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런던에서 사람 책을 읽는다
김수정 지음 / 달 / 2009년 8월
절판


[링빙 라이브러리]의 콘셉트는 단순했다. 도서관에 와서 '책'을 빌리는 대신 '사람'을 빌린다는 것, 대출시간은 30분, 독자들은 준비된 도서목록-사람들목록-을 훑어보며 읽고 싶은 책-사람-을 선택한다. 그리고 그 책-사람-과 마주앉아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그 사람의 인생을 읽는 것이다. 도서목록에 올라 있는 사람들은 다양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우리 주변에 언제나 존재해왔지만, 스포트라이트를 받아본 적이 없었던 살마들, 남들과 약간 다른 독특한 이력 덕분에 '오해의 시선'을 받아온 사람들. 즉, [리빙 라이브러리]는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대화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잘 알지 못해 가질 수밖에 없었던 타인에 대한 편견과 선입관, 고정관념을 줄이자는 의도로 기획된 행사였다. -9쪽

[리빙 라이브러리]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그 사람 입장이 되어보자는 것. 그러면 그 사람의 처지를 헤아릴 수 있다는...-16쪽

"선생님이 결코 가져서는 안 될 게 바로 선입견과 편견이에요. '저 아이는 아마 이 정도 수준인걸' '이런 가정 형편이니 여기까지만 기대해야지'. 이런 선입관이 아이의 미래를 망칠 수도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해요. 그런 의미에서 선입관과 편견을 깨자는 [리빙 라이브러리]에 매료됐어요. 아이들이 세상에서 많은 것을 배워야 하는데, 타인에 대한 편견을 타파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이 '살아 있는 도서관'이야 말로 완벽하게 아이들을 위한 교육기관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죠."-77-78쪽

"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노년이 그런 거예요. 적당히 돈을 벌었으니 나머지 인생은 조용한 곳에서 쉬면서 보내겠다, 뭐 이런 거.
전한테 그건 이미 죽은 삶이에요. 왜 죽는 걸 기다리면서 시간을 보내죠? 나는 죽는 그 순간까지 도전하면서 살 거예요."-155쪽

우리는 자주 자신의 가치 기준에서 정상과 비정상의 범주를 나눠놓고 산다. 영국 사람이 영국에 살지 않고, 아프리카에 살면 비정상인 걸까. 그렇다면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우여곡절 끝에 영국에 사고 있는 나는 비정상인가 정상인가. 어쩌면 '특별하다'와 '평범하다'는 개념은 우리가 멋대로 만든 허상일지도 모른다. 정상, 비정상이라는 말조차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개념일 수도 있다. 런던을 보면 딱 그렇다. 코스모폴리탄이라는 표현이 너무 잘 어울리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복작복작 어우러져 살고 있다. 자신을 런던이라는 용광로에 녹여 출신, 나라, 인종을 떠나 세계 시민 런더러로서 살아간다. 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역사와 민족, 개인 취향을 고집스럽게 지키는 개성 만점의 사람들인 것이다. 그리고 그들 모두가 우리가 생각하는 정상의 범주에 드는 런던 사람들이다. -233쪽

"어휴, 저 책상이 좀 낡았네. 내다 버려야지"라고. 하지만 만약 그 책상을 본인이 며칠 동안 공을 들여서 직접 만들었다면 그런 생각을 쉽게 하지는 못할 거라는 거다. 혹은 그 책상이 어린 시절 아버지가 열심히 대패질해가며 만들어서 선물한 거라면 그 물건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된 수고와 에너지를 쉽게 저버릴 수는 없다는 거다. 그런데 돈을 사용하면서부터 우리는 그런 마음을 잃어버렸다. 물질 만능주의 사고방식과 습관에 길들여져 언제부터인가 아무 고민 없이 물건을 버리고, 새로운 물건을 구입하게 되었다.
그렇게 물건의 진짜 가치를 포기하는 순간, 우리는 돈이 표시하는 숫자에 따라 가치를 매기게 되었다.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에게 물건 자체보다 어느 브랜드인가, 가격이 얼마인가가 더 중요할 뿐만 아니라 사람도 그가 소유한 물건으로 재단하고 평가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마크는 우리의 삶이 이렇게 변질된 게 너무 슬펐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고 싶었다. 돈은 우리 인생에서 주인공이 될 정도로 그리 대단한 존재는 아니라고. 돈에게 중요한 역할을 맡겨서는 안 된다고. 돈이 행복을 좌우할 수는 없다고.-29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