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은 혼자다, 알고 있지만 왜 혼자이고 혼자일 수밖에 없는지를 규정하는 일은 어렵다.
책의 내용은 실존주의 철학을 기반하고 있다지만, 나는 모르겠고, 아무튼 재미는 있었다.
우리가 살면서 하고 있는 행위는 어떤 의미를 갖는지, 끝나지 않는 행위들은 그 다음에는? 또 그 다음에는? 하고 우리를 물고 늘어진다. 여기서 우리는 멈춤 또는 출발을 정해야 한다는데, 그러한 질문에 답하는 책이더라, 정도로 읽었다.
데스크탑 고장으로 핸폰으로 작성한다. 기계에 대한 마이너스손이라 아무도 빌려주지 않는다. 나의 기투와 일치하지 않는 타인과는 소통이 어렵고 나의 행동에는 책임이 있기에 눈을 부릅뜨고 톡톡해본다.
각각의 목차에서 중요 문장과 나의 생각을 적어봤다.
1. 캉디드의 뜰 : 우리는 어떤 행위를 통해서야 타인과 서로의 이웃이 될 수 있다.
나와 타인을 연결시키는 관계를 나는 혼자서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나는 하나의 사물이 아니라 나한테서 타인으로 향하는 기획이며 초월성이기 때문이다. 나는 우선 물체가 아니라 자발성이다. 희망하고 사랑하며 욕망하고 행동하는 자발성이다. 사람은 누구의 이웃도 아니다. 어떤 하나의 행위를 통해 자신이 타인의 이웃이 됨으로써 타인을 자신의 이웃으로 만든다. (25-26쪽)

2. 순간 : 우리는 각자 세계에서 자기가 차지할 장소를 결정한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자기 자신과는 다른 것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그는 자기와는 다른 것과의 관계에 의해서만 자신일 수 있다. (37쪽)

3. 신 :  신의 부름에 응답하는 것은 철저하게 인간의 기획에 의해서다.
어떤 대상을 향해 자기를 초월하는 것은 그 대상을 정립하는 일이다. 그러나 이미 존재하고 있는 것을 어떻게 새로 정립할 수 있는가? 신이 완전히 주어져 있지만 인간은 신을 향해 자신을 초월하지 못한다. 인간은 존재의 표면 위에 있는 무관심한 우연성에 불과하다. 인간이 자기행동에 어떤 의의를 부여하고 싶다면 이 무관심하고 완결된 비인격신에 의지해서는 안 될 것이다. (51쪽)

4. 인간 : 우리 속에는, 우리 각각의 행위 속에는 인류의 모든 과거가 기입되어 있다. 우리는 이 과거를 넘어서 미래 쪽으로 향한다. 이러한 진보는 항상 우리를 서로 이어지게 만든다. 그러나 우리는 각자 자기 자신만의 관점만 가질 수 있다.
인류는 결코 완결된 것이 아니고 끊임없이 미래를 향하여 기투한다. 인류는 끊임없이 스스로를 지양하는 존재이다. 인류는 끊임없이 우리를 부르고 우리는 거기에 응답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개개의 인간들을 통하여 인류는 끊임없이 자신의 존재에 합류하려 한다. 그의 존재 자체가 성립되는 것이 바로 개개의 인간들 속에서이기 때문이다. 우리들의 초월성은 결코 인류를 지양할 수 없고 다만 함께 동반할뿐이다. (61-62쪽)
하나의 목적을 위해 행동한다는 것은 언제나 선택하는 것이며 한정하는 것이다. (77쪽)

5. 상황 : 우리는 우리의 행위에 대하여 반성할 수 있다.
인간은 존재하기 위하여 행위한다.자신이 즉자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는 자신을 초월해야 한다. 그러나 또한 그는 즉자적으로 존재하기를 바라기때문에 그의 초월성은 하나의 충만성으로서 포착되어야 한다. 인간의 초월성이 응고되어 나타나는 것은 그가 창설한 대상 속에서이다.
기투는 자유이고, 개별적이며 따라서 한정적이다. (83쪽)

6. 헌신 : 타인의 존재가 절대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 우리는 헌신할 수 있다.
인간은 결코 자기 자신을 포기할 수 없다. 사람은 자기가 원하므로 누군가에게 헌신한다. 그가 헌신하기를 원하는 것은 이런 방법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회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93-94쪽)
헌신한다는 것은 타인을 위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96쪽)
우리는 타인에게 하나의 도구일 뿐이다. (110쪽)
타인에게 부담을 주는 숙명은 언제나 우리 자신이다. 모든 거절은 선택이고 모든 침묵은 목소리이다. 우리의 수동성조차 우리 의지의 소산이다. 선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선택해야 한다. 선택에서 도망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114쪽)

7. 소통 : 나의 기획이 그들의 기획과 일치하느냐에 따라 소통할 수 있다.
우리가 결정해야 할 것은 바로 우리들의 행복이다. (116쪽)
각자는 모두 자기 자신에게만 주체일뿐이다. 그리고 타인의 눈에는 '그저 아무나'일 뿐이다. (119쪽)
타인 앞에 있는 나의 상황이 무엇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현재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일이다. (120쪽)
물론 그가 살고 있는 지금, 비행기는 하나의 필요에 부응한다. 그러나 그것은 그 물건이 존재함으로써 생겨난 필요이고 더 정확히 말하면 그것의 존재로부터 사람들이 만들어 낸 필요이다. (121쪽)
나의 존재가 타인과 소통하는 것은 오직 내 존재가 관여한 대상들에 의해서이다. (124쪽)

8. 행동 : 우리는 자기의 목적을 위해 행동한다. 이러한 행동에는 책임이 있다. 책임을 지는 것이 자유다.
자신의 계획이 파괴되지 않은 채 어디까지 확산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각자의 몫이다. (146쪽)
우리가 우리의 행위를 책임지는 것은 불확실과 위험 속에서다. 그것이 바로 자유의 본질이다. 자유는 미리 정해진 구원을 목표로 자신의 마음을 정하는 것이 아니다. (147쪽)

**그리고 단편들로 구성된 김연수 [너무 많은 여름이] /프로스트 [밤이 오기 전에]는 각각 서너편씩 읽고 덮었다. 
**블라블라, 여러 이야기가 있지만, 아직도 출근해야한다고 잠깐씩 깜짝 놀라고 있다.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안되기에 여전히 시간을 쪼개서 살고 있는 나를 마주하고 있다.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든 사람은 혼자다 - 결혼한 독신녀 보부아르의 장편 에세이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박정자 옮김 / 꾸리에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는 인간 존재를 구성하는 절대적 요소이다. 우리의 존재 양식은 자기 자신을 뛰어넘는 초월성인데 그것은 존재 한가운데에 무가 들어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무는 자유와 동의어다. 내가 다른 사람들의 비난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은 나의 존재가 초월성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173쪽)

그러나 인간에게는 자유만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는 영역(부모, 외모 등)이 있는데 이를 사실성이라 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유와 사실성이 합쳐진 존재이다. 이 주어진 여건을 어떻게 뛰어넘어 어느 방향으로 가느냐 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주체인 나의 선택과 자유에 달려있다.
그 누구도 나를 대신하여 내 인생을 선택하거나 살아 줄 수 없다.
모든 결정은 순전히 내 판단으로 내려야 하고 그 결정이 정당하다고 판결해 줄 사람은 아무도 없고 그 결정이 잘못되었을 때 그건 내 책임이 아니라고 변명할 여지가 전혀 없는 것, 이것이 바로 대자적인 삶이다. 이것이 자유다. 그 자유를 분명히 느끼게 될 때 우리는 심한 불안을 느낀다. 자유에 눈 뜨는 것은 인간에게는 언제나 크나큰 고통이다.
실존주의가 우리에게 주는 불안감이다. 그러나 동시에 빛나는 희망이기도 하다. 내 인생은 나의 것이고 나는 뭐든지 내 뜻대로 할 수 있으므로. (17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욕망없이는 살 수 없다는 안 베르는 루게릭 병이 자신을 잡아먹는 시간들을 담담하고 솔직하게 풀어내고, 죽음을 스스로 선택했다. 

생의 마지막을 선택한 그녀의 마지막은 여름이었다.

그녀는 아무 것도 할 수 없고 미래를 도모할 수 없고 희망이 없다. 불능과 의존만이 있다. 

그녀의 시간은 정지되고, 손자들은 어른이 되고 계속 나이를 먹겠지만 자신은 영원히 쉰아홉 살로 남게 된다는 것, 현재형만 있다는 것, 언니가 눈 앞에 있지만 손이 아니라 시선으로만 꼼꼼히 어루만질 수 있다는 것, 그래서 촘촘한 바늘 땀으로 맺어진 인연을 풀어헤쳐야 한다는 것, 그래서 무시무시하고 늘임표가 찍힌 슬픔을 느낀다는 것, 그녀처럼 이렇게 자신의 죽음을 맞이하는 이는 없을 거다. 

얄밉게도 나는 그녀의 글에서 깊은 안도와 위로를 받는다.

생각해 볼 것은, 죽음을 타인에 의함이 아닌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해서, 그에 앞서 남이 나에게 하지 않기를 바라는 일은 나도 남에게 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을 우리의 의무로 해야 된다로 확장하여 생각해 본다.   

번역도 참 잘하셨다.  

약속이 있어서 생각이 모이지 않는다.

[나의 마지막은, 여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의 마지막은, 여름
안 베르 지음, 이세진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차라리 자아의 가장자리에 끼워 넣은 문학같은 것이다. 표현할 수 없는 것과 침묵의 경계에서, 인상주의와 초현실주의의 경계에서, 나는 여전히 나를 초월한 것을 말할 수 있는 단어들을 찾고 있다. (25쪽)

병원에서 얘기를 듣고 온 날 저녁, 나는 어떤 말도 함께할 수 없다. 그 누구하고도, 그럴 수 없다. 그럴 마음도 없고, 그래야 할 필요조차 느끼지 않는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라고 해도. 내가 원하는 것은 침묵뿐이다. 나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다른 곳에 있다. (47쪽)

몸을 위하여 할 수 있는 바를 다했다. 몸과 영혼이 온전한 한 덩어리였다. 하지만 이제 한쪽이 다른 쪽의 뜻을 따라주지 않는다. (중략)
나는 몸과 루게릭이 손을 잡고 내 뒤통수를 치는 이 삼각관계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내 몸은 팔려가 루게릭의 앞잡이가 되었다. 내 삶 전체가 고꾸라졌다. (63쪽)

아직은 죽기 전에 차를 몰아 달리고 싶다. 아무 생각없이 오가고 싶다. 나는 이제 완전히 남에게 의지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신세다. 실현할 수 없는 나의 욕망은 반쯤 죽은 여자의 딱하고 가망 없는 환상일 뿐. (73-74쪽)

나는 손이 아니라 시선으로 꼼꼼히 언니를 어루만진다. (93쪽)

우리는 밤 산책을 한다고 쏘다니고 많이 웃는다. 조금 있으면 죽을 사람이라고 웃지 않을 수 있나? 마지막 아침, 일찍 눈이 떠진다. 왠지 모르게 눈물이 난다. 무시무시한 슬픔이 나를 짓누른다. 이 정도의 슬픔은, 이렇게 늘임표가 찍힌 슬픔은 한 번도 느껴본 적 없다. (98쪽)

내가 탁구를 칠 수 없다는 현실을 아직까지도 못 믿겠다. 어떤 활동에도 나는 참여할 수 없다니 믿기지 않는다. 정말 별것 아닌 활동조차도 말이다. (108-109쪽)

이 세상에서 저 세상으로 과연 넘어가지는 할까? 산 자가 죽은 자가 되는 막 그 순간이 존재하기는 한가? 이승으로 돌아와 알려줄 이, 아무도 없다.
죽는다는 것을 사유하기. 그건 과감하게 이러한 이미지들을 털어내는 것이다. ‘죽다‘라는 동사를 신체의 작동으로만 이해할 것. 그냥 불을 끄는 스위치 비슷하게 생각하고 아무것도 더 갖다 붙이지 말 것. (123-124쪽)

내가 자유로운 정신으로 내 입과 손과 팔과 다리를 모두 써서 사랑을 나누었던 마지막 때도 그게 마지막이라는 실감은 하지 못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 내 친구들을 마지막으로 껴안았던 때가 언제인지는 기억할 수조차 없다. 마지막으로 팔을 들어 그들의 목을 뜨겁게 끌어않았던 때가 언제였더라. 하지만 이게 낫지 않나? 딸아이가 까르르 웃음을 터뜨릴 때 ‘이게 마지막이구나‘라는 생각 따위는 하지 않는 편이 낫지 않을까? 마지막이라는 자각은 다 끝장안 사람의 절망만 맛보게 하든가, 우울감이나 회한의 맛을 남길 뿐이다. (13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월이 끝난 줄 알았는데, 달력을 보니 오늘 하루가 더 숨어있었다.


아그네스 발차가 부르는 [우리에게 더 좋은 날이 오겠지 / 우리에게 더 좋은 날이 되었네] 노래를 반복하여 듣는다 : Agnes Baltsa 'There will be better days, even for us'

노래 제목을 달리 보면 와 닿는 의미가 완전 다르다. 고통이 팬던트처럼 목에 걸려 있지 않도록 자신을 깨우치라는 가사가 있다. 


사진 시집, [아직 거기 있었구나]에서는 사진과 시가 각각 부족한 느낌을 떨칠 수 없다. 둘 다 있어 채워지고 보완되고 있지만, 책으로 내야 할 정도로 완벽하지는 않는 것 같다. 순전히 책 제목에 이끌려 펼쳤다. 


모르고 지나치는 것들, 늘상 있어 당연한 것들, 사라지지도 가버리지 않고 아직도 거기에 있는 것들이 마음을 헤집고 다닌다. 요즘 일은 금방 잊어버리는데, 예전 일은 오래도 남아 있다. 

산불로 모두 잃어버린 이재민들을 위해 기도하고 보탠다. 나비 효과를 믿어본다. 

3월 31일이 있었구나, 잘 가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