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들의 정원 - 시가 되고 이야기가 된 19개의 시크릿 가든 정원 시리즈
재키 베넷 지음, 김명신 옮김, 리처드 핸슨 사진 / 샘터사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제인 오스틴, 버지이나 울프, 애거스 크리스티, 베이트릭스 포터, 로알드 달, 찰스 디킨스, 러디어드 키플링 등 유명한 영국 작가 19명의 시크릿 가든을 소개하는 책 <작가들의 정원>.

표지의 정원은 로알드 달의 정원인데, 라임나무와 알리움이 어우러진 모습이 동화 속 나라처럼 멋지네요. 작가들의 삶 속에서 정원을 가꾸던 시기의 생활을 함께 이야기하며, 정원이 작가에게 있어서 어떤 의미였는지 알려주고 있답니다.

 

 

정원이 있던 곳에서 살 때 쓴 작품 소개도 합니다.

어떤 작가의 글에는 작품속에 자신의 정원 모습을 리얼하게 묘사하기도 하고, 때로는 정원을 만들면서 체험하지 않고서는 느끼지 못하는 감정이나 분위기가 고스란히 담기기도 하지요.

 


"생명 없는 부유함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 존 러스킨

우리가 상상하는 소박한 정원 모습도 있지만, 오솔길을 만든 숲이 있고 그런 자연과 어우러진 정원을 꾸미는 경우도 많았어요. 저 오솔길을 걸으며 사색을 했겠지요. 넓은 영지에 자연적 형세를 살려 꾸민 정원은 야생종, 토종식물이 주를 이루며 자연을 보존하면서 가꾸는 넓은 정원이었습니다.


모든 화초가 자리를 쟁탈하듯 제멋대로 자라는 야생정원은 버지니아 울프가 좋아하는 스타일이기도 했어요. 버지니아 울프는 반야생상태 식물을 좋아했다고 하네요.

애거스 크리스티의 집과 정원은 추리소설 속에 거의 똑같이 묘사되기도 할만큼 숨김없이 애정 표현을 했다고 합니다.


 

 

피터 래빗 시리즈로 유명한 베아트릭스 포터 작가는 결혼 전후로 원의 분위기가 달라지는데 그녀의 작품에도 반영되어 있다는군요. 힐 탑 정원을 꾸밀 때 쓴 <톰 키튼 이야기> 권두 삽화에 그녀의 정원이 또렷이 묘사되어있고, 카슬 코티지 정원을 꾸밀 때는 후기 저작에 등장하며 그녀의 작품에 정원이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힐 탑 정원 시절은 꽃, 채소, 허브 등이 자연스레 뒤섞여 자라는 시골풍 정원인 코티지 스타일로 꾸며 질서와 혼돈이 묘하게 조화를 이룬 모습을 보입니다.

조지 버나드 쇼는 그가 사랑한 정원과 함께 생을 마감했습니다. 정원에서 나무의 가지를 치다 쓰러져 별세했고, 그가 원하던 대로 그의 유해는 아내의 유해와 함께 그들이 거닐던 정원 산책로를 따라 뿌려졌다고 해요.

 

키플링은 영어권 작가로는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는데, 상금을 정원 보수에 사용했을 정도라네요.



 

조그맣게라도 정원을 가꾸어 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얼마나 손이 많이 가는 일인지...

문학 세계에서는 대가들인 그들도 정원 가꾸기만큼은 초보였지만, 그들도 그렇게 틈틈이 손을 놀렸습니다. 정원은 작가에게 은신처 역할을 하며 그들의 작품에 영향을 줍니다. 


채소, 허브, 과일 등 요리 재료로 쓰는 작물로 구성한 키친 가든 스타일, 자연과 어우러져 경계선 없는 풍경식 정원 스타일, 시골풍의 코티지 스타일, 그리고 인공적으로 다듬지 않은 야생의 숲이나 들판의 황야를 간직한 스타일 등 정원의 분위기도 제각각이고 개성만점이네요. 정원에서 영감을 얻고, 위로를 받는 작가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