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 김열규 교수의 지식 탐닉기
김열규 지음 / 비아북 / 2010년 7월
장바구니담기


읽기는 모든 공부, 온갖 공부의 시작이다. 우리가 하는 모든 공부는 읽기로부터 출발한다. -86쪽

이렇게 우리 누구나 온 평생을 책벌레로 살 수는 없는 것일까? 책만 들고 앉으면 다른 사람이 가진 것도, 누리는 것도 서 푼어치가 안 되어 보이는, 그런 지악한 책벌레가 되기는 어려운 것일까? 그가 나이를 먹어서 어른이 되고 예순 살, 일흔 살을 넘은 노년이 되기까지 줄곧 또 줄기차게 책벌레로 살아간다면 그는 백만장자가 아닌 '책만장자'가 될 것이다. 그렇다. 책의 억만장자는 머리의 억만장자를 의미할 것이다. 뿐만 아니다. 가슴의 억만장자를 의미하기도 할 것이다.
그렇게 되어가면서 책 읽기로 살아가는 한평생!
서가 앞에, 거기 꽂힌 책들 앞에 다리를 펴고 편하게 앉아서 그 하고많은 낯익은 구면들이 던지는 정겨운 눈짓을 즐거이 받아내는 삶!
그렇게 책을 더불어서 살아갈 수는 없을까?
-90쪽

즉 스스로 알아서 하는, 자신을 위한 자신만의 공부, 그런 자율적인 공부야말로 인간을 키워나가는 데, 인생을 설계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데 결정적으로 이바지하게 된다. 학생은 자율적인 공부로 스스로 자라고 스스로 삶의 길을 열어나가는 것이다.-196쪽

공부는 언제 어디서나 속도와 기동성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 그런 뜻으로 모바일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 은근과 느긋함이며, 끈기와 줄기참이 공부에는 필수적이다. '스터디study'는 '스테디steady'해야 한다. 흔들림 없이 침착해야 하고, 서두름 없이 착실해야 한다. 모바일 시대일수록 이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모바일이 아니라 요지부동 태산 같아야 한다.-21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