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각과 자유 - 장자 읽기의 즐거움 問 라이브러리 8
강신주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11월
구판절판


사랑은 어떤 타자를 특별한 것으로 느껴지기를 바라는 감정이자, 동시에 그 타자로부터 자신도 특별한 것으로 느껴지기를 바라는 감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사랑이란 내가 특별하게 생각하는 타자가 내가 그런 것처럼 나를 특별하게 생각해주기를 바라는 감정이라는 말이지요.
내가 어떤 사람을 특별한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은 아닐 수 있습니다. 다만 어려운 문제는 타자로 하여금 나를 특별한 사람으로 생각하도록 강제할 수는 없다는 데 있습니다. 그에게도 나를 특별한 사람으로 생각할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자유가 있기 때문이지요. 사랑에서 중요한 점은 우리 자신뿐만 아니라 타자도 자유를 가지고 있다는 자명한 사실에 있습니다. 다시 말해 나는 타자를 사랑할 수 있지만, 그 타자는 나를 사랑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16-17쪽

장자가 이야기하는 망각이나 비움이란 개념을 우선 허무주의적인 것으로 독해해서는 안 됩니다. 장자는 우리로 하여금 타자에 대한 사랑 자체를 망각하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그가 망각하거나 비워야 한다고 생각한 대상은 우리가 타자에 대해 미리 갖고 있는 생각일 뿐입니다. 다시 말해 장자가 문제삼았던 것은 타자와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우리의 판단 혹은 추측이라는 것이지요. 사랑하는 타자에 대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그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야." "그에게는 이것이 가장 좋을거야." 이러한 판단들 속에는 타자가 우리와 다르다는 것, 그래서 그는 우리와는 다른 생각과 욕망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진지하게 숙고되고 있지 않습니다. 타자에 대한 우리의 선입견은 근본적으로 타자의 자유, 즉 타자성을 부정하도록 만드는 위험한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장자는 바로 이것을 망각하거나 비우라고 역설했던 것이지요.-18-19쪽

아름다움이나 숭고의 느낌은 모두 일종의 무관심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무관심은 따뜻한 봄날처럼 평온하고 안정된 것이라면, 후자의 무관심은 폭풍우 속에 있는것처럼 불안하고 역동적인 것이다. 양자의 차이는 창문을 통해서 폭풍우를 구경하는 것과 들판에 서서 폭풍우를 맞는 것과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아름다움과 관련된 무관심이 타자를 관조하는 무관심이라면, 숭고와 관련된 무관심은 타자와 마주쳤을 때 발생하는 무관심이라고 말해도 된다.-52-53쪽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장자에게 있어 도(道)란 미리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가 발견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우리가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장자는 "도는 우리가 걸어 다녀야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던 것이다. -87쪽

'도추'의 상태란 이분법적 대립과 판단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고 유예되는 상태, 판단이 중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자신이 상인인지 아닌지를 결정하지 못하여 현기증을 느끼면서 송나라 상인이 경험했던 것도 바로 이 상태이고, 원숭이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결정하지 못해 당혹감을 느꼈던 원숭이 키우는 사람이 경험했던 것도 바로 이 상태다.
결론적으로 장자의 '양행' 논리는 '타자성의 테마'와 판단중지의 테마'에 대한 통찰 없이는 이해 불가능한 것이다. "옳고 그름(을 자유롭게 사용함)으로써 대립을 조화시킨다"는 표현이 '타자성의 테마'없이는 이해불가능한 것이라면, "천균(天鈞)에서 편해한다"는 표현은 '판단중지의 테마'없이는 이해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장자에게 있어 이 두 가지 테마는 "둘이 함께 가는(兩行)"것이다. 다시 말해 타자성을 경험하게 되면 우리는 일종의 판단중지 상태에 이르게 되고, 역으로 일종의 판단중지 상태에 있게 되면 우리는 타자성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양행'논리가 중요한 것은 바로 이 논리가 장자가 권고하는 심재(心齎)나 좌망(坐忘)의 수양론의 취지를 이해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114-115쪽

인간의 유한성과 타자의 타자성 사이, 다시 말해 자타(自他)사이의 심연을 건너기 위해서는 일종의 결단과 비약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비약이 가능하기 위해서 우리는 충분히 가벼워야만 한다. 심연을 건너기에 충분히 가볍기 위해서 우리는 자신을 비워야만(虛) 한다. 타자와의 소통을 가로막는 심연 앞에서 우리는 자신이 보물처럼 가지고 있었던 것들[선입견, 오만, 자의식, 사변적 사유 등등]과 경건하게 작별의식을 수행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이런 것들은 심연을 건너는데 자애물이 되기 때문이다.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비워야만 우리는 타자와 소통할 수 있는 가벼움과 경쾌함, 도약의 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장자에게 주체의 변형 혹은 주체의 자기수양은 타자와 소통이라는 이념에 종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비우고 심연을 비약한다고 해서 우리가 반드시 타자에 이른다는 보장은 전혀 없다. 우리는 건너편에 이르지 못하고 심연 속으로 곤두박질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결국 비움의 수양은 단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수단일 뿐 결코 타자와의 소통을 필연적으로 보장하지는 못한다.-123쪽

장자는 타자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억을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서, 기존의 낡은 기억을 제거해야 한다고 이야기 합니다. -1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