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기는 앞으로 몸을 움직이는 행위다. 그것은 미래로 나아가는 행위이지 과거 속으로 퇴행하는 행위가 아니다. 달리기에서 모든 움직임은 현재에 있다. 호흡도, 맥박도, 고통도, 즐거움도 모두 현재에 있다. 조금 과장되게 말한다면 달리기는 온통 현재만 있는 움직임이다. 나는 그것이 좋았다. 과거는 회한을 불러오고 미래는 불안을 불러온다. 그러나 현재는 무無의 공간, 자유의 공간이었다. 달리는 순간 나는 나 혼자있다. 집을 나서는 순간은 곧 시스템으로부터 몸을 빼내는 순간이다. 가족이라는 시스템, 직장이라는 시스템, 국가라는 시스템, 달리는 시간은 그런 시스템에게 굿바이를 외치는 시간이다. -23쪽
세상의 엄마들은 생긴 모습은 다를지언정 모두 엄마라는 이름으로 우리 곁에 존재한다. 그리고 자식이라는 존재들은 오늘도 또 날카롭고 긴 못을 엄마들의 가슴에 박아 넣고 있을 것이다. 못 박히고 박는 관계, 어쩌면 이것이 피할 수 없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일지도 모른다. -71쪽
근면한 노동과 정당하게 쌓은 부 자체는 문제가 될 수 없다. 게으름으로 인한 빈곤을 남의 탓으로만 돌리는 것이 옳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다. 문제는 빠른 경제성장의 시기를 경험하며 부의 축적과 하나님의 복을 일치시켰던 일부 기독교인들이, 그렇게 큰 성장을 가져다준 자본주의야말로 하나님의 뜻에 가장 부합하는 경제 체계라고 주장하기에 이른 것이다. 성공의 근원을 특정한 경제 체제의 덕으로 돌린 것이다. 이 과정에서 자본주의적 성공이 하나님의 복이라는 새로운 종교적 가르침이 등장했다. 이른바 '자본주의 복음'의 시작이었다. '하나님의 제도에서의 성공이 곧 하나님이 주시는 성공'이라는 공식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경제 위기를 거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 대신 눈에 보이는 자본에 의지하려는 이러한 종교적 차원에서의 변화는 더욱 강화되었다.-173쪽
신과 인간과의 인격적인 관계와 그 가운데서 나오는 신의 성품을 닮아 가려는 삶의 자세는 사라지고, 그저 지금 당장의 풍요와 행복만이 최고로 여겨지는 새로운 종교가 나타난 것이다. -174쪽
에너지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옮겨 갈 때마다 '수수료'를 내는데, 수수료란 일할 수 있는 유용한 에너지의 손실을 뜻한다. 문제는 수수료가 저절로 보태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결국 가지고 있는 돈으로 수수료를 지불하다 보면 돈의 총액은 ㅇ이 되고 만다. 쓸 수 있는 에너지가 고갈되어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만 남는다는 뜻이다. 과학자들은 물질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인 엔트로피entropy를 통해 이를 설명하려고 한다. -290쪽
요컨대 독후감은 '책'이 아니라 '책을 읽은 나'에 대한 글이라면, 서평은 '내가 읽은 책'에 대한 글이다. 또한 독후감이 '나(또는 내 속내를 알고 싶어 하는 사람)'를 위한 글이라면 서평은 '그 책을 읽은/읽을 다른 사람'을 위한 글이다. 다시 말해 책에 대한 감상을 피력하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행위이지만, 책을 비평하는 일은 그 자체로서 사회적인 행위이다. -311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