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앞에서 머뭇거리는 당신에게 - 후천적 활자 중독에 빠지는 3가지 방법 머뭇거리는 당신에게 1
김은섭 지음 / 지식공간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독서와 인연이 없었던 저자가 대학생 시절부터 어떻게 책과 친하게 되었는지, 독서의 습관을 만드는 방법에서부터 독서의 완성 리뷰를 쓰는 방법까지 자신의 경험을 오롯이 담은 책 《책 앞에서 머뭇거리는 당신에게

 

'시간이 없어요' 라는 것은 독서가 우선순위에서 밀려있다는 의미다. 게임을 할 시간, 드라마 볼 시간, 술 마실 시간보다 뒤처져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을 만지작대는 것에 비해   독서가  재미없다고 느끼고 있어서다. 선천적으로 책과 안 친한 사람은 없다. 아직 궁합이 맞는 책을 만나지 못했을 뿐~

 

독서의 시작은 습관을 만드는 것이다.

습관 만드는 데에는 즐거운 일을 꾸준히 하는 게 최고다. 일단 흥미를 끄는 쉬운 분야부터 시도하면 점점 관심을 두는 분야가 넓어지며 더 잘 알고 싶어서 넓게, 깊게 파고드는 배움의 독서로 확장된다. 즐거운 책이 아닌 '좋은 책'은 책에 관심이 없던 사람에게는 사실 재미가 없다. 이른바 검증된 책을 고르지 말고 당신이 '읽고 싶은 책'으로 시작하라는 것. 즐거움이 먼저다. 가르침이나 영감은 그다음에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무협지도 우습게 보지 말라고 한다. 김용의 소설들은 삼국지와 초한지에 버금가는 고전이 될 것이라 중국 독자들은 입을 모은다고 한다. 즉, 장르에 구애받지 말고 즐기는 것으로 시작하라! 그 시작은 미약하지만, 개선의 여지가 있는 사람으로 거듭 성장하게 되는 바탕이 되는 것이 글로 경청하는 일인 독서다.

 

리뷰 예찬론자이기도 한데 (사실 이 저자가 경제경영서 리뷰를 열심히 쓰다가 저자가 된 사례이기도 하다. 리뷰어들 중에는 이런 고수들을 제법 쏠쏠하게 접할 수 있다. 리뷰 스타일은 사람마다 특정하게 구별되는 경향이 있다. 개인적 경험담과 적절히 배합을 이루 는 스타일, 책 소개 위주의 스타일, 책을 읽고 난 주관적인 느낌만 간략히 적는 스타일 등. 개인적으로 나는 책 요약 스타일을 선호하고 있고. 책에는 여러 작가의 리뷰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데 어떤 형식이건 간에 책은 독자에 따라 달리 읽히는 법이지만 핵심문장을 찾는 결정적 한 문장은 꼭 찾는 노력을 하라고 한다. '저자가 이 책을 쓰려고 한 의도'를 찾으면 책을 나름 잘 소화한 것이겠다.

 

  『 독서의 완성은 실천이고, 실천의 시작은 리뷰 쓰기다.   』 - p161

 

 
저자는 궁리 의 힘에 대해 강조한다. 생각하는 힘. 생각하라고 해서 아무렇게나 뜬금없이 생각이 샘솟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지. 생각에도 훈련이 필요한데 그중 제일이 바로 독서 리뷰라는 것이다. 내가 왜 이 책을 집었는지, 내가 이 책을 통해 찾고자 하는 해법에 대한 질문을 생각해보고 저자가 뭐라고 말하고 있는지, 그 책을 통해 내가 새롭게 알게 되고 배우고 느낀 점을 생각하며 리뷰를 적으면 된다. 너무 감상적인 반성문이나 웅변처럼 하지 말고 '나는 이렇게 읽었다'로 말하면 그게 장땡이란다.

 

『 어떤 사람은 아예 읽지 않고, 어떤 사람은 읽기만 한다.

그런데 당신은 읽고 또 읽은 걸 글로 풀어낸다면? 』 - p217

 

독서의 최종목표는 행동의 변화다. 읽은 책 내용을 기억하고 싶어서 요약한 것으로 시작해 그 아래 생각을 적게 되고, 이렇게 정리하는 글로 시작된 글쓰기는 나 자신을 살피는 글쓰기로 변하기 시작한다.

 

후천적 활자 중독에 빠지기 위한 읽기, 배우기, 쓰기의 노하우를 알려주는 책 《책 앞에서 머뭇거리는 당신에게》

한 권씩 독파하고 리뷰를 완성할 때마다  뻐근하지만 개운한 즐거움을 만끽해보고 싶어하는, 독서 리뷰어가 되고 싶은 이들에게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