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녀의 독서처방 - 매혹적인 독서가 마녀의 아주 특별한 冊 처방전
김이경 지음 / 서해문집 / 2010년 8월
장바구니담기


하루에 백 통이 넘는 이메일에 답장을 쓰고, 일주일에 3,4개국을 넘나들며 회의와 연설을 하고, 일곱 시간을 걸어 무보수 왕진을 가는 데 천재적인 능력과 무모한 열정 중 어느 것이 더 필요한지 자문해봅니다. 사람이 그릇된 현실과 타협할 때 그게 용기가 모자란 탓인지, 능력이 부족한 탓인지 따져도 봅니다. 아무래도 천재냐 아니냐가 결정적인 것 같지는 않습니다.-41-42쪽

설렘으로 시작한 관계가 피로만을 부르는 의무로 변하는 것은, 그 관계에 담아 키우던 미래가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관계가 하품을 부를 때 우리는 상대를 탓합니다. 게으르고 무능한 당신 때문에, 젊음도 매력도 사라진 당신 때문에 내 인생이 이렇게 무미건조해졌다고 원망하지요. 그러나 하진과 체호프는 그게 아니라고 말합니다. 설렘이 권태로 변한 것은 '당신' 때문이 아니라 미래를 잃은 '나' 때문이라고, 그러니 나 자신을 돌아보라고 말합니다. -86-87쪽

오직 사실에 입각하여 공정하게 판단하는 것, 그리하여 남을 견딜 수 없는 곳으로 몰아세우지 않는 것, 그것이 공부하는 사람의 태도가 되어야 한다고 거듭 새깁니다.-159쪽

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묻고 그 승산에 따라 도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고 싶으냐 아니냐를 묻고 제 마음을 좇아 도전하는 것이지요.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닙니다.-174쪽

번역은 다른 세계를 자신의 눈으로 해석하는 과정이며 타자를 수용하고 자기화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번역은 단순한 옮김질이 아니라 '만남과 수용', '갈등과 창조'가 교차하는 현장입니다. 다른 언어를 내 언어로 사용하자는 사고에는 이런 만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없습니다. 오로지 편의성만을 추구하는 기계주의가 있을 뿐입니다. -204쪽

스티에성의 수필 [띠탄공원]은 이처럼 지극한 슬픔의 끝에서 터져 나온 아름다운 절창을 보여줍니다. 조금 길지만 그 한 대목을 인용합니다.
봄은 와병의 시절이다. 그게 아니라면 사람들은 봄의 잔인함과 갈망을 쉽게 깨닫지 못할 것이다. 여름, 연인들은 마땅히 이 계절에 실연해야 한다. 아니라면 사랑에게 미안할 것이다. 가을은 타향에서 화분을 하나사서 집으로 돌아가는 시절이다. 오래 떠나 있던 집으로 그 꽃을 가져가 창문을 활짝 열어 햇빛이 집 안 가득하도록 한 다음, 하나하나 추억을 더듬어가며 곰팡이 슨 물건들을 천천히 정리하는 것이다. 겨울은 화로와 책과 더불어 한 차례 또 한 차례 굳고 굳은 결심을 되풀이하며 부치지 못할 편지를 쓰는 것이다. -280-28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