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치료의 거장
토마스 M. 스콥홀트, 렌 제닝스 지음, 박정민 외 옮김 / 학지사 / 2008년 7월
장바구니담기


전문가와 초심자 간의 차이란 전문가들이 축적된 경험, 지식, 지혜의 맥락에서 단어, 체스 말 혹은 음표를 보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30쪽

첵센트미하이는 누구나 일상생활에서의 작업,놀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심지어 고독을 통해서도 '몰입'이나 경험의 높아진 감각을 즐길 수 있다는 개념을 강화시키기 위해 오랜 기간 연구했다. 하지만 그는 일관적인 '몰입'은 개인의 능력과 직면된 도전 간의 강력한 만남이 있을 때에만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하면, 단지 새로운 도전만으로 몰입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개인에게 전문적으로 수행할 기술이 부족하다면 몰입에서 노력이 필요 없는 내적인 느낌을 경험할 수 없다. -31쪽

지혜과 직관은 치료와 상담에 관련된 전문성의 핵심인가? 푸크와 동료들의 발견은 한 분야만을 대표하는 연구이지만, 그들은 사회복지 분야 전문성의 두드러진 특성이 불확실성과 불예측성을 다루고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혼란스러운 상태에서 융통성을 보이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모든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은 없다. 실체가 없는 것에 대한 인내(예: 모호성, 불안, 장애, 갈등, 양가감정, 역설)은 타인을 돕는 직업 분야에서 전문성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다. -55쪽

어떤 상담자들이 어려운 사례의 역동을 이해하는 인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내담자와 치료적 동맹을 맺는 데 필요한 관계형성 기술은 부족하다면 어떨까? 어떤 상담자들의 그들의 내담자와 정말 관계를 잘 맺지만 그들의 정서적 욕구가 내담자와 상담을 하는 데 방해가 된다면 어떨까? 정서적으로 건강한 상담자들이 내담자의 복잡한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어떨까? 연구에 비추어 보아, 우리는 대가 상담자의 CER 모델을 제안한다. 대가 상담자가 되려고 하는 사람들은 인지적(C), 정서적(E), 관계적(R) 영역에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발전해야 하며, 내담자와 상담을 할 때 그들의 서비스에 이 세 영역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가 상담자의 CER 모델은 이러한 세 가지 영역이라는 다리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이다. 그것은 인지적 특성(인지적 복잡성과 배움에 대한 열정적인 욕구), 정서적 특징(정서적 수용과 성숙), 관계적 특성(대인관계면에서 재능 있는)을 포함한다. -100쪽

상담자들의 전문성 발달과정에는 다양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친다. 방대한 연구물들은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구체적인 요인들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고 있지만, 그 요인들에 대한 보다 깊은 탐색과 전문적 생동감을 유지하기 위한 자기 돌봄의 실천들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어 있지 않다. -163쪽

대가 상담자들은 그들 자신의 인생 문제를 자각하는 데 전념하였다. 그들의 자기 자각은 두 가지 주제로 모아지는 것 같았다. (a)자기 자신의 개인적, 신체적 욕구를 이해하고 충족시키는 것과 (b)그들 자신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개인 갈등, 방어, 취약성에 대한 자각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대가 상담자들은 이 문제들이 치료 회기를 방해하고 내담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개인적인 정서적 욕구를 자각하고, 이러한 욕구들을 다양한 활동들-여행, 운동, 영적 수행, 심리치료, 동료/친구/가족과의 만남-을 통해 충족시키는 것은 상담자들에게 중요한 것 같았다. -210-211쪽

우리는 로저스(1961)가 그의 저서 [온전한 인간됨에 대하여(On Becoming a Person)]에서 묘사한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에 대한 모델을 살펴볼 것이다. 개인적 성장과 창의성에 대한 이 고전적 지침서에서 로저스는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은 인생을 최종 목표가 아닌 과정으로 접근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부적으로 세 가지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즉, 경험에 대한 높은 개방성, 순간을 충만하게 살기(로저스가 실존적 삶이라고 부른 것),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높은 신뢰다. 로저스가 말한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에게는 이 세 가지 특징이 통합되어 나타난다. -261쪽

R(면접자): 선생님에게 개인적으로 정서적 안녕과 전문적 적응유연성을 촉진한 요소들은 어떤 것이었나요?
P(대가상담자): 독서라고 생각해요. 나는 매일 독서를 하려고 해요. 일종의 명상이지요. 누군가 나에게 명상을 하고 있느냐고 물으면 아니라고 할 거예요. 하지만 독서는 반성적 회고(reflection)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요. 동료들과 함께 내가 읽었던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들의 생각을 나누는 거죠. 영화를 보러 나가는 것도 있어요.... -256-2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