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초 밥상
이상권 지음, 이영균 사진 / 다산책방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식물에 유난히 약한 저는 야생초밥상에 등장하는 온갖 풀이 죄다... 그 풀이 그 풀이여~! ㅠ.ㅠ

그래도 한때 등산 다녔던 시절에는 산 초입에 자리 잡은 식당에서 산나물 밥상만 꼬박꼬박 챙겨 먹을 만큼 제 입맛에는 딱 맞았는지라 기회만 되면 나물을 찾아 먹긴 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나물을 직접 뜯어볼 기회도 없었고, 정작 평소 우리 집 식탁에서는 잘 볼 수 없습니다. 평생 도시생활자였던 저처럼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이 저와 비슷한 처지일 거예요. 하긴 요즘은 시골에서도 들에서 직접 풀을 뜯어 식탁에 올리는 경우보다는 하우스 재배가 대부분이라...

 

<야생초밥상>에는 수백 수천 년 동안 우리 조상들의 삶과 노래가 되었던 수많은 풀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화려한 음식들은 문헌에 수록되어 있지만, 풀로 해먹었던 음식들은 기록이 없어 안타까웠다는 이상권 저자. 아! 저자를 보자마자 우리 아이들 동화책에서 만날 수 있던 저자여서 낯설지 않았네요. 이 책에서도 구수한 입말로 저자의 추억이 버무려진 글이 참 좋네요.

그나마 어렸을 때 풀로 해먹었던 음식을 기억하는 분들은 지금 생각해보면 참 행복한 기억일 것 같아요.

당시엔 어려워서 해먹던 음식이었더라도 그런 것 하나까지 다 추억이잖아요. 저는 어린 시절부터 도시생활이어서 시골에 관한 경험이 전혀 없다는 게 많이 아쉽습니다.

 

보리순과 된장만 있으면 국이 뚝딱~!

이렇게 풀과 약간의 기본 장만 있으면 음식 대부분이 탄생하네요.

 

우리나라 들에서 가장 흔한 풀은?

저는 쑥인 줄 알았더니 '소리쟁이(솔구쟁이)'라는 풀이네요. 국으로 끓이면 시래깃국처럼 생겼더라고요. 맛을 아는 사람만이 좋아했다는데 그 맛이 궁금하네요.

 

꽃으로 밥을 해 먹기도 했다는 점도 참 신기했어요. 세상에, 꽃밥이라니.

모든 꽃으로 밥을 하는 것은 아니고 전통식 꽃밥은 꼭 말린 꽃을 우린 물로 밥을 짓는 것이 포인트라고 합니다. 꽃도 반드시 익혀서 썼고요. 더불어 평소에 밥 할 때 녹찻잎을 한두 개 섞으면 감초 역할을 해 단맛을 돋운다고 하니 녹찻잎 있으면 꼭 해보세요.

 

꽃 음식은 그저 화전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물김치에 들어간 해당화를 보니 빛깔이 참 곱습니다.

 

나물 하면 쓴맛이 먼저 생각나지요. 하지만 단맛이 있다니 참 신기해요. 제철에 딱 먹으면 요즘 하우스 재배용 나물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요. 풀에서 나는 단맛은 우리가 잃어버린 근원적인 단맛이라고 일컫습니다.


나물을 말리면 새로운 화학작용을 일으켜 더 영양가가 풍부해진다는 것은 요즘 건강식품 정보로 많이 알려지기도 했죠. 풋나물은 싱싱함을, 묵나물은 깊고 은은한 맛을 냅니다.


보릿고개라고 할 만큼 어려웠던 시기에는 생명줄과도 같은 존재인 들풀. 하지만 우리에게는 어느새 잊혀진 들풀. <야생초밥상>은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해져 내려온 야생초밥상을 최대한 옛 그대로 재현하고자 노력했다고 하니, 이 책은 소중한 우리 생활사의 기록인 셈입니다. <야생초밥상>에는 옛사람들의 고난도 있고, 행복도 있는 밥상이 가득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쎄인트saint 2015-07-08 0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녀갑니다~!!
독자선정위원을 하다보니...이렇게 반 강제로~ㅋ
좋은날 되셔요~^^

인디캣 2015-07-09 11:23   좋아요 0 | URL
아하핫~ 많은 활동중이시군요 >.<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