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오디세이 - 내가 모르는 나를 찾아가는 심리 탐험 39
장근영 / 예담 / 2009년 9월
절판


바틀릿은 이 실험의 결과를 통해서, 우리가 하는 기억이 단순히 보고 들은 것을 있는 그대로 저장했다가 끄집어내는 과정이 아니라 우리가 가진 어떤 틀에 맞춰서 재구성하는, 즉 다시 창작해내는 과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18쪽

프로이트는 그 유명한 안나 오의 증세가 자신의 환자들의 것과 같다는 사실을 깨닫고 요제프 브로이어를 찾아갔다. 그리고 브로이어와 함께 히스테리 환자들을 연구하면서 히스테리 환자들은 공통적으로 어떤 용납할 수 없는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90쪽

그는 억압된 기억이나 욕구는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 속 어딘가 구석-무의식-에 자리하고 있다고 믿었다. -92쪽

우리는 각자의 세계에서 다 최선의 선택을 한다고. 대부분은 일부러 악한 결정을 하지 않는다. 우리는 다들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한다. 그리고 그런 행동을 남들에게도 권한다. 즉, 도덕성이란 옳은 행동을 하고 그른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어떤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163쪽

실제로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악덕들은 대부분 착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나 어설픈 도덕 기준에 따라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저질러진다. -170쪽

당신이 아무리 많은 생각을 하더라도 그것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면 사람들은 당신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없고 심지어는 생각을 하지 못한다고 오해할 수도 있다.-194-195쪽

전두엽은 인간적이고 사회적인 요소, 즉 인내심이나 도덕성, 사교성이나 판단력 등 보통 우리가 '성품'이라고 부르는 것들을 담당하고 있었다. -202쪽

밀그램은 이 실험의 결과를 이렇게 정리했다.
"복종의 핵심은 한 개인이 자기 자신을(독립된 개인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의지를 수행하는 도구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명령을 따르는 사람은) 자기 행동에 더 이상 아무 책임이 없다고 느끼게 된다. 개인의 자의로 행동할 때는 전혀 상상할 수도 없는 행동일지라도, 누군가의 명려을 받아 행할 때는 아무런 주저없이 저지를 수 있다."-239쪽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미하이에 따르면 인간은 아주 어려운 일도 아니고 너무 쉬운 일도 아닌, 자기가 아슬아슬하게 해낼 수 있는 수준의 일을 할 때 가장 잘 몰입flow하게 된다고 한다. -3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