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  음악을 크게 틀어 놓고 따라 부르며....... 누군갈 사랑하는 건 이유가 없는 건가봐. 그대가 그냥 거기 있기 때문이야. 그것 뿐이야. 내마음 다해 그대를 행복하게 해 줄거야. 그대가 다시 태어나도 날 또 다시 만나고 싶게....(김돈규&에스더: 다시태어나도) 영화 '내사랑 내곁에' 주인공들이 부르기도 한 노래...초록의 이파리들이 손짓하는, 싱싱함으로 절로 가슴이 시원해지는, 가슴 벅차 아무 말도 못하는 오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근조謹弔를 달고 천안함 46용사 가슴에 묻다...편히 쉬시게... 갈수록 일어나는 많은 일들이 나의 일, 나의 가족, 내 동생의 일 같아 마음이 아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국인의 관계심리학 살림지식총서 279
권수영 지음 / 살림 / 2007년 2월
장바구니담기


미국인들은 인간이 극단적인 행동을 하는 원인을 개인의 기질 문제로 파악하려는 경향이 있는 반면, 중국 사람들은 주어진 상황이 미치는 영향력에 훨씬 큰 비중을 두었다.-13쪽

우리는 어쩌면 생각과 느낌을 혼동하도록 교육받아 왔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생각이나 판단을 느낌으로 착각할 때가 많다. 아이는 부모에게 야단맞을 때 잘못했다는 생각을 하기는 하지만 자신의 내면에 숨어 있는 창피하고 억울한 느낌은 좀처럼 표현하지 못한다. 아이는 어떠한 감정도 나타낼 수가 없다.-20쪽

다시 말해 기쁨은 범문화적인 감정이지만 어떤 사람은 내적인 경계 안에서 기쁨을 느끼는 반면, 다른 사람은 내적인 영역을 넘어 타인의 마음에 비춰지는 자신을 알고 난 뒤에야 기쁨을 느낀다. 이 사실은 나와 타인 사이의 최적의 거리는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34-35쪽

정이라는 정서야 말로 '피'의 관계로 분석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문화적인 감정이다.-43쪽

개인주의 문화에서는 개인과 인간관계가 별개의 유기체로 존재한다.그러한 문화 안에서 인간관계란 '행위'를 기초로 하는 과정이다.-50쪽

즉, 미국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계와 한국인에게 중요한 관계는 둘 중에 한 가지를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 대화할 수 있고 통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문제이다.-56쪽

건강한 분화는 '따로 또 같이'의 느낌이 지속되는 과정이다. 분명 한국의 부모와 자녀들은 '따로 또 같이'가 가능한 문화자원을 가지고 있다. 부모와 자녀는 따로 떨어져 살지만 늘 함께 있다는 느낌을 공유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지켜야 할 '관계적 경계'이다.-84쪽

내가 안전하기 위해 담을 높이 쌓아 올릴 것이 아니라, 함께 하면서 공감하고 서로에게 힘을 줄 수 있는 관계가 공존할 수 있도록 남을 배려하는 바로 '관계적인 경계'가 필요하다. 우리의 존재 밑바탕에 경계와 경계의 사이를 관계로 메울 수 있어야 한다. 자녀를 믿는 마음, 전문인과 의뢰인, 상사와 부하 직원 사이의 믿음도 이러한 존재론적인 관계에 대해 인식할 때 가능하다. 서양의 개인주의적 관계가 아닌, 너와 내가 서로에게 필요하다는 상호의존적 관계 말이다. 이러한 관계는 결코 서양의 잣대로 평가할 수 없다. 통제하지 않으면 통제 당한다는 서구의 논리로 생각하면, '관계'란 통제 당하지 않고 중독되지 않기 위해 늘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하는 천덕꾸러기가 될 것이다. 한국인의 관계는 너와 나 사이에 주어진 존재의 사물이다.-9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으슬으슬, 춥다. 무릎담요를 가지고 갔다. 빗줄기가 굵다. 조금이라도 빨리 오려고 달렸다. 도심은 햇살이 짱짱하다. 거짓말처럼 도시이편과 저편은 날씨조차 다르다. 아직도 따뜻한 온기가 필요하다. 조금씩 속이 시려오는 날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삶의 의미를 찾아서
빅토르 프랑클 지음, 이희재 옮김 / 아이서브 / 2001년 12월
품절


너무 바짝 붙어 있어서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는 데는 한계가 있을지 모르나, 체험의 실상은 '현장'에 있었던 사람만이 알 수 있다.-23쪽

아무것도 가진 것 없는 자라 할지라도, 그가 사랑하는 사람의 모습을 가슴 깊이 간직할 수만 있다면, 비록 짧은 순간에 그칠지라도 구원의 빛이 찾아든다는 걸 뼈저리게 이해한다.-72-73쪽

사람의 고통을 나는 가스에 비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텅 빈 공간에 가스를 주입하면 가스는 공간이 크든 작든 그 공간을 구석까지 균일하게 채운다. 마찬가지로 사람의 고통도 크건 작건간에 사람의 의식을 가득 채우고 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이 겪는 고통의 '크기'는 어디까지나 상대적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83쪽

사람은 미래 의식이 있을 때만 존재할 수 있는 특이한 존재이다.-129쪽

정말 중요한 것은 우리가 삶에서 무엇을 기대하고 있느냐 하는 것이 아니라 삶이 우리에게 무엇을 기대하고 있느냐 하는 점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깊이 깨달아야 하고, 그걸 모르는 사람에게는 깨우쳐 주어야 한다.-135쪽

삶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 즉 삶의 의미는 사람마다 다르고 또 순간순간마다 바뀐다.-136쪽

인간은 여러 사물 속에 놓여 있는 한 가지 물건이 아니다. '사물'은 서로가 서로를 규정하는 관계에 있지만 한 '인간'을 규정하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이다. -20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