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일 밤의 우주 - 잠들기 전 짤막하게 읽어보는 천문우주 이야기 Collect 22
김명진 외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천문연구원 KASI 소속 천문학자 8명이 들려주는 경이로운 밤하늘 이야기 <90일 밤의 우주>. 우주 지식뿐만 아니라 최첨단 연구 현장 소식도 생생하게 만날 수 있어 읽는 내내 즐거움 가득했습니다.


tvN 알쓸인잡 천문학자 심채경, 유퀴즈 천문학자 이명현, 안될과학 과학 커뮤니케이터 궤도, 과학 큐레이터 별똥별 아줌마 이지유가 추천하는 교양 천문학 도서 <90일 밤의 우주>. 이 책과 함께 90일 동안 밤하늘 우주여행 함께 하시겠어요?​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수준의 책입니다. Day 01부터 Day 90까지 총 90개의 짤막한 글을 하루 한 편씩 읽어보세요. 책장을 펼치는 순간 밤하늘로 풍덩 뛰어들 수 있어요.​


<90일 밤의 우주>는 유니버스 Universe, 스페이스 Space, 코스모스 Cosmos로 구분해 우주의 모든 것을 보여줍니다. 셋 다 같은 말 아닌가 싶었는데 미묘한 차이가 있어요.​


유니버스는 별, 은하, 오로라, 행성 등 지구를 포함한 생활 속 천문을, 스페이스는 지구를 벗어나 우주 탐사, 우주여행 등 우주 산업과 관련한 우주를, 코스모스는 우주 거대 구조, 블랙홀, 시간 여행 등 우주 그 이상의 우주를 이야기할 때 사용합니다.


유니버스 편에서는 별과 별자리, 운석, 은하수, 달, 행성, 망원경 등 우리 머리 위 우주를 보여줍니다.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계절의 변화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지지 않았거나 지금보다 더 기울어졌다면 누릴 수 없었던 일입니다. 우주는 딴 세상이 아니라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우리 옷, 먹거리, 행동양식, 생각, 감정까지 계절의 변화에서 유래되었다는 걸 비로소 깨닫습니다. 알면 알수록 이 지구의 경이로움을 예찬하게 됩니다.





<90일 밤의 우주> 속 컬러 화보는 감동을 몇 배로 끌어올립니다. 지구에서 바라본 오로라 대신 우주에서 바라본 오로라 사진은 신비 그 자체더라고요. 인공위성이 다니는 자리인 카르만 라인이라 부르는 지구의 대기광 사진도 예술입니다.​


한 편당 부담스럽지 않은 분량이지만 욕심내지 말고 90일 동안 천천히 보면 좋겠습니다. 해시태그로 해당 주제 키워드를 표시했고, 어려운 천문 용어도 쉽게 풀어내는 스토리텔링이 펼쳐집니다.


일상 속에서 우주를 더 가까이 볼 수 있는 방법들이 기대 이상으로 많았습니다.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것도 알려주는 등 일반인도 얼마든지 아마추어 천문학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 많았습니다.


게다가 QR코드로 생생한 영상으로 건너갈 때면 우주에 홀리는 느낌이랄까요. 상상 이상의 경이로운 감정을 만끽하게 됩니다. 영상뿐만 아니라 더 읽을 만한 책과 영화 소개까지 풍부한 자료들을 연결해 준 덕분에 뷔페 상차림을 보는 기분입니다.​


스페이스 편에서는 소행성, 우주선, 달탐사, 위성, 우주인터넷 그리고 외계생명 등을 다룹니다. 무려 45년 전에 발사한 보이저호가 여전히 태양계 밖에서 탐험 중이라는 사실은 놀라웠습니다. 60억 킬로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지구를 찍은 사진 '창백한 푸른 점'은 광활한 우주 속 지구와 인간의 삶에 대한 묘한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오랜 세월 우주를 거닐었던 보이저호의 핵 전지 수명이 2025년 경이면 다할 거라고 하니 울컥하는 마음이 샘솟습니다.​


코스모스 편에서는 천문학적 스케일의 우주를 파헤치는 우주 이론을 다룹니다. 지구가 둥글다는 것, 138억 년 전 빅뱅으로 시작된 우주가 여전히 팽창한다는 것, 시공간의 일렁임을 이제 막 보기 시작했다는 것 등 우주 과학은 짧은 세월 동안 참 많은 패러다임이 교체된 분야입니다.


우리나라는 2022년에 다누리가 달 궤도 진입에 성공하면서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국이 되었습니다. 유럽우주국은 2023년 7월 1일엔 우주의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의 비밀에 대해 밝히고자 우주 망원경 유클리드를 태운 로켓을 발사했습니다. 까마득한 우주의 세계. 그 미지의 세상을 탐험한 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 우주에 대한 인간의 도전은 현재진행형입니다.​


선조들의 우수한 과학 기술을 만나보기도 합니다. 소중한 과학 유산이 가득했습니다. 조선 시대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서울에서 관측할 수 있는 밤하늘 별자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별의 크기와 밝기에 따라 다르게 표시된 디테일에 놀라게 됩니다. 요즘으로 치면 자동 알람 시계를 만든 장영실의 해시계도 경이롭습니다.


신라 첨성대는 현존하는 천문대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입니다. 저지대에 세워진 첨성대에서 반짝이는 별을 관찰했다니, 빛공해 심한 요즘은 그저 부럽습니다.


인류가 우주를 탐사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일상 속 기술에 대한 이야기, 천문학자들이 하는 일, 우리나라가 지금 진행 중인 최신 연구 등 우주와 관련한 거의 모든 것을 들려주는 <90일 밤의 우주>.​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사진과 함께하니 눈이 즐겁습니다. 경이로운 밤하늘 우주의 비밀을 하나씩 알아갈수록 이 세상이 더욱 소중하게 다가올 겁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