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곡은 들리지 않는다
마루야마 마사키 지음, 최은지 옮김 / 황금가지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곡은 들리지 않는다>는 법정 수화 통역사 시리즈 중 세 번째 책입니다. 연작소설인 만큼 순서대로 읽어오면 좀더 깨알 재미를 느낄 수 있어요.


들리지 않는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를 코다(CODA)라고 부릅니다. 법정의 수화 통역사 시리즈의 주인공 아라이는 부모와 형이 모두 농인이지만, 아라이만 청인입니다. 


가족 모두가 선천적 농인인 데프 패밀리를 비롯해 중도 실청자, 난청자 등 다양한 농인을 등장시켜 그들 앞에 놓인 편견을 속속들이 드러낸 첫 번째 소설 <데프 보이스>. 그저 들리지 않는 사람들을 농인이라는 테두리 안에 묶어두고 편견 또는 오해한 채 바라보던 것들을 새롭게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발달 장애 아동의 영역까지 들어가 소통으로서의 언어란 무엇인지 짚어준 <용의 귀를 너에게>. 농인에게도 다양한 사고방식으로 다양한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농인이라면 구화법을 배워 청인의 말을 잘 알아듣기를 바라는 다수자의 입장을 꼬집기도 합니다. 그리고 신작 <통곡은 들리지 않는다>에서는 네 편의 주요 에피소드가 있지만 특히 주인공 아라이의 가족 성장 스토리가 인상 깊습니다.


전작에서 인연을 맺은 경찰관 미유키와 딸 미와와 새로운 가정을 이룬 아라이. 그 사이에 들리지 않는 아이 히토미의 탄생은 그들에게 또 다른 감정을 겪게 하는 계기가 됩니다. 첫째 딸 미와는 청각장애인 형제자매를 둔 사람을 일컫는 SODA로서 언니의 역할을 하게 되었고, CODA인 아라이 역시 농인의 부모로서 새로운 변화들을 경험합니다.


인공와우 수술을 포기하고 "나는 이 아이를 '농아'로서 키우겠습니다."라고 결심하기까지 아라이 가족의 고민은 무척 깊었습니다. <통곡은 들리지 않는다>는 흥미롭게도 6년의 세월을 담아냈습니다. 긴 세월 동안 첫째 딸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이 되었고, 둘째 딸 히토미도 성장해 수화로 재잘거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전작에 비해 긴 시간 흐름은 아라이 가족을 위해 설정하지 않았을까 싶더라고요. 들리지 않는 아이가 잘 성장하는 모습을 보고 싶은 게 당연하니까요.


<통곡은 들리지 않는다>는 의료, 복지, 노동 현장에서 겪는 농인의 현실을 보여줍니다. 청인 중심 사회에서 들리지 않는 사람들에게 강요된 불편함을 만나는 시간입니다. 청인이라면 평소 생각하지 못했을 것들이라 얼마나 편협하게 살고 있는지 반성하게 되기도 합니다.


범죄 신고 전화도 목소리를 제대로 낼 수 없으니 장난 전화로 판단해버리기 일쑤라고 합니다.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임신한 농인이 긴박한 상황에 처했을 때 농인 남편이 119 신고를 하지 못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소리 없는 외침만 가득한 절망의 순간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말을 통역할 때는 '신중하게 + 필요가 있다'는 수화 표현으로 전달하는 아라이처럼 수화 통역이 단순히 단어를 일대일로 연결해 표현하는 게 아니라 농인의 사고방식으로 정확히 전달하려면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됩니다.


일본에서는 일본수화와 일본어대응수화로 구분해 사용하고, 상대의 입을 읽는 청각구화법도 있지만 이 모두가 교육을 제대로 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농인으로 연예인이 된 HAL의 이야기를 다룬 두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이 사회가 바라는 모습으로만 있길 바라는 이기적인 현실을 이야기합니다. 구화법을 사용해 청인의 말을 척척 알아듣고, 수화를 할 때도 우아하게 표현하길 바라는 식으로 말이죠. HAL의 고민은 전작 <용의 귀를 너에게>에서 짚어준 소통의 의미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합니다.


폐업한 여인숙에서 변사체로 발견된 신원불명 농인의 사연을 그린 세 번째 에피소드는 수화를 사용할 때 쾌활했던 사람이 사회에 나오고 나서 어떻게 변하는지 가슴 아픈 사연을 만나게 됩니다. 마지막 에피소드에서는 고용 차별로 회사를 고소한 농인의 민사재판을 다루며 흔히 약자를 위한 지원만으로 생각했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청인의 사고방식에 일침을 놓기도 합니다.


농인 세계를 알리려는 목소리는 세 권의 소설로 이야기해도 여전히 할 말이 많아 보입니다. 첫 책 <데프 보이스>를 쓸 때는 단 한 명의 농인 지인 없이 탄생했던 작품이었다는데 (사실 다들 깜짝 놀라는 게 작가가 농인도 코다도 아닌 청인이라는 것이지요) <통곡은 들리지 않는다>를 쓰면서는 수많은 도움을 받았다며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작가. 농인이 아니면서도 농인문화를 알리는데 탁월한 감수성과 능력을 가진 멋진 작가입니다. 


배려심을 가진다는 것과는 달리 실제 농인들의 불편함을 인지하는 수준은 낮다는 걸 소설을 읽을 때마다 깨닫게 됩니다. 들리지 않는 사람들의 인권에 대해 목소리를 높인 <통곡은 들리지 않는다>. 법정의 수화 통역사 시리즈가 앞으로도 나오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