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신세계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
올더스 헉슬리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더스 헉슬리의 공상과학소설 <멋진 신세계>는 1932년 작품이면서 지금 출간한 책이라고해도 될만큼 미래의 모습을 너무나도 현실적으로 다루고 있네요. 

황당한 미래가 아닌 정말 그럴법한 미래이기에 공감하며 읽게 되었던 것 같아요. 배경이나 문체가 따분하지는 않을까 고전소설에 편견을 가졌던 분들이라면 이 책부터 먼저 권해드리고 싶네요.

<멋진 신세계>에 등장하는 미래의 모습은 공유, 균등, 안정이라는 세계국가의 표어 아래 인간공장에서 표준형 인간을 만들어냅니다. 인간을 몇 개의 계급으로 나눠 각 계급에 맞는 표준형 인간을 만들어내지요. 기성품 인간이라니! 한 개의 난자로부터 하나의 태아가 나와 한 사람의 성인이 생긴다면, 사회적 이익을 위해 행해진다는 명목하에 '보카노프스키 법'에 따라 하층 계급이 될 집단은 하나의 알에서 96개의 싹을 틔워 96명이 자라게 됩니다. 96명의 쌍둥이가 생기는 거죠.


성별에 따라 불임 여부까지 결정하고, 표준 이하로 만드는 하층계급의 태아는 유전 뿐만 아니라 환경까지 결정됩니다. 계급이 낮을수록 산소를 조금 공급해 인간적인 지성이 필요하지 않는 바보로 만드는 거죠. 사회적으로 무익하면서 노동을 하기에 적당한 이들로요. 하층계급의 인간이 독서로 인해 시간을 낭비한다든가 자연에 대한 애착을 보이지 않게 하는 실험 등 다양한 조건반사 실험을 통해 아이들을 단련, 세뇌시키는 파블로프식 훈련은 섬뜩합니다.

 

 

 

『 자연을 노예적으로 모방하던 영역에서 인간적 발명성이라는 보다 흥미로운 세계에 발을 들여놓았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 - p20


병에서 태어나는 인간. 그렇기에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부모의 존재는 없고 상스러운 단어가 되었습니다. '만인은 만인의 소유물'로서 혼접 등 평등한 공유 개념이 정당화된 곳입니다. 쓸데없는 감정 소모를 피하고, 욕망의 자각와 욕망의 충족 사이에 긴 시간적 간격을 체험하지 않도록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고요.


이쯤에서 우성인자와 열성인자가 나뉘어 우성인자들만의 세상이 된 영화 가타카, 모든 감정이 통제되는 미래의 모습을 그린 영화 이퀼리브리엄이 생각납니다. 통제된 사회 모습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한 영화들이죠. 그 모태가 되는 것이 바로 이 책 <멋진 신세계>가 아닐까 싶네요.


 

하지만 세상에 통용되는 일반적인 표준치에서 정신적 과잉인 사람들도 있습니다. 지나친 지력을 가진 사람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계급에 맞지 않게 키가 작고 왜소한 신체적 결함이 있는 자. 그들은 단독의 개인이라는 자각과 함께 남들과 함께 어울리지 못하고 고립이라는 감정을 겪지요. 개인의 정체성을 포기하는 세상에서 개인이 감정을 가지면 어떻게 될까요.


『 훨씬 더 나다워지는 것 같다는 말입니다. 다른 어떤 완전한 것의 일부가 아니라 자신이 독립된 존재가 된 것 같다는 이야깁니다. 사회라는 조직체 속의 한 세포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는 기분 말입니다. 』 - p112


그렇지만 조건반사적 교육으로 노예화된 그들은 다른 방법으로 행복해질 수 있는 자유를 찾을 수 없습니다.


 

그러던 중 뉴멕시코 야만인보호구역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그곳은 아직 사람이 아기를 낳는 곳이지요. 여행 중 사고를 당해 그곳에서 머물며 아기까지 낳은 린다와 아들 존이 문명사회로 나오게 됩니다. 아들 존이 문명사회를 보며 하는 말이 바로 셰익스피어 《템페스트》에 나온 문장을 인용한 "멋진 신세계여!" 입니다.

야만인보호구역에서 오랫동안 살아왔고,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읽어 온 존은 "멋진 신세계" 문명사회에 적응할 수 있을까요.


 

『 그것은 안정을 얻기 위해 지불되어야 할 희생인 것이야. 』 - p279


행복에 대한 사색을 허가할 수 없는 미래 사회. 표준형 남녀, 균등한 집단은 공유, 균등, 안정 실현에 필요한 사회안전의 중요한 수단이었습니다. 하지만 존이 겪는 이 사회는 인간다움도 없고 자유도 없는 세상입니다. 하지만 존의 말에 반박하는 총통은 인간에겐 무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곤 하나도 없으며 행복도 대가를 치러야 하는 것이라 합니다.


인간답게 사느냐, 우울증 치료제 소마를 먹으며 감정 소모를 피하느냐. 선택의 길에 놓입니다. 지독한 고통 속에 산다면... 어쩌면 이 "멋진 신세계"는 정말 멋져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두 가지 선택길이 있을 때 존이 말한 "불행해질 권리"를 당신은 선뜻 가지겠습니까? 글쎄요... 차라리 <멋진 신세계>에서 말하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는 마음이 들지도요. 그렇기에 오히려 더 섬뜩해지네요. <멋진 신세계>의 표준형 인간 세계에 대한 동경심이 없다고 단호히 말 못하겠어요. 언젠가 그런 세계가 정말 올 것만 같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