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나른함 - 무기력의 악순환을 끊어줄 수면의 법칙
스가와라 요헤이 지음, 전경아 옮김 / 퍼플카우콘텐츠그룹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아마 대부분의 사람이라면 한 가지쯤은 해당될거라 생각합니다.바로 제대로 된 수면을 하지 않은 경우 생기는 문제들입니다. '주말에 몰아서 좀 쉬면 괜찮아지겠지' 라며 별 일 아닌듯 치부해버리게 되는데, 생각외로 삶에 큰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수면과 삶의 질의 인과관계를 파악한 《굿바이, 나른함》 책을 통해 제대로 알게 되었네요.


 

 

 

 

적게 자느라 매일 피곤에 찌들어 사는 사람, 오래 자는데도 나른함 때문에 무기력한 사람.

수면을 잘 활용해 효과적으로 의욕을 불러일으킨다면 삶의 질이 높아질겁니다.

 

시간에 영향받지 않고 제대로 깨어있기 위한 수면의 법칙을 배우려면 생활리듬과 생체리듬의 관계를 파악하면 된다고 합니다. 생활리듬과 생체리듬이 어긋나면서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굿바이, 나른함》은 수면을 다스리는 3가지 리듬인 생체 리듬의 구조를 이해하고, 앞으로 일어날 몸의 변화를 미리 예측해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의욕을 끌어내는데 그 핵심이 있습니다.

 

불규칙한 생활에 익숙한 현대인의 삶에서 체내 리듬을 내 마음먹은대로 조절이 가능하다고요???

원리만 제대로 알고 있다면, 우리는 얼마든지 체내 리듬을 관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곧 스스로 수면 관리, 그에 따른 의욕을 조절할 수 있다는 뜻이겠지요. 규칙적인 생활을 하라는 의미가 아니라 규칙적으로 리듬을 관리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면을 다스리는 3가지 리듬인 생체 리듬에는 멜라토닌 리듬, 수면-각성 리듬, 심부체온 리듬이 있습니다.

체내시계와 관련된 작용에 초점 맞춰 설명하는 멜라토닌 리듬 원리는 아침 5분 빛의 법칙,

사람은 기상 후 8시간, 22시간이 지나면 졸음이 오는 원리는 이용해 점심 5분 수면 빚의 법칙을,

심부체온 리듬 원리는 저녁 5분 체온의 법칙으로 활용하게끔 제안하고 있습니다.

 

 

 

 

 

 



평일에 계속 취침 시간이 늦어지고 주말엔 밀린 잠을 자는 생활의 문제점을 이제서야 제대로 파악했네요. 월요병도 다 이유가 있는 것이었어요. 생활리듬과 생체리듬의 균형이 깨져있으니 시간관리를 잘 한다고 해봤자 뇌가 제대로 깨어있지 않으니 효율은 떨어지게 되고요. 《굿바이, 나른함》에서는 이런 인과관계를 조목조목 따져 왜 수면관리를 해야하는지 깨우쳐주고, 뇌의 작용을 차단하여 강제로 깨우는 대신, 몸에 부담없이 생체 리듬이 제자리를 찾게 하는 이러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어제도 꾸벅꾸적 병든 닭마냥 졸렸었는데 오늘은 이 책에서 나온 방법을 한번 활용해봤네요. 당장 효과는 나타나지 않을수도 있지만 (참고로 저는 단기적인 효과 확실히 누린것 같습니다 ^^) 어려운 방법도 아니고 그저 5분 정도의 시간 투자인데다가 내 리듬에 신경을 쓰며 생활하는게 그리 힘든 일은 아니더라고요.


 

 

 

 

 

일상에서 수시로 마주하는 다양한 행동이 뇌에서 보내는 경고 신호라니, 자신의 삶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일상 관찰 포인트를 잡는 것도 중요하겠네요. 습관화 되도록 꾸준히 생활리듬과 체내리듬의 관계를 신경쓰는 것은 본인의 의지겠지요.

 

일어나서 4시간 이내에 빛을 보고, 6시간 후에 눈을 감고, 11시간 후에 자세를 바로하라.

이 책의 핵심 문장입니다. 왜 그렇게 해야하는지, 더 상세한 방법은 《굿바이, 나른함》을 통해 직접 느껴보세요.

 

어떤 생활패턴이든 기상 8시간 후에는 뇌의 각성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기억하고 스스로 리듬을 조절해 효율적인 하루하루를 보내는 것. 매력적이지 않은가요? 무기력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책을 봤었지만 이렇게 실용적인 방법을 알려주는 책, 참 반갑네요. 구질구질하지 않고 임팩트있는 설명이 마음에 들었던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