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장미의 이름 읽기 - 텍스트 해석의 한계를 에코에게 묻다
강유원 지음 / 미토 / 2010년 6월
판매중지


'텍스트 읽기'라는 말은 두 가지를 요구한다. 하나는 텍스트가 무엇인가 하는 텍스트의 정의를 규정하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읽기'의 방법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텍스트'를 가장 일반적으로 규정하자면 그것은 '의미를 담도 있는 어떤 것'이다. 그것은 인간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말과 글)로 이루어진 것뿐만 아니라 그림으로 그려진 것 등도 포함한다. -17쪽

자신이 뜻한 바, 즉 기의를 표현하기 위해 기표에 그것을 담아, 기호를 만들고, 그 기호들을 배치함으로써 텍스트를 만들어낸다.-23쪽

아무리 순수한 태도를 가졌다 해도, 그 태도 자체가 다른 것을 완벽하게 배제할 때에만 유지 가능하다면, 그것은 곧 독단이요. 이 독단은 인류역사에서 가장 해로운 독이 되어왔음을 상기해야 한다. 오늘날에도 그러하기 때문이다.-65쪽

"우리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탄 난쟁이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들보다 더 멀리 더 잘 볼 수 있으나, 이는 우리의 시각이 더 예민하거나 우리의 키가 더 크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우리를 공중에 들어올려 그들의 키만큼 높여주기 때문이다."-74쪽

미궁이 혼돈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그 구성원리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세상도 마찬가지이다. 혼돈스러워 보이지만 원리만 알아내면 그리 어려운 게 아니다. 물론 원리를 알아내는 일은 굉장히 어렵다. -99쪽

사태를 바라보는 입장에 따라 사태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127쪽

윌리엄의 말처럼 서책은 다른 서책에 대해 말하므로 서책들을 모아놓은 장서관은 서책끼리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임에는 틀림없다. 그것만이 아니다. 서책은 일단 만들어지면 그것 자체로 위력을 갖는다. 로고스의 힘이 서책에 내재되는 것이다. 서책들은 거대한 정신적 덩어리의 결집이 되어 서책을 만들어낸 인간을 억압할 수도 있게 된다. 서책이 모여 있는 장서관을 지키는 것은, 권력을 지키려는 것이요. 그것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것 역시 권력을 지키려는 의지에서 나온 것이다.-149-150쪽

보르헤스는 벨그라노 대학 강연 중에 "인간이 사용하는 여러 가지 도구들 가운데 가장 놀랄 만한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책이다. 다른 것들은 신체의 확장이다. 현미경과 망원경은 시각을 확장한 것이며, 전화는 목소리의 확장이고, 칼과 쟁기는 팔의 확장이다. 그러나 책은 다른 것이다. 즉, 책은 기억의 확장이며 상상력의 확장"이라 언급한 바 있다.-1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