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읽기가 만만해지는 이과식 독서법 - 필요한 만큼 읽고 원하는 결과를 내는 힘
가마타 히로키 지음, 정현옥 옮김 / 리더스북 / 2019년 8월
평점 :

수많은 독서법 책 중 <책 읽기가 만만해지는 이과식 독서법>만의 차별점은 이공계 출신 저자가 이공계 학생들을 가르치며 절실히 느낀 경험을 바탕으로 책 읽기에 소질 없는 사람을 위한 독서법이라는 데 있습니다.
독서를 어렵게 여기는 사람을 대상으로 했지만, 책 읽기를 수월하게 하는 사람 중 책에 집착하거나 독서 강박이 있는 독서가들도 읽어보면 좋겠다 싶은 내용이 많습니다.

독서에 열등감을 가진 사람을 위한 독서법 책 <책 읽기가 만만해지는 이과식 독서법>. 애초에 책과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집중한 독서법이니 책 읽기의 문턱을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누구나 편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합리적 방법론의 초반 키워드는 '즐거움'입니다. 맛있는 부분만 골라 먹는 책 읽기를 권장합니다. 독서는 오래 참기 대회가 아니라는 말처럼 읽다가 재미없으면 그만두는 것도 괜찮다고 조언합니다. 문턱을 낮춰 책을 선택해 책 읽기의 성공을 맛보는 게 포인트겠죠.
이과식 독서법은 스토리를 순차적으로 이해하며 읽어야 하는 문학 장르보다 그 외의 분야에 더 적합합니다. 저자는 독서의 필요성을 지적 생산을 위한 도구로서 대합니다. 사회가 요구하는 문장을 제대로 읽을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읽기 능력으로서 말이죠.
그러니 항상 지적 생산이라는 최종 목표를 염두에 둬야 합니다. 필요한 만큼 읽고 원하는 결과를 내는 힘, <책 읽기가 만만해지는 이과식 독서법>은 책 속에서 허우적거리지 않으면서 지적 생산을 위한 아웃풋 우선의 독서 기술을 정리했습니다.
"핵심은 잡다한 정보를 머릿속에 집어넣기 위해 책을 읽는 게 아니라 '지적 생산'이라는 행위를 최종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책을 읽는다는 것이다. "- 책 속에서

이과식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풀어낸 이 독서법은 과학자들이 하는 방식을 떠올리면 됩니다. 편리, 신속한 시스템을 마련하는 걸 중요하게 다룹니다. 이 과정에서 완벽주의를 조심하면서 불완전할 용기를 갖는 게 포인트입니다.
책 한 권을 완벽하게 읽어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책 읽기라는 행위의 목적을 잊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자기계발서의 경우 10퍼센트만 뽑아낼 수 있으면 만족해도 되는 것처럼 말이죠. 책 읽기란 원래 90퍼센트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다듬는 행위라고 합니다. 내 지식이 틀리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안도감 이후에 새로운 정보가 인식되는 거라고 말이죠. 그래서 모르는 내용만 적힌 책은 읽기 어렵게 느껴지면서 자신의 의지를 자책하기에 이릅니다.
난해한 책에 도전하는 방법에서는 본격적으로 이과계 사람들의 독특한 사고방식을 응용한 독서 기술이 등장합니다. 방대하면서 꼼꼼한 기술보다는 이 정도는 할 수 있겠다 싶은 기술들을 소개합니다. 이 정도 수준에 다다르면 나만의 독서 스타일이 어느 정도 형성돼 있을 겁니다.
무엇이건 필요한 부분만 취하는 이과식 방법론을 독서에 응용한 이과식 독서법. 책을 고르는 심미안은 결국 읽기를 통해서만 기를 수 있어 애초에 책과 친하지 않은 사람에겐 진입 장벽부터 힘들게만 느껴져 도돌이표가 되는 독서. 이과식 독서법은 그래도 독서의 세계로 진입하는 장벽을 최대한 낮춰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 책입니다.

독서가들에게는 한 번쯤 아니 여러 번 찾아오는 슬럼프 벗어나는 법, 다양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노하우, 독서 메모법, 책장 정리법 등 독서가가 된 후 도움 되는 쏠쏠한 팁도 많습니다.
<책 읽기가 만만해지는 이과식 독서법>에서 제가 가장 인상적으로 받아들인 글귀는 "책은 문구다."입니다. 두뇌활용에 도움 주는 문구로서의 책. 숭배하거나 책의 저자에 쉽게 감화하거나 책에 읽혀서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무엇보다 책 속에서 허우적거리지 않게끔 내가 활용할 수 있는 것 이상은 포기하는 태도도 용납되고, 에너지를 적게 쓰는 시스템을 활용하자는 이과식 독서법이 꽤 마음에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