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떠나보내기
이승욱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9월
구판절판


본격적인 심리치료사로 일하기 시작한 지 벌써 십 수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나는 내담자와의 '관계', 내담자라는 '화두'로 인해 뜨거워지기도 서늘해지기도 환희하기도 좌절하기도 한다. 고통스러워 이 직업을 그만두려는 생각을 수도 없이 했다. 그러나 그것은 관계를, 내 삶의 화두를 버리는 일이었다. 그것과 함께 가는 것이 내 삶을 책임지는 방식이라는 것을 나는 이미 알아버렸다. 그리고 내담자들과의 분석은 내게 단순한 돈벌이로서의 전문적 활동이 아닌 삶의 본질과 접촉하는 일이었다. 그것이 바로 내 스승들이 내게 해준 마지막 가르침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내 스승들이 전수해준 관계와 화두에 관한 깊은 이야기다.-6쪽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경계가 아니라 공간이 아닐까요? 경계는 오직 하나의 선이어서 바로 눈앞에 두고도 넘어갈 수 없게 하는 장벽, (투명한)차단막입니다. 따라서 경계는 관계의 균열입니다. 하지만 관계 사이의 공간은 공명을 가능하게 하죠. 공간은 심리적이고 정서적인(때로는 물리적인) 영역이고, 그것은 사생활의 존중이라는 방식으로, 또는 정서적 여유를 회복할 수 있는 시간적, 또는 특수한 환경으로서 공간의 제공이라는 형태로 나타납니다."-46쪽

모든 내담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느끼는 것이 한 가지 있다. 그것은 사실 내담자들은 전혀 변화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런 결론을 내린 적이 있다. "내담자들을 변화시키는 것이 어려운 게 아니라 그들이 진정으로 변해야겠다고 결심하게 하는 것이 어렵다." 심지어 라캉은 "내담자들은 변화하기 위해 분석을 받으러 오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삶을 유지할 방법을 찾기 위해 분석가에세 온다."고까지 말한다. 그저 고통을 계속 지킬 수 있는 방식으로써 분석가를 찾아온다는 것이다. 그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라캉은 계속 말한다. "내담자가 정말 변해야겠다고 결심하는 그 순간부터 내담자는 진정한 분석관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다. 진정한 결심, 과거로부터 벗어나겠다는 변화의 결심, 이 자체만으로도 많은 것은 해결된다."-103쪽

성인이 되면 한 여자로서, 한 남자로서 인정받는 경험이 필요하다. 육체적 매력을 포함한, 한 여성으로서 인정받는 경험 말이다. 일반적으로 그것은 연애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한 남자의 온전한 사랑을 받음으로써 여자가 되는 것이다. 남자도 마찬가지다. 사랑받음으로써 자기 안의 여성을 확인하며, 인정받음으로써 그가 날 사랑한다고 확신한다. 그래서 연애는 아직 덜 자란 소녀와 소년을 여성과 남성으로 성장시킨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여성, 남성이 되기도 전에 바로 아내와 남편, 엄마와 아빠가 되어버리는지 나는 안다. 대학에서 강의를 할 때, 자신의 여성성을 언제 확인했냐는 질문을 가끔 한다. 많은 여성들이 '아이를 낳았을 때'라고 답한다. 그건 어머니로서의 생산성, 모성을 확인한 것이지 여성을 확인한 것은 아니다. 여성성을 확인하는 경험은 한 남자로부터 온전히 사랑받고 있다는 충만감을 느낄 때 가능하다. 물론 여성으로서 한 남자를 온전히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 전제가 된다. -135쪽

부모와 가족들 사이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느낄 수 없을 때, 보통 사람들은 어떤 감정을 느낄까. 부모에게조차 존재를 인정받지 못해 자신이 가치 없게 느껴진다면, 그런 못난 자신에 대한 분노와 무기력함이 필연적으로 뒤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205쪽

외로움이란, 내가 말할 대상이 없는 데서 비롯된 상처가 아니라, 내가 누구에게도 말 걸어지는 대상이 아니라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했다. 말 걸어지는 대상이라는 것은, 존재감의 확인이다. 우리에게는 말 걸어주기를 진정 원하는 사람, 오직 한 사람, 또는 소수의 몇 명이 있다. 그들은 대체로 부모들이다. 그들의 말은 따뜻하고 부드럽고 수용적이어야 한다. 어루만지는 말이어야 한다. 그것이 최선이다. 많은 부모들은 따뜻하지도 부드럽지도 수용적이지도 않지만, 그래도 말을 걸어준다. 이것은 차선이다. 말을 걸지 않는 것보다는 나으니까. 그러나 자신의 일부만이 받아들여지는 느낌은 어중간한 외로움을 만들어낸다. 그래서 많은 이들의 외로움은 대체로 어정쩡하다. 절절히 외롭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외롭지 않은 것도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부드러운 말과 어루만지는 대화와 수용되는 느낌을 원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을 주어야 한다. 그래야 받을 수도 있다. -217쪽

우리는 자신을 먼저 사랑해야 한다는 말을 상투적으로 내뱉지만, 사실 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 '건덕지'가 있어야 한다. 스스로를 사랑할 수 있는 자격이 있어야 하고, 그 자격 역시 자신이 부여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이 스스로에게 내준 시험을 통과할 필요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26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