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대로도 괜찮아 - 유쾌한 정신장애인들의 공동체 '베델의 집' 이야기
사이토 미치오 지음, 송태욱 옮김 / 삼인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제목을 봤을 때 어떤 책에서 본, 빌리조엘의 엄마가 키가 작아 고민하는 아들에게 해줬다는 이야기가 생각났다.


"나를 즐겁게 하기 위해서 너를 바꾸지 마라. 나는 지금 그대로의 네가 제일 좋다. 걱정하지 말아. 상관없어. 다른 사람처럼 될 필요는 조금도 없어. 넌 벌써 완벽하거든. 사람들은 다 특별하단다. 누구나 다 조금씩 다른 거야. 너도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 줄 특별함을 갖고 있단다. 나는 지금 그대로의 네가 제일 좋다.”


다시 읽어도 눈물이 왈칵- 나올 것 같다. 그때는 어려서 몰랐지만, 지금은 안다. 한 사람의 존재를 아무런 충고도 비판도, 바람도 가지지 않고 온전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열등감과 모자람으로 가득 찬, 나 자신의 존재조차도 부정하고 또 부정하는 게 우리인데, 다른 사람을 그렇게 인정해준다는 것. 그것은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들 중 하나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제어할 수 없는, 정신병에 걸렸으면서도 그런 자신을, 그렇게 모자란 자신을 “지금 이대로도 괜찮다.”며 인정하고 받아들일 줄 아는 사람들이다. 그런 자신과 잘 사귈 수 있게 되었으니, 어떤 사람이라도 그 사람 자체로 받아들여주는 게 너무도 당연한, 다정한 사람들인 것이다.

 

 ‘베델의 집’은 ‘우라카와’라는 마을에서 시작된 유쾌한 정신장애인들의 모임이다. 특이한 것은 빨리 병을 치료해서 사회로 복귀하자는 게 아니라, 지금 그대로도 괜찮다고, 그 모습 그대로, 남들과는 조금 다르지만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면 되는 것이라는 취지 아래 모여 살고 있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고, 여러 다양한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모이다보니, 완치되기가 어려운 정신장애의 특성을 생각하게 됐고, 이런 길을 걷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유한복지회사’를 설립해 일도 해나가고 있는데, 역시나 누구나 잘라버리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사람만 일을 하는, 언뜻 불공평해 보이는 모토 아래서 회사를 꾸려가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은 그 사람들의 다양한 경험, 생활 방식 들이 한 저널리스트의 눈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나는 세상에서 인간이 가장 불쌍하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만물의 영장이니 뭐니 해도, 언제나 힘껏 살지 않으면 도태된다고 생각해서, 진정한 자신의 모습은 꽁꽁 감춰둔 채, 웃는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인간이, 그런 사회이기에, 그런 인간들이기에. 사랑받기 위해서는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그런 약한 인간이지만, 약한 모습을 보여선 안 된다고 세뇌 당해온 인간들이기에. 그래서 ‘베델의 집’ 사람들이 내 눈에는 무척 자유로운 사람들로 보였다. 자신의 약함을 인정하고, 그 진정성을 토대로 삼아 사람과 사람 사이에 벽을 허물고, 서로가 서로에게 연결돼 있지만, 누구보다 개성 있는 삶을 산다. 그야말로 밑바닥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오고,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오면서 진정 인간으로 사는 것이 무엇인지, 누구보다 고민하고, 고생한 사람들 - 그래서 세상 누구보다 진실한 자신인 채로, 살 수 있는 사람들. 모두가 평등하기에 그 누구도 버리지 않고, 함께 손을 잡고 같이 가는 사람들. 아, 부럽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인간답게 산다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됐다면 과장일까? 사회가 원하는 인간상에서 벗어나는 인간이라도, 그 모두를 함께 끌어안으며 갈 수 있는 그런 상생의 사회가 빨리 오기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06-05-11 2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더불어 사는 사회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가 아닐까 합니다. 현대사회는 너무 획일적이고 마치 정답이 주어져있는 삶 같군요.

마음을데려가는人 2006-05-12 0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사회는 말로는 개성, 개성 하면서. 정작 개성있는 사람이 나타나면, 깍아내리고 배제시키는 경향이 있지요. 언젠가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가 오겠지요?^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