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이란 무엇인가 살림지식총서 338
이향 지음 / 살림 / 2008년 10월
장바구니담기


번역은 맥락과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번역자는 항상 주어진 텍스트를 상황 속에 위치시키고 그 속에서 적절한 번역을 찾아내어야 한다. 철학자 리쾨르(Ricoeur)가 말한 것처럼 번역은 단어에서 문장, 맥락, 문화, 세계로 가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서 문화, 맥락, 문장으로 좁혀가는 작업인 것이다. -21쪽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본능은 다른 사람이 쓴 글을 바꾸고자 하는 욕망이라고 한다. 아무리 훌륭한 번역사가 번역한 글도 다른 번역사에게 보여주면 반드시 수정이나 개선의 여지가 눈에 띄게 된다. 좋은 번역이 무엇인지에 대한 판단이 이처럼 주관적이고 자의적이기 때문에 모두를 만족시키는 번역이란 어쩌면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42-43쪽

Any old fool can learn a language, but it takes an intelligent person to become a translator.
어느 바보라도 언어는 배울 수 있으나 영리한 사람만이 번역사가 될 수 있다.
위의 문장은 언어능력과 번역능력이 서로 다른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한마디로 외국어 실력이 뛰어난 사람이라고 해서 누구나 번역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53-54쪽

그런데 사람이 기계보다 번역을 더 잘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능력, 즉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 능력' 때문이다. 전략적 선택 능력은 한마디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자체적인 성찰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 번역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유형은 무한히 다양한다. 아무리 유연하고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기계라 해도 인간이 '입력하지 않은' 새로운 규칙을 스스로 만들어 내지는 못한다. 반면 인간은 무한히 다양한 번역 상황 속에서 그만큼이나 다양한 번역 문제에 봉착하여 이를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해 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번역의 과정은 한마디로 끝없는 문제해결의 과정이며 선택의 과정인 것이다. -57쪽

번역학자 슈타이너는 인간이 이토록 많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역사에서 가장 설명 불가능하며 '비경제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인류의 역사는 항상 가장 생존에 유익하고,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진화해 왔따. 그런데 인류는 왜 6,500개나 되는 언어를 만들어 내어 그토록 많은 소통의 문제를 겪고, 또 그토록 많은 에너지를 소통에 쏟아 붓고 있는 것일까?-8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