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낫으따이(강남스타일)
싸이의 강남스타일 열풍이 대단하긴 대단한가보다. 우리나이로 세살, 아직 세돌이 채 안된 우리 둘째녀석이 토요일에 나를 보고 "아빠 당낫으따이"라고 했다. 내가 "아빠 강남스타일이야?" 그랬더니, 녀석이 좋아하면서 계속 "아빠 당낫으따이"를 반복했다. 우리가 거실에서 이러고 노는 동안 작은 방에 있던 아내는 그 소릴 듣더니 아이에게 아빤 절대 강남스타일이 아니라고 알려주고 싶어했는데, 마땅한 말이 생각나지 않았는지 그냥 어이없어하고 말았다. 나도 그닥 강남스타일(정작 그게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따위는 되고 싶지 않다.
예 다랑지(예 다람쥐)
큰 녀석이 늘 "알겠습니다람쥐!"라고 말하는 걸 보고 그러는건지, 아님 어린이집에서 그렇게 말하는 아이들이 또 있는건지 모르지만, 요즘 작은 녀석에게 뭔가를 말하면 늘 "예 다랑지"라고 대답한다. 우리 집은 티비가 없어서 그런 프로그램을 늘 보여주는 것도 아닌데,(가끔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보여줄 때도 있지만) 이렇게 따라하는 걸 볼 줄은 몰랐다. 티비가 있는 집 아이들은 더 많은 유행어를 따라할까?
보-삐뻐(보고싶어)
요즘 우리집 꼬마 여우 두 마리는 주중에 엄마 여우와 아빠 늑대 모두와 함께 지내는 시간이 거의 없다. 엄마 여우도 여러가지 일들로 바쁘고, 아빠 늑대는 하는 일 없이 늘 바쁘다. 5일 중에 이틀은 아빠와 지내고, 나머지 삼일은 엄마와 지낸다. 주말엔 왠만하면 함께 있으려고 하는데, 행사가 많다보니, 하나씩 데리고 다니기도 하고, 둘 중 하나가 집을 비우기도 한다. 최근에는 엄마 여우가 토, 일 계속 오전에 나갔다가 점심 때 조금 지나서 돌아오곤 하는데, 아빠 늑대는 그때 대부분 전날 마신 술 때문에 비몽사몽이다. 억지로 깨서 밥만 차려주고 다시 잠드는 날이 많다.
아빠 늑대랑만 지내는 시간이면 두 꼬마 여우 모두 엄마 여우를 애타게 찾는 일이 종종 있다. 특히 작은 녀석은 입을 삐쭉거리다가 이내 울음을 터트리며 "엄마 보-삐뻐!"를 서럽게 외친다. 큰 녀석은 아침에 학교가는 길에 종종 엄마가 보고 싶다며 울곤 했는데, 며칠 전부터 아내가 큰 녀석을 데려다주고 내가 작은 녀석을 데려다 주는 걸로 서로 역할을 바꿨다. 하루 이틀 겪는 일도 아니고 일주일에 이틀 이상 늘 겪는 일인데 아침, 저녁마다 엄마를 찾는 녀석들이 조금 야속하기도 하다.
※ 월요일에 이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외근과 급한 일들 덕분에 목요일에야 글을 완성한다. 애초에는 뭔가 더 추가할 이야기가 있었던 듯 한데, 이젠 기억나지 않는다. 최근 간간히 들춰보는 책 한 권 소개하고 마무리해야겠다.
며칠 전부터 간간히 들춰보고 있는 책. '놀이밥 사촌', '어린이 놀이 운동가'란 직함이 무척 낯설다. 중간쯤 들어가있는 '사주지 마시라'는 제목의 시도 인상적이고, 좀 더 뒤로가면 나오는 '내 사랑 말짜'라는 만화도 재밌다! 밖에서 제대로 뛰어놀지 못하는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꼼꼼히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