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 바로 지금 여기에서, 고유명사로 산다는 것
최진석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에 쏙 든 책이었어요. 노자는 교과서에서만 잠깐 본 수준이라 중반까진 저한테는 참 어려웠어요. 완전 새로운 지식이 마구 쏟아졌다고나 할까요. 뒤로 갈수록 조금씩 가닥이 잡히며 더 신나게 읽었네요.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은 노자 사상에 대해 EBS 인문학 특강과 매일경제신문에 연재한 글을 토대로 엮은 책입니다. 방송말투여서 강의 듣는 느낌이었어요.

 

 

 

 

인문학이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닌 '인문적'으로 사고할 능력을 기르는 데 있어야 한다는 목표로 노자 철학의 탄생 과정, 인문적 사고의 힘을 기르는 방법, 노자 철학을 현실에 적용하는 법을 소개합니다.


먼저 노자 사상이 중국 사유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반영하는지라 중국사 흐름을 짚어주고요, 노자가 무위자연이란 생각을 왜 하게 되었을지 고민하게 이끌고, 노자가 세계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노자 사상의 존재적 기반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그 과정에서 서양철학과 동양철학의 차이는 물론 공자와 맹자 사상, 불교 반야학, 주역 등을 비교하기도 하네요.

 

 

철학이란 신에게서 인간으로 이동하는 역사를 말한다 합니다. 믿음에서 생각하기로 시작된 것이죠. 중국에서 도의 출현은 천명에 의지한 중국 문명에서 최초로 터져 나온 인간의 독립선언과도 같다해요.


이걸 공자는 인간의 내면에서 영감을 얻었고, 노자는 자연의 질서가 사유의 원천이었습니다. 공자는 본질론적이었다면 노자는 관계론적으로 세계를 바라봤습니다.

 

 

우리는 주로 공자의 논어를 익히 들어왔던터라 노자의 사상에 오해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노자가 어떤 세상을 꿈꿨는지 잘 알려주고 있어요.


『 공부는 내가 나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 내가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수단임을 잊지 말아야 해요. 이 기본적인 자세를 노자는 '자율'이라 했습니다. 자율이란 내가 나를 조율하는 겁니다. 』 - p218


개념화된 지식이 겹겹이 쌓이고 무거워질수록 쉽게 한계에 부딪히는 반면, 대립면의 긴장을 받아들이면 자율적 주체는 무엇을 배우더라도 그것을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며 긴장을 잃지 않는다 합니다.

 

 

공자는 배움을 중시해 저쪽을 이상적인 곳으로 설정했지만, 노자는 도를 중시하며 이곳에 집중하여 여기서 이상을 실현하라는 차이가 있었어요. 그러려면 도덕경 제15장에 나오는 어떤 이념이나 기준을 근거로 하여 행하지 않는 '무위'를 실천해야 하는 것이고요.


이 무위라는 개념을 대충 알면 아무 생각없이 바보처럼 줏대없이 사는 게 아닌가라는 오해를 하게 됩니다. 노자가 말한 무위는 관념의 구조물일뿐인 이념과 기준에 휘둘리지 않고 의존이 아닌 밟고 읽어서는 것을 말합니다. 소극적인 삶을 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저자는 4대강 사업은 무위의 방식을 적용하지 못한 사례로 꼽습니다. 무조건 꼭 해야 하고 모두 해치워야 한다는 생각으로, 반드시 그래야 한다는 특정한 기준이나 신념, 가치관의 지배가 강하면 순탄하게 진행되지 않는다는 것을요.

 

 

저자는 노자 사상을 현대 철학으로 봅니다.

노자의 사상이 드러난 도덕경의 내용이 생소하지만 그건 우리가 이미 존재 가치, 본질에 익숙해 있어서라고 해요. 아들러 심리학이 휘몰아치는 이 시대에 왜 노자 사상도 필요한지 읽다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됩니다.

 

 

왜, 어떻게를 생각하는 과정을 유도하는 인과관계 흐름도 흥미로웠고, 공자와 노자의 사상 차이를 이번 기회에 많이 배웠습니다. 둘 중 누가 더 낫다, 옳다를 따지는게 아니라 그들의 사유 과정을 들여다보는 것 자체가 좋은 배움의 시간이었어요.


세상의 구분을 만들어내는 기준을 인위적 관념의 산물이라고 본 노자 사상.

왜 그런 기준 아래 개별적 자아가 주눅들고 고통받아야 하는지 의아하지 않은가요. 우리가 만든 기준에 발목 잡힌 삶을 살고 있지 않나요. 내 일상에 집중하고 나를 소중히 하며 내 삶에 적용할 수 있는 노자 사상을 제대로 알고 싶다면 읽어봐야 할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