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 생명진화의 끝과 시작 EBS 다큐프라임 <생명, 40억년의 비밀> 1
김시준.김현우,박재용 외 지음 / Mid(엠아이디)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인류는 공룡이 멸종했기에 탄생할 수 있었다?!

《생명진화의 끝과 시작, 멸종》 책은 EBS 다큐프라임 <생명, 40억 년의 비밀>에서 방송된 5부 '모든 것의 끝 혹은 시작, 멸종'편과 6부 '생명의 재구성'을 반영하고, 방송 이후 새로 밝혀진 것도 추가 구성한 책입니다.

멸종과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진화라는 이름 아래 꾸준히 일어났던 현상입니다. 그런데 가끔 한꺼번에 확 바뀌는 일이 일어났는데 지난 6억 년 동안 지구 전체 생물 종의 70% 이상이 사라지는 다섯 번의 대멸종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런 대멸종은 급격한 생태계의 변화로 이어지고 새로운 종의 탄생을 예고했습니다. 대멸종이라 불리는 사건에서 공통점은 최고 포식자는 반드시 멸종했다는 것입니다. 앞으로 일어날 여섯 번째 대멸종에서 사라질 최고 포식자는 누구일까요. 바로 인간입니다.

 

 

 

 

 

멸종이란 종 자체가 사라지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인간 출현 이후 예전과 비교도 안 될 만큼 종 멸종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인류 출현 이전에는 포유류가 백만 년에 2종 멸종되었다면, 인류 출현 이후 500년 동안 무려 5,570종의 멸종이 있었습니다.

 

 

 

 

 

대멸종이라 하면 한순간에 확 사라지는 거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 대멸종의 과정은 짧게는 수십만 년에서 길게는 천만 년에 이르러 진행된다고 합니다. 멸종 이후엔 빈틈을 채우느라 적응방산 현상이 일어나며 새로운 종의 출현을 돕습니다.

고생대 대멸종은 어류를 제왕으로 만들고 양서류로 진화하게 도왔고, 페름기 대멸종은 수궁류라는 양막 생물의 출현을, 백악기 대멸종이 없었다면 지구는 공룡이 아직 지배했을 수도 있겠네요. 신생대 빙하기 같은 사건처럼 유인원에서 인간으로 진화에 도움을 준 소규모 멸종 같은 사건도 많았습니다. 

 

 

 

 

 

 

 

 

대멸종의 원인은 정확히 규명되진 않았지만 추정할만한 몇 가지는 있습니다. 천문학적 원인과 지구 내부적 원인을 크게 들고 있는데 어떤 것이 일차적 원인이 되었든 진행과정은 비슷하더군요.

그나마 생명 역사 중 가장 최근의 사건이었던 공룡 멸종의 경우 수십만 년에 걸쳐 서서히 그 수가 줄어든 것이라는 쪽과 단번에 멸종했다는 쪽의 논란이 있고, 결정적 한 방인 원인 규명은 힘들어도 멸종에 이르기까지의 징후 등을 살펴보면 결국 대멸종의 전조를 예측해볼 수는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 대멸종은 어떤 종에게는 마지막이지만 새로운 시대를 만드는 사건이 됩니다. 멸종 사건 역시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듯 한번 멸종 사건이 일어나면 완전히 생태계가 회복되는 데 수천만 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5대 멸종을 들여다보며 이전의 멸종이 알려주는 대멸종의 징후를 살펴보면 공통점이 있습니다.

최상위 포식자는 반드시 멸종했으며, 플랑크톤 사멸과 산호 백화 현상 등 바다로부터 시작되었고, 산소 농도 감소, 덩치 큰 동물부터 먼저 멸종, 지구 온난화와 냉각화 동반이라는 현상이었습니다. 징후이자 원인이자 혹은 결과로서, 일차적인 원인이 무엇이었든 간에 나타난 멸종의 과정입니다.

 

 

 

 

앞으로 제6의 멸종도 반드시 일어날 겁니다. 하지만 그때의 대멸종은 그동안 있었던 지구 내부의 문제나 외부문제가 아닌, 과격하게 말한다면 인류의 자살이라는 쪽입니다. 인류는 자신을 멸할 제6의 멸종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지요.

 

『 인류는 어찌 보면 지구 생태계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암과 같은 존재일지도 모른다. 』 - p220

 

지구생태계 파괴, 오존층 파괴, 산성비, 열대우림 파괴, 바다 오염, 사막화, 도시화 확대, 종의 감소, 벌 소멸, 지구 온난화 등 이 모든 것이 산업혁명 이후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지구를 군림하고 올라선 인간의 행동으로 나타난 일들입니다.

 

 

 

 

종이 사라지는 멸종, 인간의 방식으로 사고하다 보니 사실 인간 이외의 동식물에만 멸종의 초점을 맞춰 생각했었고 그래서 멸종이라는 사건의 심각성이 잘 와 닿지 않았던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현재 인간이 최상위 포식자가 된 지구 생태계. 처음이 있으면 반드시 끝이 있기 마련인 생명의 역사를 보며 언젠가는 (그 언젠가가 피부에 와닿지 않아 지구를 못살게 굴고 있는 거겠지요) 새로운 종이 바톤을 이어나갈 겁니다.

 

이 책의 마지막 멘트를 경종 삼으면 좋겠습니다.

『 생명 진화의 처음과 끝을 만들어온 대멸종의 역사 앞에서 지금이라도 인류는 만류의 영장이라는 오만함을 내려놓아야 하지 않을까? 』 - p2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