는 부분은 미니멀리스트가 된 후에는 시간 관리도 탁월해지고, 집이 정말 편히 쉴 수 있는 안락한 공간이 되었다는 겁니다.
일 년 동안 손대지 않았던 물건을 처분하면 놀랍게도 대부분 해당한다고 해요.
미니멀리스트의 삶을 시작하려는 이에게 '일 년 규칙'을 제안하는군요.
그렇다고 미니멀리스트가 아닌 가치관, 라이프스타일을 잘못된 일로 판단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은 모두 다르기 때문이라고요. 나와 다른 생각일지라도 물건을 소유함으로써 더 힘이 나고 열심히 살 수 있다면 그것이 그 사람에게는 최선이라고 말하기도 하네요. 이런 맥시멀리스트와 미니멀리스트, 무조건 한 쪽이 옳다라는 건 아니라는 거죠. 저는 맥시멀리스트에 가까운 삶이었는데 앞으로는 미니멀리스트로 살고 싶어졌어요.
물건에 지배당하지 않은 미니멀한 공간을 보니 정리하고자 하는 마음에 큰 힘을 얻게 되었네요.
블로거 열 명의 미니멀한 생활을 다룬 책 <아무것도 없는 방에 살고 싶다>. 얇은 분량이라 순식간에 읽어버려서 뭔가 아쉽긴 했습니다. 더 더~~ 그들의 집을 구경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