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냉정하게 보다 용기있게
어빈 D.얄롬 지음, 이혜성 옮김 / 시그마프레스 / 2008년 6월
품절


에피쿠로스는 '의학적 철학'을 실천한 철학자였다. 그는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것처럼 철학자들은 인간의 영혼을 치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관점에 따르면, 철학에는 하나의 목표, 즉 인간의 정신적 고통을 완화시켜주는 단 하나의 목표가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고통의 근원은 무엇인가? 에피쿠로스는 그것을 언제나 우리 곁에 있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믿었다. 피할 수 었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인생의 즐거움을 방해하고 불쾌감을 남겨 준다고 했다. -15쪽

슬픔과 상실이 삶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경험이 되고 또 존재의 의미를 깊이 있게 만든다. -54쪽

자신이, 자신만이, 자기 삶의 결정적인 상황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그리고 자신에게만 그것을 변화시킬 힘이 있다. 자신이 외부적인 방해물에 압도다하게 된다 할지라도, 자신에게는 그 방해물에 대항할 수 있는 태도를 선택할 자유가 있다. -118쪽

죽음을 의식하고 그 그늘을 가슴 속에 품으면서 사는 것이 이롭다는 점을 마음에 새겨 두라. 이런 인식이 한때는 빛났으나 지금은 어두워진 인생의 서글픔을 희석시켜 줄 것이고 그런 생각을 계속한다면 당신의 인생을 상승시켜 줄 것이다. 인생을 가치 있게 하고, 다른 사람에게 애정을 느낄 수 있게 하고, 모든 사물을 깊이 있게 사랑하게 하는, 이런 모든 경험은 당신도 언젠가는 없어질 운명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데서 비롯된다. -166쪽

나는 단지 인간의 세계에서 살고 있으며, 인간관계가 존재하는 세상만이 나에게는 상관이 있다. 내가 실존이 없는 텅빈 세상, 자기 인식에 대한 주관적인 마음이 없는 세상을 떠난다고 생각하면 나에게는 슬픔도 애통도 없다. 다만 내가 한 일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파급효과가 중요하다. 한 사람의 생애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었던 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 자기와는 다른 자기 인식의 요소를 적용해 보는 것, 이것이 파급효과다.-1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