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가 되는 사회 1 - 정치와 법 공부가 되는 시리즈 55
조한서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 3학년부터 사회 수업을 하는데 3학년 때는 내가 사는 주변을 탐구하는 정도였지만 4학년부터는 본격적으로 넓은 의미의 사회 공부가 시작됩니다. 국가, 정치, 지역사회 등과 관련한 부분에서는 용어도 확 어려워지고 낯설 수밖에 없는데 우리 아이들 미리미리 이런 책을 한 번쯤 읽으면 개념을 수월하게 잡을 수 있을 거예요.

 

공부가 되는 사회는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부터 살펴봅니다. 정치와 법을 다룬 1권에서는 민주주의란 무엇인지, 정치란 무엇인지, 사회란 무엇인지를 다루고 있어요. 사회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정치와 법이 어떠해야 하는지, 그것들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추상적인 사회 개념이 아닌, 내가 직접 참여 가능한 사회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뉴스나 신문에서 말하는 좁은 의미의 정치 개념은 감이 잘 오지 않기도 해요. 이미 우리 아이들은 넓은 의미의 정치 개념을 몸소 익히고 접해왔던 것임에도 불구하고요. 학급 선거, 가정에서나 친구 사이에서 의견 나누고 결정하기 등이 해당하지요. 이렇듯 먼저 정치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고, 그런 정치를 잘하기 위한 날개인 '민주주의'를 설명합니다.


민주주의 본고장인 서방의 민주정치 발전 과정과 함께 우리나라 민주정치 발전 과정을 소개합니다. 서구식 민주정치 이전 우리나라 민주정치 사상에 관한 이야기도 알려주는데, 단군 홍익인간 이념과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가 바로 그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정치 역사를 통해 민주 정치의 기본이념을 되새기고, 촛불시위를 왜 서울광장에서 하는지도 이번 참에 깨닫게 될 거에요.

 

 

 

인간의 존엄성, 자유, 평등이 보장되는 민주주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민주주의 기본 4원칙이 있습니다. 국민주권, 국민자치, 입헌주의, 권력분립원리입니다. 4학년 1학기 사회에서 정치와 관련된 단원은 국민 자치에 관한 것을 집중적으로 소개합니다.

 

 

 

지방 자치 단체가 그나마 내가 사는 지역과 밀접한 정치 개념의 하나이긴 하지만, <공부가 되는 사회> 책은 민주 정치의 역사를 통해 지방 정치에 관한 개념이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지를 알려주며, 다양한 민주 정치 참여 방법과 종류부터 설명합니다. 폭넓게 공부할 수 있어 큰 흐름을 놓치지 않게 합니다. 멀게만 느껴지는 정치를 그 지역의 주민이 스스로 지역을 다스리는 일에 참여하는 풀뿌리 민주주의 개념도 잘 알려주고 있어요.


 

 

 

영토, 국민, 주권으로 나라를 이루는 국가의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반드시 지켜야 하는 의무, 사회규범, 권리를 알려줍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법의 종류와 내용 이야기로 이어집니다.

 

 

 

 

 

 

딱딱한 학습 내용만 있는 게 아니라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사회 상식도 있어 읽는 재미가 좋네요. 초등 4학년부터 읽기 안성맞춤인 것 같아요. 우리나라 정치, 사회 개념을 설명하면서 다른 나라의 시민혁명, 민주정치 역사를 함께 언급하고 있고, 행복한 사회가 되려면 정치와 법이 어떠해야 하는지, 우리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정치, 사회 전반을 이해하고 흐름을 잡을 수 있게 인문교양서 격으로 읽어내기 좋은 구성의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