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라 없는 나라 -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이광재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10월
평점 :
2015년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나라 없는 나라>는 혼불문학상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소설이었습니다. 눈물 한 줌 흘리며 읽었네요. 혼불문학상은 한국의 혼을 일깨우는 우리시대 대표소설 <혼불>의 작가, 최명희의 문학정신을 기리기 위한 상입니다.
<나라 없는 나라>는 동학농민혁명을 이끈 녹두장군, 전봉준을 다룬 역사소설이예요.
백성들이 들고일어난 을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역사소설이 간간이 있는데, <나라 없는 나라>는 특히 읽는 맛이 괜찮았어요.
요즘은 사용하지 않는 의고체로 쓰여 모르는 단어도 제법 나오긴 했지만, 읽는데 거슬리는 느낌은 없었고요. 참 진중하게 쓰인 작품이구나 싶었어요. 멋 내려는 의고체가 아니라 문장 하나하나에 진중함이 실려 있는 느낌입니다.
<나라 없는 나라>는 대원군이 난을 치는 장면으로 시작합니다.
그 시대 배경상 나온 인물이려니 했는데, 전봉준과 대원군의 만남이 이뤄지더라고요. 운현궁에 묶여 유배나 다름없는 생활을 하던 대원군과의 만남이라니. 전봉준과 대원군 간의 밀약설은 들어본 적 있지만, 이렇게 책에서 만나니 신선했습니다.
백성을 위해 죽을 각오로 뛰어든 전봉준.
그는 “백성이 가난한 부국이 무슨 소용이며, 이역만리 약소국을 치는 전장에 제 나라 백성을 내모는 강병이 무슨 소용” 이나며 “나라를 파는 자는 온 조선의 자객의 모아서라도 도륙을 하고 말 게야!” 라고 한 대원군의 말처럼 그들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중 어느 정도는 같은 방향을 향했습니다.
전봉준은 반상 구분 없이 두루 공평한 세상을 꿈꿨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보면 시민정신을 가진 계몽가이지 않았나요. 당시 당연하게 여긴 패러다임을 바꾸고자 한 전봉준입니다. 하지만 대원군은 백성이 모두 주인인 나라는 망하지 않는다는 부국강병을 외친 부분에서 전봉준과는 길이 갈리긴 합니다. 대원군 입장에서는 전봉준이 이끈 농군이든 일본파 개화당이든 모두 현재의 아군이되 미래의 적임을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역사의 한 꼭지를 역사소설의 소재로 할 때 추측과 상상이 첨가된 세밀한 묘사가 많긴 하지만, 주변 인물 이야기는 그 나름대로 또 쏠쏠한 재미를 줍니다. 전봉준을 가까이에서 지켰던 을개라는 인물은 조연감이네요. 도끼를 양 손에 들고 다녔다 해서 불린 쌍도치 을개의 이야기도 찌릿찌릿해요.
전봉준은 당시 김봉집, 김봉균, 녹두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는데 대원군이 그의 본명을 물었더니 그가 한 말이 기억에 남네요. “ 항차 백성의 가슴에 새겨지고 그네들이 불러주는 이름이 참 이름이 될 것입니다. ”
오랜 시간 공들여 준비하고 확고한 뜻을 세운 자들이 거사를 진행합니다. 우리가 현재 부르는 동학농민혁명인 겁니다.
당시 조선은 청을 업고 기세등등한 민씨들의 세상이었고, 일본은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렇기에 민요가 일어나면 늙은 호랑이를 쫓으려고 젊은 호랑이를 들이게 될지도 모른다는 압박감도 있었지요. 하지만 백성들은 싸우길 원하고 있었습니다. 그런 농민군의 두령 자리에 선 전봉준의 어깨에 얹힌 짐은 정말 어마어마했을 것 같아요.
“ 우리는 백성에게 주어진 유일한 길로 가려는 것이다. ”- p67
“ 우리의 세상은 이 세상 너머에 있소. ” - p68
권력에만 집착하는 벼슬아치들을 몰아내며 농군은 승전과 패전을 오가며 관군과의 전투를 이어나갑니다.
하지만 우려했던 일이 생기지요. 조정에서 청을 끌고 들어오자 일본도 출병한 겁니다. 외방의 군사가 들어오게 되어 버렸으니 농군은 스스로 퇴산해야 할지 고민도 해봅니다. 하지만 평화를 유지하며 질서를 회복한다고 외방의 군사가 물러날까요. 이제는 단단히 한몫 잡으려는 일본과의 싸움으로 진행됩니다.
백성도 을이요, 나라도 을이었던 시기.
의지와 힘만으로는 안 되는 상황을 보며 갑갑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의 모습과 다를 바 없기에 더 공감되지 않나 싶어요.
제5회 혼불문학상 심사위원이었던 현기영, 류보선, 성석제, 이병찬, 하성란 작가의 코멘트도 있는데 <나라 없는 나라>는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어찌보면 흔한 소재를 새로운 관점으로 드러낸 걸 강조하네요. 전봉준과 대원군의 긴밀한 관계, 민중 중심의 민주적 세상을 위해 의견을 내비친 사람들 등 그저 탐관오리 징치가 아닌 동학농민혁명의 또 다른 모습을 제시했다 평합니다. <나라 없는 나라>를 읽으며 동학농민혁명의 의미를 재발견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을의 이야기를 다룬 역사소설이다 보니 울컥울컥 하는 장면이 있을 거라 예상했는데 역시 가슴 찡하게 하는 장면이 곳곳에 있네요. 그런데 그런 장면들이 참 담담하게 슬쩍 튀어나옵니다. 쥐어짜지도 않으면서요. 그래서 더 여운이 남는 감동을 주는 게 아닐까 싶어요.
“ 이 소설은 내 문학의 프롤로그다. ” -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